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중독 - 뇌를 자극하는 맛의 역습! 더 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다
박용우 지음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인간의 뇌는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뇌를 자극하는 맛들은 바로 중독을 일으켜 비만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죠. 음식 앞에서 주체하지 못하는 식욕으로 먹고 , 후회하고를 반복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국내 최고의 비만 전문의 박용우 박사가 파헤지는 '음식 중독'의 실체를 알고 나니. 배가 부른대도 음식을 찾는게 단순한 의지박약이 아니라, 자극하는 맛으로 내 몸이 병들어 가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되었습니다.
음식 중독의 요인은 크게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만성 스트레스, 수면 장애, 설탕, 트랜스 지방, 밀가루 이 다섯가지는 현대인의 삶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우리들의 친구(?)로 자리잡은지 오래입니다. 직장 생활에서 오는 과도한 스트레스, 끝도 없는 집안일, 입시를 위한 공부 등 현대인은 모든지 과하게 설정되어 있는 하루를 살고 있는 퍽 애처로운 동물일지도 모릅니다. 과학과 의학이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현대인의 몸은 그만큼의 축복을 받지 못하고 살고 있죠.

특히 '설탕'과 '트랜스 지방' 중독에 주목 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분유를 먹게 되는 영유아때부터 '설탕 중독'은 시작됩니다. 1980년대부터 분유에 설탕을 첨가가지 않도록 규제를 하고 있지만 많은 아이들이 태어나자 마자 '단맛'에 길들여 집니다. 또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모르게 많이 섭취하고 있는 설탕은 커피 믹스, 탄산 음료, 과자와 빵 등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일반적인 식사를 통해 당섭취가 가능하지만, 우리는 단맛에 길들여져 자신도 모르게 설탕을 찾고 있습니다.
트랜스 지방의 경우도 심각한 중독입니다. 트랜드 지방은 액체 상태의 식물성 기름을 마가린, 쇼트닝 같은 유지나 마요네즈 같은 소스 등 반고체 상태로 가공할 때 산패를 막을 목적으로 수소를 첨가해 인위적으로 굳히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지방을 말하는데요. 자연적인 것이 아니니 당연히 몸에는 해롭겠죠. 현대인이 섭취 할 수 밖에 없는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 대부분에 들어있다고 보면 됩니다. 트랜스 지방 특유의 바삭거리고 사르르 녹는' 쾌미' 때문에 다들 끊지 못하는 것 맞습니다. 《음식 중독》에서는 음식 중독의 요인과 유형, 해결 방법도 제시 되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책 속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미 뇌는 자극의 반응에 최대한 반응하게끔 설정 되어 있습니다. 현재의 식습관을 갑자기 바꾸는 것도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바쁜 삶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맛 까지 좋은 음식의 유혹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움직임을 게을리 해서는 안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란 말처럼, 우리의 적들을 잘 알고 내 몸을 알면 비만과 각종 성인병에서 벗어나는 길이겠죠.

책 속에서 알 수 있는 깨알 같은 정보들과 음식 중독을 막아주는 부적, 먹고 후회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자 하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건강하고 즐거운 삶으로 다가가 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