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인 서우진이 사업을 추진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성공하는 사업가들은 신경쓰고 생각해야 할 것들이 참 많구나 라는 걸 소설속에서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단순히 오늘 읽은 스토리에서만 봐도 고객들이 초기 투자금에 대한 부담을 느끼자 초기 투자금 회수방식을 변경시키는 아이디어를 낸다든지, 홍보나 마케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아이돌 그룹을 활용한다든지, 외국 기업과 거래하는 경우 환율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걸맞는 전략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면서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냥 줄글로 읽어보면 그냥 그런가보다하고 넘어갈 수도 있는데 실제로 저런걸 생각하고 신경쓰다보면 머리가 엄청 복잡해질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사업이라는건 절대로 혼자서는 다 할 수 없고 많은 사람들이 서로 협력하여야 잘 굴러갈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 속에서도 주인공 서우진의 최측근이라고 볼 수 있는 한소라, 허태식 등을 비롯하여 회사 외부에 있는 인물들까지 여러사람들이 협력하여 사업이 굴러가는 모습을 보며 이 생각을 머리만이 아니라 마음속 깊이 느낄 수 있었다.
여담으로 어찌보면 윗 문단과 비슷한 내용일 수도 있긴한데 소설을 읽으면서 회사의 임직원 한명한명이 정말 소중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사장이 정말 기가막힌 아이디어를 내서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임직원들이 손과 발이 되어 주지 않는다면 그 아이디어는 사장의 머릿속에서 사장될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사장이 모든걸 직접 다 할 수는 없을테니 말이다.
최근에 읽었던 ‘업어 키운 여포‘ 에서 여포와 원담에 대해 내가 간단하게 쓴 글이 있다. 거기에 애민정신이라고 하여 백성들을 아끼고 귀하게 여기는 모습이 나오는데, 지금 읽고 있는 이 소설 내용에 접목시켜보면 직원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사장이 마땅히 가져야 할 마인드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확실히 사람 여럿이 머릴 맞대면 없던 아이디어도 나오는 모양이다.
"첫째로 지금 시국이 시국인지라 물산의 사업 영역을 넓히는 건 위험 요소가 크다는 겁니다. 새로운 시장에 들어가려면 투자를 늘리고 직원을 더 뽑아야하는 건 필연적이니까요."
그 뒤로도 대화가 조금 더 오갔지만, 렌탈 사업의 상세한 내용까지 이어지진 못했다. 컴퓨터의 AS 주기나 렌탈료 같은 부분은 그 방면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였다.
아무래도 전략 자체를 바꿔야 할 거같다. 양보를 받아내는 교섭 전략에서, 강제로 문을 부수고 들어가는 공성전으로 말이다.
"어떻게요? 분명, 저희가 연락 넣었을때는 돈을 배로 준다고 해도 일정이 다찼다고 거절했었는데요." "원래 일이라는 건, 안 되면 되게 만드는 겁니다."
"예, 캐쉬. 세게 질렀더니 말이 싹 바뀌던데요."
"처음 듣고 나쁘지 않으면 엄청 좋은겁니다. 계속 들으면 더 좋아지거든요."
"소라 씨, 세상에 절대라는 것은 없는 법입니다."
"손해라고 생각할 게 아니라 투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요한 전화 도중에 방문하는 손님은 달갑지 않은 법이다. 그것도 약속 없이 찾아왔다면 더더욱. 그러나 그 손님이 누구냐에 따라 그런 생각은 180도 달라질 수 있었다. "KG소프트의 본부장이라는 분이신데 어떻게 할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