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 - 인간의 본능을 사로잡는 세계관―캐릭터―플롯의 원칙
전혜정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서평_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_전혜정_웅진 지식하우스
또렷하다. 합평을 했을 때의 기억.
유명 방송국 공모전에서 당선된 작가님의 대본을 본 작가들은 합장하듯 칭찬했다. 감탄에 감탄의 감탄으로 끝. 그에 비해 나는 최악이었다. 한없이 구겨졌다. 마치 살점이 깎여나가는 느낌이랄까. 마지못해 칭찬하는 어느 감독은 나를 더 비참하게 만들었다. 창피함이 커져 수치심이 되었다, 물론 지금은 좋아졌다. 좋게 말해 그만큼 성장했다는 것일 뿐.
합평을 하면 늘 그런 식이었다. 문제점에 대해 시원하게 가르쳐 주는 것도 아니다. 수정은 나의 몫일 뿐. 아무튼 인내와 고통의 시간은 지나가버렸다.
나는 작법 책을 달고 살진 않지만 지금도 창고라고 부르는 내 방엔 책이 꽤 많다. 그렇다고 연구하는 것처럼 열심히 보는 것도 아니지만 대본을 쓰다가 막힐 땐 보물찾기 하는 것처럼 찾아보는 정도였다. 그렇게 작법 책이 많은데도 실력이 제자리인 이유는 무엇일까? 지나가는 아무나 붙잡고 물어보고 싶은 심정이다. 결국 내가 쓴 대본은 지금도 최악인 상태다. 박제되어버렸다.
그런 마음으로 삶을 살아가며 우연히 만나게 된 책이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다. 사실 어떤 작법 책이건 기대 반, 실망 반으로 바라본다. 소위 누구나 알법한 내용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던가, 핵심 진액은 최소한으로 하고 설명 위주의 딱딱한 내용뿐이라던가. 실질적인 방법이 없는 말 그대로 무용지물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부터 든다.
저자 전혜정은 스토리 작가이자 연구자, 그리고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웹 소설 창작전공 교수. 그렇지만 록 음악과 장르물, 게임을 좋아하는 오타쿠라고 한다. 그녀는 이화여자대학교에 들어가 시각디자인 및 영상 디자인을 전공했다.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개인 사업자를 내고 스토리 창작을 시작했으며 단편 소설로 데뷔했다. 콘텐츠 기획 PD를 거쳐 스토리텔링 회사를 설립했고 SF 단편 영화 제작 및 시나리오에 참여했으며 다수의 웹툰 시나리오를 집필했다.
현재는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어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전혜정 교수의 강의는 스토리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과 특유의 유머러스함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사랑받는 강의라고 한다.
무엇보다도 특히 이 책의 장점은 내 스토리의 문제점에 대한 근원적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인물, 배경, 사건에 대한 이야기와 캐릭터, 플롯, 세계관에 대한 기본적인 의미에서부터 시작해서 영화나 드라마의 장면적 특징을 분석하며 이해를 돕는다. 사실 스포일러가 있어서 모르는 작품은 건너 뛰었다. 이 부분은 독자의 선택적인 부분이기에 크게 개의치는 않았다. 하지만 아는 작품이 나왔을 땐 훨씬 더 이해하기가 쉬웠다. 그리고 주인공의 결핍을 정의할 수 있는 임상심리학자 제프리 E. 영의 스키마 치료 이론에 관한 것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일단 완독을 했지만 내가 쓰려는 스토리와 비교해 보며 이 책이 제시한 방법들을 적용해 볼 생각이다. 정말 작가 지망생부터 콘텐츠 창작자까지 두루 도움이 될 책이기에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