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사 크리스티 코드 - 다섯 가지 코드로 크리스티를 읽다
오오야 히로코 지음, 이희재 옮김 / 애플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거사 크리스티 코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오랜만에 애거사를 다시 읽는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을 읽는 게 아니라, 그녀의 소설을 분석한 책을 읽는다.

애거사 크리스티 작품을 코드별로 분석하며 살펴보는 책이다,

 

읽어가는 데 어떤 코드를 살펴가며 읽어가면 좋을까?

 

1장 탐정으로 읽다

2장 무대와 시대로 읽다

3장 인간관계로 읽다

4장 속임수 기술로 읽다

5장 독자를 어떻게 함정으로 이끄는가

 

이렇게 5가지를 가지고 애거사 크리스티의 작품을 분석하며 읽어갈 수 있다.

예컨대, 애거사 크리스티는 5명이 넘는 탐정을 창조했다.

 

이방인, 에르퀼 푸아로

시대의 증인, 제인 마플

나이를 먹는 토미&터펜스

침묵이 빛나는 수사관, 배틀 총경

단편소설 속 개성적인 탐정들

 

이 중에서 배틀 총경은 이 책으로 다시 살펴보게 된 탐정이다.

여지껏 그녀의 소설을 주욱 읽어왔는데, 배틀 총경은 탐정 대열에 넣지 않고 있었다.

이 책을 보니 배틀 총경도 흥미진진한 사건을 해결한 탐정에 속하는 인물이었다.

0 시를 향하여가 바로 그가 활약하는 소설이다.

그래서? 다시 한번 읽어가면서 배틀을 따라가 볼 작정이다,

 

또한 마플의 경우는 어떤가? 크리스티가 창조한 탐정중 포와로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탐정이다.

 

마플이 처음 등장했을 때의 설정은 65~70세 정도였다. 훗날 크리스티는 이렇게 오래 쓸 줄 알았으면 초등학생으로 설정할 걸 그랬다고 술회했다. 하지만 마플은 자신의 인생 경험을 바탕으로 추리하는 탐정이니 아무래도 초등학생 나이는 무리였을 것이다. 예전에 만난 사람들과 경험했던 일을 떠올리면서, 지금 일어난 사건과 비슷한 일이 있었을 때 그 사람은 어떻게 행동했는지 생각한다. 이와 같이 마플은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자신의 추리를 짜맞춰 나간다. (30)

 

나로서는 마플은 이런 것도 알게 해준 인물이다.

마플 양이 멋진 활약을 펼치는 작품 깨어진 거울 (The Mirror Crack'd)(1962).

이제 나이 많아, 몸이 말을 듣지 않게 된 마플 양, 바깥출입 하는 것도 힘이 든다.

어쩌다 나간 동네 한 바퀴 길에서 넘어지기도 한다.

그런 일이 생긴 다음날, 의사 헤이독이 왕진을 온다.

 

넘어졌다고 들었어요. 부인 나이에 그러면 안 된다는 거 알죠? 경고하는 겁니다. (……)”

(……)

절대로 혼자 있지 못하는 거죠! 혼자서 몇 분이라도 나가는 것조차 힘들어요.

심지어 뜨개질도 그래요. 난 늘 뜨개질에서 위안을 얻죠.

그런데 요즘은 노상 코를 빠뜨려요. 더군다나 빠트렸다는 것도 모를 때가 많다니까요.”‘

헤이독이 사려 깊게 그녀를 바라보다가 두 눈을 반짝였다.

언제나 반대도 있어요.”

무슨 뜻이죠?”

뜨개질하는 게 힘들면 반대로 풀어보는 건 어때요? 페넬로페도그랬죠.”

그녀와 같은 입장이 아닌데요.”

그래도 풀어내는 게 부인의 특기가 아니었나요?”

그가 자리에서 일어났다.

가 봐야겠어요. 근사하고 흥미진진한 살인사건을 처방해 드리죠.”

정말 터무니없는 말이군요!”

그런가요? (……)”

 

헤이독은 의기소침해 있는 마플 양에게 살인사건을 처방해 준다.

무언가 활력소가 될 만한 소일거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대화중, 깨알 같은 유머가 들어 있는데, 그 유머가 작동하려면 인물 하나를 알아야 한다.

바로 페넬로페!

뜨개질하는 게 힘들면 그 반대로 풀어보는 게 어떠냐며, 거론한 인물 페넬로페.

페넬로페가 누군지 알아야 저 말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테니까.

 

그렇게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관심을 갖게 만들어준 작품이 바로 마플이 등장하는

깨어진 거울 (The Mirror Crack'd)(1962).


정말로 마플은 특이한 탐정이다. 집안에만 있으면서도 마을 사정을 다 알고,

또 일어난 사건도 다 아는 것을 보면 신기에 가까운 정도다.

소위 안락의자 탐정이라 불리는 그런 인물을 창조한 크리스티에 경의를 표할 수밖에.

 

 

또 있다. 이 책을 통해 비로소 진가를 알게 된 작품이 있다.

파커 파인 사건집이 바로 그 작품이다.

 

이 책에는 파커 파인 시리즈가 모두 14편이 들어있다.

그런데 읽긴 읽었는데, 이런 분류가 가능한지 전혀 모르고 읽었다.

전반부 6편과 나머지 후반부로 나누어진다는 것.

 

남편의 바람 때문에 깊은 고민에 빠진 부인과 상담하고, 그 부인의 고민을 말끔하게 해결하는 탐정이라니, 그런 탐정이기도 한 파커 파인은 뒤이어 뻔한 결말 같지만 의의의 전개도 재미를 선사하기도 한다.

그런 작품, 그런 탐정인 것을 몰라봤다. 죄송한 마음, 해서 다시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특징들

 

저자는 일일이 크리스티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그녀의 작품 특징을 도출해내고 있다.

