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가올 초대륙 - 지구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판구조론 히스토리
로스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4월
평점 :
#다가올초대륙 #로스미첼 #이현숙옮김 #흐름출판 #서평 #도서지원 #신간도서 #지구과학의패러다임을바꾼판구조론히스토리 #지구과학 #북스타그램
< 흐름출판사로 부터 도서지원 받아서 쓴 서평입니다 >
지구인으로 살면서도 새삼 지구에 놀랄 때가 있다. 지구의 자전 속도를 상상하고 계산해볼 때, 지형에 따라 문화가 달라지고 그 문화가 수 천 년 이어져올 때, 집 앞 화단을 꾸민 돌덩이가 사실 저 밑에서 아주 오래 있었다는 걸 알 때. 중학교에 입학하고 처음 꾸었던 꿈이 지질학자였던 때가 있었다. 공룡이 좋아서라기보다 땅 위보다 땅 속이 더 궁금하고 알고 싶어서 잠도 못 자던 때가 얼마간 있었다. 이 책, 『다가올 초대륙』을 읽으면서 당시의 두근거림과 그간 들어봤음직한 과학의 장면들과 정보들이 떠올라 즐겁고 설레었다.
초대륙은 로디니아, 판게아 등 인간사만큼이나 지구사도 돌고 돌고 돈다. 지구도 우리의 책처럼 기록을 남긴다는 것, 그 이야기는 지층, 암석 등에 남아 언젠가는 읽혀지기를 기다리고 밝혀지는 순간 과거에 대한 경외와 미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지구 역사에 대한 지식이 지금 지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는 것은 이런 공부의 필요성을 절감케 하면서도, 공부가 필요했나 싶을 만큼 가까운 곳에 답이 있었다는 부끄러움도 느낀다.
저자인 로스 미첼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과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축적된 이야기들은 아주 흥미롭고 재미있으며 쉽게 서술되어 중등과정에서도 충분히 읽을 수 있으며, 지구 역사에 대한 기본 교양서로 널리 읽히기에도 적합한 책이라 생각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빌린 용어인 ‘지리 문해력’을 살짝 변형한 ‘지질 문해력’은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p.15)는 서문의 문장이 책장을 넘길수록 더 깊이 뇌리에 새겨진다. 지식에 대한 보고로서 뿐만 아니라, 과학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기 좋은 계기가 되며, 지구인의 삶과 미래를 바라보는, 우리 존재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은 필독서로 모두에게 권할만한 책이다.
p.107 당시 풋내기 학부생이었던 내가 느낀 바는, 학생으로서 틀려도 괜찮다는 것이었다. 사실 이것이 가장 좋은 학습법이다. 지질학자가 무언가를 처음 발견할 때, 처음에는 해석이 틀릴 수 있다. 하지만 그 실수는 절대 반복하지 않는다.
p.340 과학은 시간이 걸린다. 이는 좌절감을 주는 면이 있지만 동시에 구원하는 면도 있다. 과학은 이제 전 세계에 걸쳐 상호 연결된 하나의 거대한 공동체로, 작은 네트워크가 광대한 규모로 확장됐다. … 과거에서 미래 세계로 떠나는 시간 여행에 동행해주어 감사하다. 아직 모든 것을 잃지는 않았지만, 우리에게는 정말 시간이 필요하다.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이 있어야만 그 일부가 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