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덴버에 살고 있는 친구의 블로그에서 얻어온 사진.
고등학교 1학년때 만나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26년 인연이다.
이 친구는 우리나라에서 고등학교 졸업하자 마자 미국으로 유학을 갔는데,
(이제는 미국땅에서 더 오래 산셈)
그 곳에서 결혼도 하고 흔한 말로 자리잡고 잘 살고 있다.
아이가 없어(본인이 아이를 낳아 키울 자신이 없다고 해서)
개 두마리를 키우는데,
개산책을 시키며 돌아다니다가 동네 근처 공사장의 철조망에
누군지 모르지만, 철조망에 수 놓은 꽃자수를 보고 신기하고
가슴이 뭉클해져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사진들이다.
친구가 저 사진들을 올렸던 시기가
12월 크리스마스 전후였던 것 같다.
크리스마스트리보다 더 이쁜~
나 또한 저 철조망의 꽃들을 보고 어찌나 훈훈하고 뭉클해지던지.
그 친구가 지난 목요일에 한국에 왔다.
조선호텔에 묵는다고 해서 오늘 약속 날짜를 잡고 만나고 왔다.
조선호텔 태어나 처음 가는데,
아침에 비가 추적추적 내려 왜 하필 오늘 비가 내린담~ 투덜대며 친구를 만나러 갔다.
사십중반에, 서로 늙은 모습으로 만났지만
(친구는 44살, 나는 70년생이지만 일년 빨리 들어가 69년들하고 학교를 같이 다녔다)
사실 그 친구의 블로그를 통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많이 해서 그런가
오랫만에 만나도 전혀 어색하지 않았다.
조선 호텔 지하에 있는 스파케티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으며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나중에 내가 음식값을 계산했는데, 정말 억소리 나왔다.
스파게티 하나에 부가세 포함 27,500원 해산물 뭔가는 33,000원
놀라 기절하는 줄 알았다. 봉사료까지~ 두 개 주문해 먹고 팔만원 나왔으니~
음식은 맛이 있었지만 솔직히 양이 차지 않아
친구랑 거리로 나와서는 편의점에 들어가 나는 군것질거릴 입에 물었다는)
이 친구는 책을 좋아하는 친구는 아니지만
이런 저런 사는 이야기를 하다보니 거리감은 존재하지 않는 듯했다.
7울 17일날 미국으로 간다고 하는데,
몇번이나 더 만날 수 있는지.
친구와 삼청동을 거닐고 싶다.
월전 미술관도 들리고 작은 식당에서 밥을 먹고 커피도 마시고 싶다.
오랜 친구와 만나고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책을 읽었다.
줄리안 반즈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를 읽으면서,
그리고 그 친구가 블로그에 올린 철조망의 꽃들 사진을 떠 올리며
미래의 걱정이나 불안을 가불하지 말자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심적으로 힘든 게 없다고 할 수 없다. 나는 내가 낙천적인 사람이라 잘 견딜 수있을 것이라고 위안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받아들이기나 무척이나 힘이 든다. 생각해보니 유월 들어 삼시세끼 제대로 먹어 본 적이 거의 없다. 입맛이 거의 나질 않아 허기속에서 하루 하루를 보냈던 것 같다. 하루에 한끼 아니면 커피나 라면으로 떼우니, 며칠 전부터 급격하게 기운이 떨어졌다. 컴 앞에 앉아 있는 것조차 힘들어,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내가 나가서 홍삼을 사 들고 와서 먹고 있다. 요즘은 삼시세끼 꼬박 차려 먹는다. 먹기 싫더라도 기운을 내야겠다 싶어 말이다. 미래의 일어나지도 않을 지도 모르는, 만약이라는 불안은 왜 나를 이렇게 끈덕지게 물고 들어질까. 사람은 왜 미래의 불안을 현재에 걱정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