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공포증 난 책읽기가 좋아
수산나 타마로 지음, 박진아 옮김, 우테 크라우제 그림 / 비룡소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책이 좋다는 걸 알면서도 책읽기 싫어하는 것은 왜일까?
책을 읽으면 재미있다고 하는데 어떤 이는 그 재미를 찾지 못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누군가는 책 속에 빠져 사는데 어떤 이는 글자만 봐도 속이 울렁거린다고 말할 정도이다.

레오폴도는 생일 선물로 운동화를 받고 싶었다.  하지만 부모님은 늘 그렇듯이 책을 선물해 주셨다. ’종이공포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레오폴드. 그 뒤로 부모님은 더욱더 책읽기를 강요했다. 부모님은 책읽기를 너무 좋아한다. 그렇게 재미있는 책을 읽으려 하지 않는 레오폴드를 이해하지 못한다. 레오폴드 또한 자신이 무얼 갖고 싶은지 알지 못하고 생일 때 마다 책을 선물해 주시는 부모님이 원망스럽다. 

나도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고 잔소리를 한 적이 있다. "이 책은 교과 관련도서이고 이건 권장도서이고, 이건 꼭 읽어야하는 책이래." 하며 아이에게 한아름 책을 안긴 적도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너무 바보같은 행동이였다.  아이의 마음이 어떠한지 들여다보지도 못하고 다른 사람들이 읽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엄마들이 읽히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나두 아이에게 책읽기를 강요했다.

우리는 누구나 책읽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좋은 것이라는걸 알면서도 쉽게 읽지 못하고 있다. 시간이 없다는 이유를 대면서 우리는 TV나 컴퓨터 앞에 앉아있다.

우리의 레오폴드는 앞이 보이지 않는 할아버지에게 책을 읽어주다가 또 다른 세상을 만나게 된다. 그 세상을 여행하는 레오폴드. 이젠 세 식구가 주말이면 쇼파에 앉아 다정히 책을 읽게 된다.

우리가 알지 못하고 가보지 못하는 세상...책 속에서는 우린 어디든 갈 수 있다. 해적선의 선장이 될 수도 있고 악당에게 쫓기는 주인공이 될 수도 구름을 타고 다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책은 우리가 가보지 못한 또 다른 세상으로 안내하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새 - 정호승 동시집 행복한 동시 1
정호승 지음, 정지예 그림 / 처음주니어 / 2010년 7월
절판


책을 자주 사긴 하지만 동시집을 잘 사지 않게 된다.
그러다 보니 아이가 동시를 읽는 기회가 적다.
학교 수업 시간에 배우는 동시 말고는 별로 아는 것이 없는 듯 하다.
아이를 위해 어떤 동시집을 살까 고민 하던중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정호승 님의 책이 눈에 띄었다.
책 표지에 남은 헝겊들을 모아 꿰매 놓은 듯한 참새의 모습과 ’참새’ 라는 글씨도
한땀한땀 바느질을 해서 새겨 놓았다.

책 속을 들여다보면...
동시의 각 제목들도 한땀한땀 바느질을 해서 새겨 놓았다.
이것만으로도 아이들은 호기심있게 동시를 들여다보게 된다.


어떤 동시들은 내용도 한땀한땀 수를 놓듯 정성스럽게 적혀 있다.
아이가 이 부분에서는 손으로 글자 하나하나 짚어가며 동시를 따라 읽어 내려갔다.

동시와 어우러진 그림들을 보면서 아이가 참 좋아했다.
’씨앗’ 이라는 동시에 나오는 모습은 너무 따뜻했다.
엄마의 뱃속에 있는 아기의 모습이 너무나 행복하게 느껴졌다

지붕

집집마다
지붕은 왜 있을까
아마
지붕 위에
사다리를 놓고
하루에 한 번씩
별에 올라가서 놀다가
내려오라고
있을거야


아이들에게 책을 많이 읽으라고 하면서 동시는 잘 읽히지 않는 것 같다.
아이와 한 번에 읽어 내려가지 않으려 노력했다.
시 하나하나 소리내어 함께 읽으며 시 속에 담겨져 있는 마음을 보려고 노력 했다.
아이도 처음엔 글자를 읽어 내려가다 어느 새 시 안의 세계에 풍덩~~
눈사람이 되어 보기도 하고 개미가 되어 지구를 들어보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제8회 푸른문학상 <새로운 작가상> 부문에 응모된 453편의 작품 가운데 뽑힌 수상작중 단편동화 7편을 모은 동화집이다.

고학년으로 올라가는 아이는 늘 글보다는 그림이 많은 책을...활자도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을 주로 읽었다. 이 책을 같이 읽자고 했을때도 "그림은 없구 글자 크기도 너무 작은데..."라며 뽀로통하게 말을 한다. 

아이가 만화를 주로 보고 생각을 해야하는 책을 잘 읽으려 하지 않아 책상에 앉아 책 읽는 시간을 갖기 보다는 잠자리에 아이와 함께 누워 같은 책을 보거나 같이 누워 다른 책을 보는 시간을 갖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 책은 먼저 읽고 내용이 너무 좋아 아이에게 슬쩍 읽어보라 했다. 처음엔 싫은듯 이불 속으로 파고 들더니 한장 한장 넘기며 빠져 드는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런게 책의 매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의도적이 아니라 나도 모르게 책 속의 세계로 빠져드는 것..더구나 이 책 속엔 책을 싫어하는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되는 이야기가 있어 아이가 더  관심있게 읽었는지 모르겠다.

모두들 문제아라고 생각하고 자기 자신도 문제아라 생각하며 행동하는 최욱삼. 그런 아이에게 아무도 관심 가져주지 않았다. 차가운 시선을 던졌을뿐...하지만 새 담임 선생님의 관심이 욱삼이를 날게했다. 

