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늘을 건너는 교실
이요하라 신 지음, 이선희 옮김 / 팩토리나인 / 2025년 7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서평_하늘을 건너는 교실_이요하라 신_팩토리나인
인생을 산다는 건 참 어려운 일이다. 문득 그런 생각도 든다. 지금의 나는 무능력한 일개 작가를 꿈꾸는 혹은 작가라고 할 수도 있는 존재이다. 금전적인 성공조차 못하고 사는 현실은 너무나 나를 괴롭게 한다. 하지만 이 세상에 내가 태어났다는 건 정말 기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을 설명하자면 과학 이야기를 해야겠지만 지금까지 건강하게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하지 않을까. 뭐 그런 생각을 하며 지낸다.
나이가 좀 드니 일상생활이 너무 지루하다. 물론 현실적인 문제 때문이기도 하다. 예전처럼 직장 생활을 계속했다면 일하며 돈 버느라 이런 쓸데없는 생각은 떠오르지도 않았을 테니 말이다. 그 어떤 자극적인 것에도 무덤덤함을 유지한 다는 것. 이런 점이 나이를 먹었다는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무언가가 필요한 것 같긴 하다. 살아가기 위해선.
책을 자주 읽지만 모든 책을 무조건 열심히 읽는 건 아니다. 이번에는 이용하라 신 작가의 ‘하늘을 건너는 교실’을 읽게 되었다.
그는 1972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고베대학 어학부 지구과학과를 졸업한 후, 도쿄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2003년부터 도야마대학이학부에서 조교로 근무했다. 2008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2009년에 첫 소설 <두 번째 보름달>을 발표하여 55회 에도가와 란포상 최종 후보작에 올랐다. 2025년에는 172회 나오키 상을 수상했다.
참 대단한 작가다. 문학을 전공한 것도 아니고 어린 시절부터 글을 써왔던 것도 아니며 과학을 연구하는 분이셨다. 글을 쓴 건 2008년도였으니 비교적 늦은 편이다. 그런데도 첫 번째 작품으로 일본의 유명한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르고 올해엔 나오키 상을 수상했으니 말이다. 이 소설을 읽으며 느꼈지만 요즘은 성장 소설이나 휴먼 스토리가 유행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나 자극적이며 피가 낭자하는 스릴러 소설이나 공포물을 주로 읽다가 이런 순백 느낌의 소설을 읽으려니 마냥 쉽지만은 않았지만 어찌 보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꼭 현실의 나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생을 무조건적으로 삐뚤게 보는 건 좋지 않은 습관이지만 NHK 드라마로 제작된 이 소설은 과학 실험과 인생의 은유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매력이 있다. 물론 일본의 문화화는 그 특성이 한국은 다르지만 본질적인 심리에 집중하면 충분히 감동과 재미가 있는 소설이기에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