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하십시오. 허심탄회하게 열린 마음으로 주고받아야합니다. 또 칭찬과 격려의 말을 아끼지 마세요.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고 하지만, 빚을 갚는 것이 아니라 덕을 쌓는 것입니다. 말의 덕을 쌓으십시오. 그 덕이 수많은 생을 두고 쌓은 우리 인연에 밝은 빛을 줄 것입니다. - P113
이웃을 기쁘게 하면 내 자신도 기쁩니다. 이웃을 슬프게 하면 내 자신도 고통스러워집니다. 마음은 메아리이기 때문입니다. - P114
지금 여러분과 제가 있는 이 자리는 눈에 보이는 세계입니다. 하지만 이 세상 모든 것은 실체가 드러나기 전에 보이지않는 모습으로 존재합니다. 다만 우리는 눈에 보이고 귀에들리고 손에 붙잡히는 것만을 현실인 것으로, 그것만을 전부인 것으로 생각할 뿐입니다. 하지만 이는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것입니다. - P116
지붕을 한번 떠올려 보십시오. 지붕은 그 자체만으로는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기둥이 떠받쳐 주기 때문에 지붕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든 현상에는 기둥이 되는 세계가 있습니다. - P116
아이가 태어나 말을 배우기까지 많은 과정이 있습니다. 어떤 지식을 쌓기 위해서도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또 많은 교육을 받아야 하지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가야 합니다. 또 좁은 문을 거쳐 대학에 갑니다. 이렇게 수많은 시간을 들여 여러 지식을 배우고 습득합니다. - P116
모두 다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에 붙잡히는 것에 집착합니다.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그 이면에는 더깊고 오묘한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P117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에 잡히는 것, 그것은 한 부분이에요. 그건 일시적인 겁니다. 그것은 모두 순간적인 것이고 잠시 있다가 사라지는 것이에요. - P117
눈에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고 손에 잡히지도 않지만 그 밑바탕을 이루는 곳에 정신의 세계가 있습니다. 이것이 영원한 것입니다. 이것이 본질적인 거예요. 이것은 달변이 아니라 침묵으로 이루어진 세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성으로 충만한 세계이기도 합니다. 혹은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의 세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P117
인간관계를 생각해 봅시다. 좋은 친구 사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습니다. 같이 있는 시간이 즐겁고 빠르게 흘러갑니다. 하지만 서로 사이가 좋지 않으면 한자리에 같이 있는 것이 거북스러워요. 마주한 시간이 지겹고 더디 흐릅니다. - P117
이 우주에 가득 찬 에너지는 자력과 같아서 같은 극끼리는 서로 밀쳐 내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끌어당깁니다. 하지만 이때의 같은 것, 다른 것은 정오正誤가 아닙니다. 그저 다른 존재, 다른 실체일 뿐입니다. - P118
친구 사이를 예로 들어 시간 흐름을 말씀드렸습니다만, 시간은 관념적인 것일 뿐입니다. 이 시간의 흐름을 선하게 대하면 우주에 있는 선한 기운이 딸려 옵니다. 악하게 대하면 우주에 있는 파괴적인 요소가 몰려옵니다. - P118
우리의 일상을 이렇게 곰곰이 살펴보세요. 내가 착한 마음, 편안한 마음을 지니게 되면 모든 편안한 요소들이 같이 어울립니다. 그런데 심사가 뒤틀려서 생각이 불안해지면 사사건건 매사가 흔들리게 돼요. 이처럼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 P118
