북유럽 신화, 재밌고도 멋진 이야기
H. A. 거버 지음, 김혜연 옮김 / 책읽는귀족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하영웅전설을 읽고 나서 그 후로 컴퓨터를 살 때면 늘 오딘Odin이라는 이름을 사용해왔다. 막연히 북유럽 신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나에게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제국의 수도성의 이름으로 더욱 익숙했었다. 이번에 < 북유럽 신화, 재밌고도 멋진 이야기 >를 읽으면서, 미처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북유럽의 신화가 내 생활 속에 스며들어와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던 공중유닛, ‘발키리역시 북유럽 신화 속에 등장한다. 젊고 아름다운 처녀로 묘사되어 그녀의 입맞춤을 받은 영웅들을 발할라로 데려가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래서 게임에서도 여자 조종사로 나오는 것이었고 뭔가 화려하기만 했던 공격력도 이해가 되기도 했다.

요즘 가장 유명세를 탄 북유럽 신화 속의 인물은 바로 토르로키일 것이다. 영화 어벤져스에서는 로키가 토르의 동생으로 그려지지만, 실제로는 오딘의 동생 혹은 의형제인 것으로 파악된다. 책에 소개되는 옛 에다에서도 오딘! 그대 기억하지 못하는가, 우리 젊은 시절 서로의 피를 섞었던 일을이라는 구절이 등장하여 북유럽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피로 의형제를 맺은 사이로 볼 수 있다. 토르와 로키가 같이 모험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책에서도 같이 등장하는 일이 많다. 거짓말이나 속임수를 잘 쓰는 수다쟁이 같은 느낌을 주던 로키는 점점 신과 악마가 합쳐진존재로 그려졌다고 하는데, 거인 앙구르보다(괴로움의 징조)사이에서 고통, , 죽음을 상징하는 아이들을 낳아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덕분에 화요일’Tuesday’를 파생시킨 티우의 날’Tiu’s Day’의 신 티르는 로키의 아이들중 하나인 늑대 펜리스를 막다가 손목을 잃고 외팔이 신이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전쟁의 신인 티르는 한쪽에만 승리를 선사할 수 있기에 외팔이의 모습을 가졌다는 것이 더욱 멋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흥미로운 것은 북유럽의 신들은 나름의 신체적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최고신이자 가장 신성한 신 오딘이다. 미미르(기억)의 샘물을 한 모금 마시면 지극히 지혜로운 사람이 될 수 있었는데, 오딘은 완전한 지혜를 얻기 위해 자신의 눈을 뽑아 외눈박이가 되었다. 또한 룬 문자를 창시하기 위해 신성한 나무에 아흐레 밤과 낮을 매달렸다고 한다. 조금은 아이러니한 말일지 모르겠지만, 희생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모습이 흥미롭게 느껴지기도 했다. 아무래도 북유럽의 기후 탓인 조금은 비극적인 느낌이 강했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리스로마신화와의 공통점도 많이 찾아볼 수 있어서, 비교신화학을 통해 두 신화를 비교하는 부분이 있어서 좋았다. 특히나 회의론자조차 아주 오래 전 두 신화가 하나였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는 분석에, 날씨의 영향을 받아서 두 신화의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 아닌가 했던 것이 합리적인 추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면접이 막막할 때마다 꺼내 읽는 책 - 면접관이 당신에게 원하는 98가지 대답
제임스 리드 지음, 문수민 옮김 / 한빛비즈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면접관들이 듣고 싶은 답이라니, 그들의 의도와 바람을 이해할 수 있다면 조금 더 좋은 대답을 끌어낼 수 있을테니까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인슈타인 - 우리가 천재라고 부르는 세기의 지성인! 도도 휴먼 사이언스
다니엘 스미스 지음, 허수빈 옮김 / 도도(도서출판)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아인슈타인이 왜 천재인지를 느껴볼 수 있는 책일거 같아서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공 커넥션 4단계 알고리듬 - 실패와 성공, 그 비밀의 연결 고리를 풀다!
제시 워렌 티블로우 지음, 이동진 옮김 / 이너북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떻게보면 너무나 뻔한 이야기일거 같았는데, 상당히 구체적인 전략이 나와서 흥미롭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 내 삶의 주인이 되는 문화심리학
김정운 글.그림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최종학력은 50이 넘어서 전문대 졸卒이 되었다.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땄을 때보다 훨씬 행복하다고 말한다. 정년이 보장된 정교수도 베스트셀러 작가도 일류강사의 자리도 내려놓고, 남은 반백년동안 행복하게 할 일을 찾아 떠난 그는 그림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교토의 한 귀퉁이에서 비로서 삶의 정상속도를 되찾은 그는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비로서 삶의 진정한 주인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었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그의 생각의 깊이에 감탄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그의 선택 자체가 참 부러웠다. 아마도 나라는 사람이 움켜쥐는 것에 너무나 익숙하고, 지금 내가 누리는 것들을 내려놓을 용기가 없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겠지만,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함께하려고 했던 거 같다. 거기다 김정운의 책을 몇 권정도 읽으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관을 구축하고 있다는 생각을 해서인지, 그가 들려주는 교토에서의 이야기가 무척이나 반갑다. 물론 쓰고 싶은 말이 너무나 많아질 거 같아서, 정리해서 리뷰를 쓰기에는 어렵지만 말이다.

연말이라 그런지 우리사회가 갖고 있는 집단기억의 부재를 설명하며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마움의 기억을 찾는 새해를 만들어가자는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새해가 되면 이런저런 결심을 하며 목록까지 짜곤 하는데, 막상 그 속에는 내 마음에 대한 것은 별로 없었던 거 같다. 겉으로 드러나는 성과에 대한 것들만을 챙기며 살아왔는데, 어쩌면 그것이 미국의 문화사학자 스티븐 컨이 설명한 현상에 속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사회가 변화하는 속도를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미래를 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거라고 믿게 해주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을 거라는 인과론적인 믿음이 종교적 위안과 비슷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는 것이 스티븐 컨의 생각이다. 딱히 종교가 없어서 그런 것 일지도 모르지만, 그런 노력-성공의 인과론에 더 빠져들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렇게 눈에 보이는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이제는 내 마음을 더 살펴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했다.

그리고 화장에 대한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 중요한 날이면 전문가의 손을 빌려서 화장을 하기도 하고, 내가 원하는 느낌을 만들어내려고 옷을 고르고 거기에 걸맞은 화장을 하려고 노력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화장을 하면서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생각해보고, 또 그것을 지워내면서 다양한 역할을 성찰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설득력 있게 느껴졌다. 그리고 그런 시간을 갖기 힘든 남자의 어려움에도 공감하게 된다. 그래서 남자에게도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른다. 또한 김정운이 가장 좋아한다는 개념인 정서조율’, 여기에 대한 이야기는 책을 읽으면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마주보기와 함께 보기의 힘이라던지, 여러 성부를 가진 다성음악 폴리포니에 대한 이야기가 그러했는데, 공감력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가 많아서 내 마음에도 와 닿는 개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