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넷플릭스처럼 쓴다 - SF·판타지·공포·서스펜스
낸시 크레스 지음, 로리 램슨 엮음, 지여울 옮김 / 다른 / 2020년 10월
평점 :

고백하건대 나는 넷플릭스 중독자다. 하루에 한 번도 넷플릭스를 안 튼 날이 없다. 새로운 작품부터 미드, 영드, 그리고 접하기 힘든 고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목록에 있는 위대한 감독의 영화를 매일 본다. 코로나 이후에는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더욱 심해졌다. 아무래도 하는 일이 영화 글쓰기다 보니까, 넷플릭스처럼 유료 구독 OTT는 필수기도 하다.
그때마다 생각한다. 좋은 영화(드라마)란 무엇일까? 감독의 연출, 배우의 연기, 잊을 수 없는 미장센, 주옥같은 OST 등.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나리오'다. 이야기가 탄탄하고 재미있어야지 끝까지 시청하게 된다. 거기에 연출과 배우 연기는 덤으로 따라온다. 이 삼위일체(?)가 형성될 경우 메가 히트작이 탄생한다.
그렇다면 넷플릭스에서 전 세계, 대한민국 스트리밍 콘텐츠 상위권을 유지하는 비법은 무엇일까. 이 책은 매력적인 세계관 설정부터 팬덤을 모으는 캐릭터 창조까지. 성공한 시나리오 작가들의 66가지 노하우를 담았다. 시나리오 작가를 꿈꾸거나 연출가, 번역가, 등. 영화 드라마 쪽 분야에 뜻이 있거나 공모전을 준비한다면 참고해야겠다. 실전 작법 수업 책이라 실전에 대입해서 당신의 초안을 고쳐보는 것도 좋겠다.
잘 팔리는 콘텐츠의 매력은 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설득력 있는 세계관이 있어야 한다. 흔히 갑자가 튀어나오는 상황이나 개연성이 없으면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또한 독창적이어야 한다. 어디서 많이 본 이야기, 들어본 상황은 피해야 한다. 매력적인 캐릭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캐릭터가 사랑받는다는 것은 작품의 인기와도 비견된다. 전형적인 인물은 피하고 공감되고 끌리는 입체적인 캐릭터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시종일관 긴장감 있는 이야기로 관객(시청자)를 사로잡아야 한다.
이 책이 나에게는 꽤 유용했다. 시나리오 작가를 꿈꾸지는 않지만 영화(드라마)를 더욱 포괄적이며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 요즘 관객(시청자)은 진화했다. 한국 영화도 변화를 맞이해야 한다. 이미 OTT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 발굴과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하던 거 재탕하는 클리셰, 좀비와 기승전감동(눈물)그조는 버리자.
K 컬처의 인기가 지속되길 바란다면 앞서 말한 것처럼 독창적이고 설득력 있으며 매력적이고 긴장감 있는 이야기를 발굴해야겠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넷플릭스처럼 쓴다는 거지, 넷플릭스 콘텐츠를 사례로 들지 않았다는 것. 따라서 잘 모르는 콘텐츠가 많았다. 하지만 세계적인 작가들의 노하우와 자기만의 방을 들여다보는 재미는 쏠쏠하다.
*본 도서는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인 의견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