마음으로 느끼는 세계,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이 본질적인 세계입니다.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에 잡히는 세계는 하나의 부분이에요. 빙산의 일각과 같은 겁니다. 우리가 늘 생활하고 경험하는 일상을 통해서도 그 깊은 배후의 세계에 관심을 두어야 합니다. - P118
우리 삶이 어떤 삶이 되느냐 하는 것은 우리가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 이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내 마음이 천당도 만들고 지옥도 만들어요. 한 생각 불쑥 일어나서 성자가 될 수도 있고, 한 생각 잘못 흘러 도둑이 될 수도 있습니다. - P119
남을 미워하는 생각. 또 남을 해치고자 하는 생각이 쌓이고 쌓이다 보면 그게 나쁜 업력業力이 되어 자기도 모르게 남한테 해를 끼치는 거예요. 마음에서 모든 것이 시작됩니다. 동물은 자연의 목소리인 본능의 지배를 받습니다. 사람은 마음의 목소리인 생각의 지배를 받아요. 한 생각 일으킨다는 것. 그게 중요한 겁니다. - P119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가 몸으로 하는 동작, 입으로 하는 말, 마음속에서 하는 생각은 모두 업이 됩니다. - P119
흔히 업은 훗날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지요. 나의 동작과 말과 생각이 짓는 업이 자꾸 쌓이면 그게 업력이 됩니다. 좋은 업, 즉 선업을 쌓으면 좋은 업력이 되고, 나쁜 업, 즉 악업을 쌓으면 나쁜 업력이 됩니다. 선업에는 낙과樂果를 일으키는 힘이 있고, 악업에는 고과苦果를 일으키는 힘이 있습니다. - P119
업장業障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동작과 말과 마음으로 지은 악업에 의한 장애를 이르는 말입니다. - P119
업력과 업장은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습니다. 관성 법칙과 같은 거예요. 생사윤회生死輪廻라고 하지요.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돌고 돕니다. - P120
흔히 번뇌를 끊는다, 욕망을 끊는다, 이렇게 말하지만 번뇌와 욕망은 철사를 끊는 것처럼 싹둑 끊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어떤 질적인 변화를 줄 수는 있습니다. 말하자면 에너지의 전환이에요. 욕심으로 흐르는 에너지, 탐욕으로 흐르는 마음은 베푸는 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웃을 돕고 나누는 마음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즉 전환이 되는 것입니다. - P120
또 까닭 없이 화를 내고 남을 미워하는 기운은 연민의 정으로, 또 자비심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어리석음으로 흐르는 에너지, 한 치 앞도 못 내다볼 정도로 콱 막힌 깜깜한 어리석음은 지혜의 힘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즉 한 생각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업이 달라집니다. - P120
명칭이 아니라 어떤 행위를 한 것인지가 중요한 것인데 본질을 흐리고 있는 것 - P121
본질을 잘못 알고 도리어 큰소리를 치고 있는 것 - P121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집니다. 생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집니다. ‘순간순간하루하루 어떤 마음으로 어떤 생각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이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업의 기준에서 보면 순간에 하는 선택이 평생을 좌우합니다. 한 사람의 평생을 넘어 세세손손까지 이어집니다. 내가 한 행위가, 내가 한 말이, 내가 먹은 마음이 나에게 돌아옵니다. - P121
내 마음이 밝고 평온해서 중심이 잡힐 때 세상과의 관계도 밝고 원만해집니다. 내 마음이 평온해서 어떤 갈등도 없이 중심이 잡힐 때 진짜 맑고 향기로워집니다. - P122
모두 다 내가 씨를 뿌리는 것입니다. 좋은 일을 하면 선한 열매를 거둘 것이고, 나쁜 일을 하면 악한 열매를 거둘 것입니다. 누가 그렇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떤 절대적인 힘이 세상을 주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뿌려서 거두는 것입니다. 자업자득自業自得입니다. 이런 도리를 몸에 익히면 혼란도 어지러움도 없습니다. - P122
