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 넷플릭스부터 구글 지도까지 수학으로 이루어진 세상의 발견
스테판 바위스만 지음, 강희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4월
평점 :

수학. 그까짓 거 배워서 뭐에 써먹나 싶다. 수포자 문과 출신 인문학 전공생의 변명이라 들어도 좋다. 수학은 손해 보지 않을 정도로 셈(?)만 하면 되지 않을까.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은 유럽에서 가장 촉망받는 수학 철학자인 '스테판 바위스만'이 쓴 수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교양서이다. 교양서라고 해도 나 같은 수학 잘알못, 수포자는 입문하기 쉽지 않은, 아니 정확히 말하면 차도 넘치는 책 중에서 굳이 고르지 않을 책이 바로 이런(?) 책이다.
자신 있게 우리 안에 내재하고 있는 수학 본능을 일깨워 줄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사실 개인차가 있을 수 있음을 전한다. 그래? 어디 나 같은 뼛속까지 수포자, 수학 없는 세상을 꿈꾸는 나를 한번 흥미롭게 만들어 보시지! (하하하)
하지만 이 책은 수학의 정석, 이론과 공식을 몰라도 읽을 수 있는 일상에서 발견하는 수학을 담았다. 저자는 자신 있게 수학이 얼마나 쉽고 유용한 학문인지 확실히 보여주기 위해 썼다고 밝혔다. 그러고는 수학뿐만 아니라 역사, 철학, 심리학 관점으로 바라보길 돕는다. 듣기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리는 미적분, 확률, 알고리듬을 실생활의 쓰임새에 맞게 쉽게 조명한다.
우리 주변은 수학으로 시작해 수학으로 끝난다고 말한다. 우리가 편리하게 살 수 있는 문명의 이기는 화려한 무대 뒤 숨은 공로자 '수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 어디 살펴볼까? 오늘도 아침 일찍 출근해 책상에 앉아 익숙한 손길로 컴퓨터를 켠다. 모든 업무는 이제 컴퓨터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컴퓨터의 작동원리는 수학적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궁금한 게 있으면 어김없이 두드리는 검색엔진에도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법에 기초하고 있다.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알려주고 몇 초면 가장 빠른 길을 알려주는 구글 지도에도 수학이 적용된 계산이다. 선거 개표 결과는 어떤가. 저녁쯤 되면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고, 밤이 되어가면 당선자가 거의 나온다.
내가 온종일 끼고 사는 넷플릭스. 콘텐츠가 끝나면 바로 이어 내가 지금까지 본 취향을 분석한 다음 콘텐츠를 추천해 준다. 이는 검색하거나 플레이한 콘텐츠, 평가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꿰뚫고 있다. 앱에 접속하면 내 머릿속에 들어갔다 나왔는지, 관심을 가질 만한 콘텐츠가 메인에 떠 있다. 사실 나는 AI의 추천 영화 따위는 보지 않는다. 오로지 내가 원하고 보고자 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그것을 본다.
콘텐츠를 직업적으로 많이 자주 봐야 하는 특성상 생긴 버릇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오늘의 순위, 추천 영화를 호기심에 관찰한 적 있다. 오늘 한국 순위는 요즘 사람들이 찾는 인기 콘텐츠이기 때문에 눈여겨보긴 한다. 하지만 넷플릭스 AI가 바로 연결돼 실제 플레잉을 한 사례가 바로 [로스쿨]이다. [로스쿨]을 정말 추천해 준 넷플릭스에 감사 인사를 해야 할 만큼 재미있었다. 결국, 넷플릭스도 수학을 이용해 어떤 작품이 누구에게 얼마나 만족도를 높여 줄지 자동화된 방식으로 도출해 낸다.
여러 사례가 증명하듯. 수학은 세상을 깊게 이해하는 학문이다. 복잡한 풀이 과정을 단순화해주고, 위대한 학문적 발견 과정에 일조한다. 특히 숫자를 가리키는 말이 없는 브라질 '피라항족', 파푸아뉴기니의 로보다족, 유프노족은 신체 기관을 이용해 수치를 표현하기도 한다.
피라항족은 물건의 가격이나 현재 시각에는 관심 없고 오직 현재만 살아간다. 그래서 과거나 미래에 집착하지 않고 돈이 없어 물물교환으로 살아간다. 마을 사람들이 서로 알고 지낼 만큼 작은 집단이라 가능하기도 했지만 불행한 것은 아니며, 불행하거나 불쌍하다고 느낀다면 그들의 삶에서 생각하지 않아서이다. 숫자를 쓰지 않는 생활, 불편할 것 같지만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찾은 사람들도 있다.
숫자를 알면 현대를 살아가기 편리하다. 그리고 숫자 없이는 현대를 살아갈 수 없기도 하다. 하지만 애초에 숫자가 없는 세상에서 살았다면 아무 불편 없이 살아갈 수 있었을 것이다. 너무 많이 알아서, 너무 많이 갖고 싶고, 욕심을 부려 문명이 발전했지만, 또 인간의 부주의로 충분히 없어질 부질 없는 문명이라 생각했다. 좋은 머리와 돈과 만나 인류의 자멸로 가지 않기 위해 숫자를 더 알아야 할까 깊은 고민에 빠지기도 한 책이다. (그래도 수학은 싫다, 제목처럼 만만하지도 않다고!! )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