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세 시대가 온다 - 실리콘밸리의 사상 초유 인체 혁명 프로젝트
토마스 슐츠 지음, 강영옥 옮김 / 리더스북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기대수명 100세 시대 인류의 의학은 어디까지
와있을까? 《200세 시대가 온다》는 인간이 200세까지 살 수 있다면 어떤 세상일까 상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상상이 현실이 된다고?
그렇다, SF 영화에서 그렸던 상상이 현재 실현된 기술을 보면 상상은 공상이 아닌 주춧돌임을 알 수
있다.
인체를 부품으로 갈아 끼우고, AI 주치의가 세밀하고
개인화된 관리를 내놓고, 암을 정복하고, 태아의 유전자를 마음대로 결정하는 시대를 살아갈 것이다. 영생, 오랫동안 죽음을 피할 수 없었던 인간이
도달하고 싶었던 목표에 어쩌면 과학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가 설레는가? 생각만 해도 끔찍할 것인가? 가진 자는 여전히 건강히
오래 살 것이면 가지지 못한 자는 짧은 생을 고통 속에서 마감할 것이다.
한 번 생각해 보자. 200세까지 사는 사람은 어쩌면
죽지 않는다. 암이나 알츠하이머도 정복했기에 죽음에 이르는 병은 나타나지 않는다. 암도 발생 요인과 환경,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질 혹은 원인 중심의 치료가 필요하다. 이제 의사는 필요 없고 컴퓨터의 데이터가 당신의 주치의가 되어 관리, 돌봄, 치료한다. 태어날
아이도 좋은 유전자만 이어 붙여 질병 없이 큰다. 인간은 진정 신의 영역에 도전하고 싶은가 보다. 이 부분은 윤리성과 종교 문제에 크게
부딪힌다.
그렇다면 인류는 긴 인생 동안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노동은 기계가 해주는 시대일 것이며, 죽지 않고 산다면 한정된 자원과 지구에서 어떤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까. 이에 대한 윤리적이고
법적인 문제점과 미래도 생각해 보기 바란다. 건강, 의학 부분만큼 윤리적 함정에 빠지기 쉬운 분야도 없다.
"뇌를 들여다보고, 빠른 속도로 게놈을 분석하고,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류하는 신기술 발달에 기반이 되어준 것이 있다. 바로 컴퓨터공학의 발전이다. 디지털 혁명으로 새로운 이미지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저렴하고 신속하게 유전자 염기 서열을 분석해낼 토대가 마련되었고, 홍수처럼 밀려드는 자료를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
p.38
실리콘밸리는 여전히 IT기업, 스타트업 기업의
산실이다. 컴퓨터 공학은 눈부신 과학의 제2의 전성기를 열어젖히고 있다. 지금도 해가 지지 않았지만 또 다른 도전을 위해 불철주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저자는 실리콘밸리 비밀 연구소에서 흥미로운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10여 년에 걸쳐 탐사보도하기 이른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유전자 조작, 3D 프린터와 연결 지어 인류의 질병과 앞으로의 삶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미 닳거나 고장 난 장기 일부는 우리 몸에 자리
잡아 생명 연장에 도움을 주고 있다. 미래에는 이보다 더 확장된 장기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있다.
인간의 몸은 테세우스의 배인가? 테세우스의 배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배의 모든 부품이 교체되었더라도 여전히 처음의 그 배인지를
논하는 존재에 관한 철학이다.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다양한 담론을 던지게 된다.
앞으로 펼쳐질 미래가 유토피아가 될지 디스토피아가
될지를 실리콘밸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책이다. 최신 동향은 물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핵심 투자자의 인터뷰도 실려 있다. 이미
우리가 잘 몰랐던 의학 기술의 발전 지도와 현실이 될 미래 지도까지 깨알같이 소개되어 있다. 역시 기자 출신의 남다른 자료 취합과 분석, 정리,
팩트체크까지 완료한 농밀함이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