서로 기분이 언짢아지면 그게 업이 됩니다. 그날 하루 내 삶이 그만큼 구겨지는 거예요. 그런데 거기서 한 생각 돌이켜서 조금 뒤로 물러서고 양보하면 내 하루가 밝아져요. 짧은 찰나의 선택이 내 삶을 좌우하는 겁니다. - P124
사회라는 건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국가라는 것도 추상적인 개념이에요. 존재하는 것은 한 사람, 한 사람의 개인이지 사회가 아닙니다. 세상이 좋아지려면 한 사람, 한 사람의 격이 높아져야 합니다. 그저 세상 탓만 할 게 아닙니다. 정치탓만 할 게 아니에요. 한 사람, 한 사람이 자기 인생을 어떻게 살고 있느냐, 순간순간 어떤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세상은 달라지는 겁니다. 세상이 이렇게 각박해지고 메말라 가는 것은 우리들 개개인의 삶 자체가 그렇게 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 P124
사회의 기초 단위는 말할 것도 없이 가정이에요. 자신의 가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부모가 먼저 스스로를 돌아보세요. 아버지, 어머니가 달라지지 않고는 그 가정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자식들이 말을 듣지 않는다고, 말썽을 부린다고 하면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왜 아이들 탓을 합니까? 문제는 분명 부모로부터 나옵니다. 문제 가정의 뒤편에는 문제 아버지와 문제 어머니가 있습니다. 아버지의 말씨 하나, 눈빛 하나가 자식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거예요. 어머니의 마음씨 하나, 생각 하나가 자식들 행동을 좌우한다는 거예요. - P125
같이 업을 쌓는 중생이라고 해서 공업 중생共業衆生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한 가족은 공업 중생이에요. 또 사회의 구성원들도 비슷한 업을 함께 일으키므로 공업 중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사람, 한 사람 개개인의 생각이 변화하지 않고는, 품격이 높아지지 않고는 결코 세상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우리 세상이라는 것은, 우리 사회라는 것은 바로 우리 개개인의 정신, 우리 개개인의 품격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 P125
자질이 문제입니다. 자질이 개선되지 않으면 달라지지 않습니다. - P126
중요한 것은 안입니다. 바로 내부입니다. - P126
집이라든지 자동차라든지 우리 생활 주변에 있는 것은 물건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저 일상의 무대 장치일 뿐입니다. 우리가 소유한 장소나 물건은 물론이고 명예나 지위 같은 것들도 혼이 없는 소도구입니다. - P126
우리는 허깨비 같은 배경과 장치에 눈을 팔면서 진짜 삶을 잊고 삽니다. 우리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웃에 얼마나 따뜻한 마음을 기울였는가, 우리가 한 생애 살다가 인생을 마감하려고 할 때, 도대체 내가 무슨 일을 했는가 하는 것입니다. - P126
사회뿐 아니라 가정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버지로서, 어머니로서, 자식으로서 내가 할 일을 제대로 했는가 돌아보아야 합니다. 따뜻한 마음의 본질이 무엇인지 스스로 물어야 합니다. 나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에, 내 가족과 더불어 사는 세상이기 때문에, 많은 이웃과 함께 어울려 사는 세상이기 때문에 그들을 위해 내 마음을 얼마만큼 따뜻하게 기울였는가 물어야 합니다. - P127
알베르 카뮈의 글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우리들 생애의 저녁에 이르면 우리는 이웃을 얼마나 사랑했는지를 놓고 심판받을 것이다." - P127
심판이라는 것은 서구에서 쓰는 용어인데, 이 말을 동양의 표현으로 바꾸면 자문自問하는 것입니다. 즉 생의 마지막에 이르면 묻게 되는 것입니다. ‘내 인생은 과연 몇 점짜리 인생인가?‘ 스스로 묻게 되는 것입니다. - P127