우리는 누구나 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꿈조차 꾸지 못한다.  스스로 꿈을 꾸지 않는 이들도 있지만 다른 이들에 의해 꿈꿀 기회조차 갖지 못할때가 있다. 우리가 소위 ’문제아’ 라고 부르는 아이들. 그런 친구들을 보면서 ’저 아이는 원래 그래.’ ’저런 애들은 무슨 말을 해도 듣지 않아.’ 라는 생각으로 관심조차 갖지 않는다. 만냑 내 아이라면 어떨까? 내 아이라도 원래 그런 아이라며 포기할 수 있을까? 우리의 작은 관심만으로도 그 친구들도 꿈을 꾸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을텐데... 

아이는 책 속의 이야기 중 ’도서관 길 고양이’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자기처럼 책을 좋아하지 않는 미르가 나왔기 때문이다. 또 거리에서 보던 노숙자 아저씨가 책을 읽는 것을 신기하게 느꼈다. 
"노숙자 아저씨는 책 보다는 먹을 것을 좋아할 것 같은데 밤마다 도서관에 와서 책을 읽다니..책을 읽으면 배 고픈것도 잊어버리나봐? 그치..." 
아이가 책을 읽다가 한마디 던진다. 책 읽는 것을 공부라 생각하고 숙제라 생각하며 뒤틀면서 읽던 아이인데..이렇게 아이의 마음을 움직이는 책을 만나게 되면 "야호~"하고 나도 모르게 소리를 내고 만다. 물론 아이 모르게 속으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샌드위치 바꿔 먹기 -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화 그림책 I LOVE 그림책
라니아 알 압둘라 왕비 글, 트리샤 투사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11년 2월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두 소녀가 손을 마주잡고 서로 미소 지으며 바라보고 있다.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화 그림책’
- 이 책을 설명해 주는 글도 적혀있다.

뒷표지에는 글을 쓴 라니아 알 압둘라 요르단 왕비의 사진이 나와있다

빌 클린턴(전 미국 대통령), 마리아 슈라이버(캘리포니아 주지사 부인),
멜린다 게이츠(빌 게이츠 부인)가 이 책을 추천하는 글도 나와 있다.

학교에서 가장 친한 친구 셀마와 릴리.
둘은 함께 그림을 그리고 그네를 타고 놀며 줄넘기를 하고 함께 점심을 먹는다.
하지만 둘의 먹는 음식은 다르다.
릴리는 매일 땅콩버터 잼 샌드위치를 먹고 셀마는 후무스 샌드위치를 먹는다.
서로 너무 친하지만 매일 먹는 서로의 음식에 대해서는
이상하고 끔찍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둘은 서로의 음식에 대해 구역질 나고 역겨워 보인다는 말을 하게 된다.


결국 음식 싸움이 벌어지는데...
땅콩버터 잼 샌드위치와 후무스 샌드위치, 다른 음식들이 이리저리 날아다니고
음식들은 벽, 천장, 삭당 아주머니에게 붙는다.
이런 모습을 지켜보던 셀마와 릴리는 부끄러워지고 난장판이 된 식당을 말없이 치운다

다음 날, 셀마와 릴리는 서로의 음식을 먹어보며 "맛있다!, 맛있어!" 라는
말과 함께 서로를 껴안는다.
둘은 교장 선생님을 찾아가 특별한 전교 행사를 제안하는데...

책 속의 파티 장면을 보면 여러 나라 국기 중에 태극기도 보이네요^^

우리 주변에도 다문화 가정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들을 다른 시선으로 보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선을 그어 놓고 '나와 너' 라는 생각으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나와 틀리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선입견'이란 것은 참 무서운 것이다.
그 사람에 대해 알기도 전에 미리 생각하고 단정지어 버리니 말이다.
이제는 다름을 인정하고' 나와 너'가 아닌 '우리' 라는 생각으로 그들을
안아 주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마스 캐럴 네버랜드 클래식 16
찰스 디킨스 지음, 퀸틴 블레이크 그림, 김난령 옮김 / 시공주니어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이 ’크리스마스 캐럴’ 이란 책은 알지 못해도 스크루지는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구두쇠의 대명사 스크루지.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스크루지에 대한 이야기를 누구나 할 것이다. 평상시 때 구두쇠 같은 사람을 보고도 우리는 "스크루지 같으니라고..."  말하지 않던가? 스크루지는 처음부터 구두쇠였을까? 그는 왜 그런 구두쇠같은 사람이 되었을까?

연말이 되면 거리에서 구세군을 쉽게 볼 수 있다.  다른 때보다 유난히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온정의 손길을 기다리는 곳이 많다.  외로우면 유난히 더 추운듯.. 그래서인지 외로운 사람들을 찾아가 따뜻한 손길을 내미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진심어린 마음으로 손길을 내미는 사람들도 있지만  왠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손길을 내미는 사람들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진심이 아닌 것을 그들도 알고 있을텐데... 그들은 또 한번의 상처를 받는 것이다.

스크루지는 너무도 오랜시간 외로운 크리스마스를 보냈다.
어쩌면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이 아니였을까?

작은 것이라도 나눌 수 있는 마음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도와주고 싶어도 내가 가진게 없어서..."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물질적인 것만 아니라 함께 웃고 슬퍼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친구가 필요한 것이다. 음식 하나, 옷 하나 보다 자신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 주는 사람..자신의 아픔을 이해하며 진심으로 울어 줄수 있는 사람...

이제 스크루지는 나누는 기쁨을 알게 되었다.  
더 이상 외로운 크리스마스를 보내지 않고 사람들과 행복을 나누는 스크루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