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유의 빛
강화길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6월
평점 :




그래 이 맛이야라는 광고 카피가 유명한 다시다의 효과는 대단했다. 김치찌개에게 새 생명을 부여하셨다. 앞다리살과 두부와 파와 청양고추를 넣었지만 약간 밍밍한 맛이었다. 냉장고에 하나 남은 다시다 한 포를 넣었다. 지금까지 집에서 끓인 김치찌개 중 최고의 맛이었다. MSG 만세! 깊은 밤이었지만 이대로 자야 하지만 두부와 밥과 김치를 얹어서 먹었다.
강화길의 소설 『치유의 빛』을 읽었기에 먹었다는 것에 죄책감도 후회도 하지 않기로 했다. 세상은 넓고 맛있는 건 많다. 배달 앱만 켜도 온갖 산해진미가 가득하다. 여름 바다의 빛을 닮은 표지 색깔의 『치유의 빛』이 다루고 있는 묵직한 주제는 고통으로 슬픔으로 다가오지만 결말에 다가가면 삶은 모종의 기쁨을 숨겨 놨다는 것에 안도하게 된다.
주인공 박지수는 우리에게 자신의 교복 이야기부터 하고 싶다고 한다. 열다섯 가을부터 키가 20센티 넘게 크고 살이 쪘다. 초등학교 동창의 언니에게 물려받은 교복이 맞지 않았다. 넉넉하지 않은 형편의 부모는 딸의 갑작스러운 성장의 기쁨보다 돈이 나간다는 사실에 분노했다. 부모의 불화를 곁에서 지켜보며 자란다는 건 어떤 기분일지 짐작이 가기에 지수의 교복을 대신 사주고 싶었다.
사람들 사이에서 존재감이 없던 지수는 키가 크고 살이 찌면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더욱더 노력해야 했다. 노력했지만 노력일 뿐이었다. 체육복을 사지 못해서 체육 교사에게 남는 체육복이 있는지를 물어야 했고 친구들을 사귀는 것도 어려웠다. 살이 찌기 전 부모는 지수의 성장판이 열릴 수 있도록 수영 강습에 보냈다. 그때 배운 수영이 지수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자신의 거대한 몸을 감추기에만 급급했던 지수에게 학교에서 가장 인기 많은 애 해리아가 말을 건다. 열정 과다의 체육 교사 김이영이 아이들에게 수영을 가르쳤다. 시험을 봐야 했기에 해리아는 지수에게 도움을 청한다. 자신에게 수영을 가르쳐 달라는. 지수는 해리아가 자신에게 말을 걸었고 도움을 청했다는 사실에 황홀해한다. 인기 많은 애 옆에 인기 많고 싶은 애가 있다. 해리아 옆에 신아.
셋은 방과 후 수영 연습을 하며 아슬아슬한 친분 관계를 유지한다. 『치유의 빛』은 여성의 몸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고통 없는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깨우쳐 준다. 날씬하지 않은 몸, 식탐이 가득한 나, 예쁘지 않은 얼굴의 나. 능력, 내면, 성실함, 성격의 안정성이 아닌 외모로써 평가하며 나다움을 강탈 당하는 현실을 밀도 있는 문장과 서사로 꼬집는다.
예쁘지 않은 몸의 자각이 아닌 아프지 않은 몸이라는 걸 깨닫게 되기를 바라는 강렬한 응원이 『치유의 빛』에 있다. 배가 고프다. 그리고 먹는다의 행위는 정상이다. 배가 고프다. 그러나 참는다의 행위가 잘못이다. 전부를 잃었다고 했을 때 아프지 않은 내가 남아 있음을 그것만은 지켜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