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의 추리 소설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최신작 《공허한 십자가》읽고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 '히가시노 게이고'는 추리 소설 작가라는 타이틀이 무색하리 만큼 폭넓고 깊히있는 주제에 접근하기에 이르렀네요. 이제 그의 책들을 읽을 때 범인을 찾는 일따위는 잊은지 오래 입니다. 끝맺음과 살인동기, 실타래 같은 일들의 연결고리를 캐고 싶은 일이 급선무가 되었어요. 굉장한 작가라는 생각이 매번 드는 제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명입니다.
《공허한 십자가》에서는 두 살인 사건이 일어납니다. 아내인 사요코가 잠시 찬거리를 사러 나간 사이 집에 강도가 들어 하나뿐인 딸을 잃고 말죠. 아버지인 나카하라가 직접 다른 살일 사건을 11년 만에 파헤치기 시작합니다. 그 일 이후로 사요코와 이혼하고 살고 있었지만 갑자기 전 부인 사요코의 사망사건으로 다시 한번 살인 사건 속으로 휘말리게 되죠. 아내였던 사요코가 죽기 직전의 일들을 알면서 전 남편 나카하라는 사요코가 11년전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단순히 범인을 찾는 소설이 아님을 밝히는 이유는 이 두 사건으로 인해 얽힌 인물과 사건 사고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작가란 본디 직접 경험하기 힘든 일까지 공부하고 상상해야 하는 어려운 직업임에 틀림 없습니다. 《공허한 십자가》에서는 유족의 입장에서 '사형 제도의 찬반 논란'을 기가막히게 그려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공지영 작가의 《우리들의 행복했던 시간》과 영화 <밀양>이 생각나는데요. 살인이라는 무거운 죄를 과연 인간이 판단하는 것에 문제는 없는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살인 사건을 당한 유족이 원하는 것도 바로 '사형' 하지만, 사형이 정해 진다고 해서 반드시 범법자가 죄를 뉘우치거나 갱생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을 직시합니다. 누구를 위한 제도인지 말입니다.
소설의 제목 《공허한 십자가》는 사요코가 딸을 잃고 줄기차게 취재하고 파헤졌던 사형 폐지론이라는 이름의 폭력'이라는 원고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흔히 죄를 지은 사람은 평생 십자가를 등에 지고 산다고 한다.
그런데 평생 십자가를 등에 지고 사는 사람은 살인자가 아니라, 살인 사건으로 세상을 떠난 피해자의 유족이 아닐까?
*
사람을 죽이면 사형에 처한다 이 판단의 최대 장점은 그 범인은 이제 누구도 죽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p213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살인'은 용서할 수 없는 범죄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살인'의 최고 죄로 '사형'에 처하는 것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곰곰히 따져봐야 합니다. 함무라비 법전 처럼 '눈에는 눈 이에는 이'가 아닌, 그들의 진정으로 죄를 뉘우치는 것인지, 살인범이 교도소에서 몇 년만 있으면 참사람이 되는 지, 누가 단언하고 판단할 수 있는지.. 살인자를 공허한 십자가에 묶어두는 것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생각하게 하는 소설로.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다! 라며 놀랐습니다. 추리소설의 탈을 쓰고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멋진 작가이지요.
그리고 도벽과. 수해(樹海). 반려견 장례식 등 현재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해서도 알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바다 건너이긴 하지만 곧 우리들에게도 닥칠 일들이기 때문에 훨씬 집중하면서 읽어내렸갔던 《공허한 십자가》.아무튼 다음 작품이 늘 기다려 지는 작가이며, 읽지 못한 다른 소설들도 차례차례 접해 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