감정은 소유의 과정을 거칩니다. 내 감정은 나에게 소유됩니다. 내 감정은 내 안에 귀속되지만 친절과 사랑은 우러납니다. 바깥으로 드러납니다. 내 감정은 내 가슴에 깃들지만, 친절과 사랑은 다른 사람 가슴에 깃듭니다. 우리는 이처럼사랑과 친절을 통해서 성장을 하는 것입니다. - P127
말은 공허합니다. 하루에도 수백 번씩 사랑한다고 말하면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믿음이 없으니까 말로써 그 믿음을 다지려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런 사랑은 자신에 집착해서 상대를 소유하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랑은 소유가 아니라 나와 그 사람 사이에 마주 서는 것입니다. 나를 버리고 관계 사이에 서는 것입니다. - P128
진정한 사랑은 신성한 것입니다. 가슴 부푸는 일입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사랑은 덧없이 날아가기도 합니다.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사랑을 소유처럼 여기기도 합니다. 그건 사랑이 아니에요. 서로 얽어매는 것일 뿐입니다. 진짜 사랑은 남자와 여자, 남편과 아내가 대등한 인격체로서 마주 서야 하는 것입니다. 인격과 인격의 관계인 것입니다. - P128
왜 이런 일(이혼)이 생기는 것일까요. 자기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데 마음이 바깥에 있기 때문입니다. - P128
사랑은 주고받는 것입니다. 어느 한쪽의 일방통행이 아닙니다. 일방적인 것은 사랑이 아니라 오해입니다. 한 존재의 전체에 도달하지 못하고 자기가 품은 이미지를 가공하는 것입니다. 관계의 근원에 이르지 못하면 사랑이 깨어지기도 합니다. 이것은 또한 소유욕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사랑을 관계가 아니라 소유로 보기 때문입니다. - P129
우리가 물건을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냉장고가 됐든 텔레비전이 됐든 무슨 가전제품을 선택하는 기준은 필요때문이어야 하지 않겠어요? 그런데 옆집에서 신제품을 들여놓았다고 하니까 나도 기를 쓰고 가져야 한다면, 그래야 직성이 풀린다면 그건 욕심일 뿐입니다. 그렇게 해서 가지고 싶은 걸 다 가졌다면 어떨까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어떤 결과가 오겠어요? 내 자신이 커다란 쓰레기통으로 전락하는 겁니다. 필요도 없는 것을 욕심 때문에 들여놓는 것은 자신을 쓰레기통으로 만드는 것밖에 되지 않는 것입니다. - P129
이제는 가난의 덕을 배워야 돼요. 진짜 어떻게 사는 것이 진짜 나답게 사는 것인지 인간답게 사는 것인지 스스로 물어야 돼요. 남이 가겼다고 해서 나도 똑같이 가져야 되는 건 아니잖아요. - P129
이제는 진짜 가난의 덕을 배울 때가 됐습니다. 그것은 주어진 가난이 아니에요. 원망스러운 가난이 아닙니다. 내가 스스로 선택한 가난이에요. 맑은 가난입니다. - P129
뭘 가득가득 채우려고만 하지 마세요. 텅텅 비웠을 때의 그 홀가분함. 그것을 느낄 수 있어야 돼요. 필요한 것을 잔뜩 가졌다고 해서 행복이 오는 건 아닙니다. 불필요한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졌을 때, 그때 행복이 와요. - P130
늘 자기 스스로를 자기 정신 상태를 살펴야 돼요. 내 마음의 흐름, 내 마음의 움직임을 살펴야 합니다. - P130
우리가 기도를 한다는 건 무엇입니까? 참선을 한다는 것은무엇입니까? 묵상을 한다는 건 무엇입니까? 바로 자기 자신의 마음 저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그 소리를 듣게 되면 어떤 것이 내게 꼭 필요하고 어떤 것이 불필요한지 판단이 섭니다. 그런 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니까 충동적이 되고, 광고에 현혹되는 겁니다. - P130
"오늘 할 일은, 단 한 사람이라도 좋으니 누구든 나에게 마음으로부터 ‘고맙습니다‘ 하고 인사하는 친구를 만드는 일입니다. 그게 내가 이루고자 하는 원願입니다." - P131
어렵다고 생각하면 끝이 없습니다. - P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