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카피어블 - 아마존을 이긴 스타트업의 따라 할 수 없는 비즈니스 전략
짐 매켈비 지음, 정지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11월
평점 :

《언카피어블》은 스퀘어의 공동창업자 '짐 매켈비'가 쓴 스타트업에서 살아남기다. 2014년 세계 최초 스마트폰 기반 카드 리더기를 만들었음에도 공룡기업 아마존이 이를 카피하면서도 더 편리한 서비스를 만들어 위기에 처한다. 일종의 잘나가는 아이템의 카피캣인 것이다. 아마존은 여전히 세계 최강의 기업으로 누구도 싸워 이긴 적이 없었다. 가장 잘 대처한다는 것은 인수합병이었다. 하지만 스퀘어는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아마존이 원하는 것은 방식을 모조리 바꾸는 것일 텐데 아무것도 바꾸지 않았다. 결국 아마존은 시장에서 철수했고, 종합 핀테크 기업으로 지금까지 사랑받고 있다.
기존 신용카드 경제 시스템은 영세 상인들에게는 불리한 시스템이었다. 어떻게 하면 그들의 시장을 뚫을 수 있을까 생각한 끝에 새로운 창조보다 모방을 택했다. 창조는 모방의 어머니란 말을 잊지 않았다. 이어폰 단자에 카드리더기를 꽂는 아주 간단한 방법을 택했다. 들쑥날쑥한 수수료를 단순화하고 급속한 성장을 위해 업계의 파격적인 '무료 가입'을 도입함으로써 회원을 모았다. 리더기도 무료, 의무약정을 없앴다. 매끄럽고 간편한 인터페이스 구축으로 소프트웨어와 싸고 간단한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스퀘어는 스스로 혁신을 추구했다라기 보다 기존의 해결책을 찾으면서 모방했다고 말한다. 수학자의 간접증명, 예술가의 네거티브 스페이스(예술에서 어떤 형상이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공간)과 비슷했다. 업계의 관행을 과감히 탈피하거나 바꾸어 본 것이다. 하지만 독창성, 창조, 혁신에 목매달다 보면 스타트업은 영원히 다가갈 수 없는 별처럼 느껴질 것이다. 시장의 관행, 사용자의 불편을 들여다보면 답이 보인다. 따라서 스퀘어는 쉽게, 단순하게, 가격을 낮춤으로써 성공에 다가갔다.
그가 멘토라고 말할 수 있는 뱅크 오브 안탈리아(훗날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방식에서 착안했다. 현재 은행의 모든 시스템의 전신이다. 이탈리아계 이민자인 힘없는 사람들을 위한 은행을 만드는 과정에서 아마데오 피아트로 지아니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은행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17세에 만든 스웨덴 소년 잉바르 캄프라드의 이케아 효과를 주목했고, 허브 켈러허의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약간의 불편함을 주는 것을 착안하기에 이른다. 불편함은 실사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 준다. '정보처리 어려움 효과는 힘든 과정을 거쳐 배운 것일수록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점을 이용한 사례다. 결국 세 기업의 공통점은 결국 자신들의 방식을 따르게 만드는 것이다. 팬이 만들어진다면 아마존과 맞붙어도 절대적인 충성 고객을 만들 수 있다.
책은 어째서 아마존이 아닌 스퀘어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그 힘과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다. 전문지식은 스타트업의 존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카피캣의 범람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는 좋은 사례집이다. 그가 직접 경험한 사례들은 지금 막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가이드가 되어 줄 것이다. 스퀘어 창업에서 발견했지만 어떤 업종에도 쉽게 적용해볼 수 있는 기술이라면 기술이다. 하지만 모방만을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경쟁자에게 반격하는 확실한 방법이지만 상대를 완벽히 없애지는 못하니까 말이다.
*본 도서는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인 의견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