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 리더의 7가지 비밀 - 청소년 기업가 정신 키우는 하브루타 습관
박미정.변선우 지음 / 미다스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4차 산업혁명으로 교육의 미래가 크게 변하고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란 말이 있다. 자녀 교육, 학생 교육에 고민이 많을 것이다. 미래세대의 진로는 취업과 창업의 갈림길에서 벗어나 더 큰 생존전략을 위해 역량을 높여가야 한다.
취업은 점점 더 어려질 것으로 전망되고, 창업을 장려하는 분위기가 크다. 하지만 창업가의 자질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하루하루 경험을 쌓고 생각의 무게를 늘려가는 장기전이다.
책은 창의성 근본을 '하브루타'에서 찾았다. 어릴 때부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고 생각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 즉 부모교육을 실천한 저자의 실제 경험담을 정리했다. 엄마와 아이가 다양한 주제의 하브루타로 창의성을 키워가는 과정이 담겨있다.
유대인은 만 13세에 성인식을 한다. 그때 토라와 시계, 축의금을 받는데 돈은 훗날 사회에 나가는 20대에 종잣돈으로 활용된다 13세부터 큰돈을 직접 운용해보는 유대인 청소년들. 부모는 아이가 어렸을 때 부터 집안일, 봉사활동, 자선 행사 등으로 경제관념과 인성을 함께 가르친다. 세계 경제를 주름잡고 있는 유대인 경제 파워는 부모가 꾸준히 기회를 마련해 준 교육 결과다.
또한 유대인 교육은 정답을 알려주지 않는다. 질문으로 호기심을 자극하고 스스로 경험해 실패로 얻는 생각을 독려한다. 아이는 정답이 아닌 최선의 해답을 스스로 찾는다.
"유대인은 머리가 좋게 태어났다기보다 머리가 좋아지도록 키워진 것이며 그 비결은 하브루타에서 찾아야 한다. 두뇌를 발달시키려면 '자극'이 가장 중요하다.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하브루타는 뇌를 역동적으로 자극한다. 즉 뇌를 격동시켜 최고의 두뇌로 만들어주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전성수-
하브루타(havruta)란 나이가 계급, 성별에 관계없이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논쟁을 통해 진리를 찾는 유대인의 토론 교육방식이다. 하브루타 방식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고 창의력을 기르는 장점이 있다.
책은 자기 주도력을 키우는 하브루타법의 예시를 통해 저자만의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바로 답을 바로 알려주지 말고 질문을 던져 사고하게 만드는 비법이다. 엄마와 아이는 KTX를 타고 혼자 카이스트에 가는 방법, 더 놀고 싶은 워터파크에서 나올 수 있는 방법, 병원 혼자 가보기,아이주도로 세우는 여행 계획, 혼자 요리하는 법 등으로 아이 스스로 하게끔 유도하고 있다.
그밖에 창의성을 키우는 다양한 사례들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소통 방식도 담았다. 탈무드, 이솝우화, 전래동화에서 찾은 질문법은 자연스럽게 아이의 흥미와 생각을 유도한다. 이 부분은 성인인 내가 봐도 다른 사고를 유도하는 창의적인 질문이었다.
교육에 관심 많은 학부모, 교사, 교육 분야 기업가 등에게 필요하다. 아이 없는 나 같은 성인도 고무되었다. 창의성은 아이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유대인은 기업가, 금융가, 자산가, 작가, 배우, 영화감독, 법조계 등 세계 곳곳에 퍼져있다. 그들의 삶의 비법을 응용해보면 어떨까? 하브루타는 창업 시대를 살아갈 미래 아이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심어 줄 해법이 되어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