그 중에 몇 가지 살펴본다.

 

교묘한 문장 표현이 두드러진다. 모든 진상을 알게 된 후에 읽어보면, 분명 같은 문장인데도 처음 읽었을 때와 다른 광경으로 읽히는 점에 경악하게 된다. (78)

 

크리스티의 주된 특기는 트릭을 내세우지 않는 편이다.

복선의 활용이나 독자를 오인하게 만드는 함정, 문장 표현을 이용한 속임수들이 크리스티의 주특기다. (88)

 

마플이 여러 작품에서 사형 존속을 강하게 주장하였음에 주목해야 한다. 뉘우치지 않는 악은 단죄해야만 한다는 크리스티의 정의가 마플에 반영된 것이다. (105)

 

이런 것도 작품의 배경설명이 될 것이다.


젊었을 때는 식민지로 떠나 있다가, 남은 인생은 교외의 컨트리하우스에서 여유를 즐기는 상류층에서 유지했던 생활방식은 점점 바뀌어간다, 식민지의 독립과 더불어 그런 양식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따라서 크리스티가 즐겨 사용하던 작품 배경이 바뀌어지게 된다. (120)

 

그런 변화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 살인을 예고합니다이다. (122)

 

모든 등장인물이 용의선상에 있는 것도 크리스티가 좋아하는 설정이다. ‘

그런 류의 작품이 많이 있는데, 백주의 악마도 그 중의 하나다.

 

여정이 주제인 작품들

 

오리엔트 특급 살인

카리브 해의 미스터리

 

이런 종류의 작품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중동 지역이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점점 식민지에서 독립하면서, 정세가 불안해져 휴양지로서의 인기가 급격하게 사그라든다. 대신 여전히 영국령으로 남아있던 서인도 제도가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된다. (103)

 

1960년대에 이르자, 예전에는 고위층이나 유명 인사의 특권이었던 해외여행의 문이 서민들에게도 활짝 열리게 되었다. (103)

 

밑줄 긋고 새겨볼 말들

 

마플의 말이다.

인간이란 모두 엇비슷한 존재죠. 다만, 아마 다행스럽게도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할 뿐이에요. (34)

 

당연하게도 평온한 일상이 살인이라는 비일상적 사건의 위협을 받을 때 독자들은 짜릿한 재미를 느낀다. 탐정의 추리로 수수께끼를 풀고 일상의 질서를 되찾았을 때는 저도 모르게 안심이 밀려든다. (75)

 

이런 게 추리소설을 읽는 재미 아닐까?

 

다시, 이 책은?

 

애거사 크리스티, 탐정소설의 여왕. 명불허전이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작품을 그렇게 많이 읽었으면서도 막상 그녀의 작품 특징을 말하라고 한다면, 어떤 점이 크리스티의 매력이냐고 물으면, 글쎄.. 하여간...재미있으니까..... 라고만 말할 정도였는데, 이 책으로 애거사 크리스티의 특징을, 매력을 샅샅이 파악하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마치 크리스티의 작품 전체를 탐정의 매같은 날카로움으로 살펴보고,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이것이 바로 애거사 크리스티라고.

그러니 이제 저자가 알려준 대로 5개의 코드를 가지고 크리스티의 작품을 다시 읽는 일만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인생 - 프란치스코 교황 최초 공식 자서전
프란치스코 교황.파비오 마르케세 라고나 지음, 염철호 옮김 / 윌북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인생 (프란치스코 교황 최초 공식 자서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이 책에는 교황의 육성이 담겨있다.

특별히 교황의 일생 중에서 세계사의 굵직긁직한 사건들에 대하여 소회를 밝히고 있는데,

그게 또한 세계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책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읽을만 하다.

 

하나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인생을 주욱 훑어볼 수 있다는 것,

두 번째는 세계사의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돌아볼 수 있는데, 그런 사건에 대한 교황의 의견도 같이 들어볼 수 있다는 점이다.

 

교황의 이야기는 교황의 부모님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시작된다.

 

평화스런 어느 가정, 출근하려는 남편 마리오의 귀에 라디오에서 뉴스 하나가 들려온다.

영국 총리 체임벌린이 나치 독일과의 전쟁을 공표했다는 소식이었다. 이렇게 제 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다.

 

그 집, 바로 교황이 아직 어린아이였을 때의 일이다.

교황은 19361217일생이니, 당시 세 살이었다,

교황의 이름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료.


(교황은) 아르헨티나로 이민온 이탈리아 출신 철도노동자 마리오 호세 베르고글리오(Mario José Bergoglio)레히나 마리아 시보리(Regina María Sívori) 부부 사이에서 19361217일에 태어났다. (나무위키)

 

그렇게 시작한 이 책은

교황의 생애를 주욱 훑어가며 그의 육성을 전해준다.

 

1970년대 아르헨티나의 군사독재에 대해 침묵했던 전적이 있다는 비난을 받았고 관련 건으로 인권단체에서 2010년도에 고발된 적이 있다. 예수회 소속의 사제 2명이 독재정권에 납치되어 고문당한 사건에 침묵했다는 의혹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교황이 아르헨티나 군부 유력자의 가족신부 등의 개인적 네트워크를 동원하여 독재자들에게 사적으로 선처를 호소하였고, 두 사제는 결국 풀려났다고 밝혀졌다. (나무 위키)

 

이 사건에 대하여도, 교황의 입장을 자세히 들어볼 수 있다.

이 책 116쪽 이하에 그 상황이 드러나고 있다.

 

저 역시 독재 시절 중상모략의 희생자였습니다. 사람들은 제가 바호 플로렌스 빈민가에서 일하던 오를란도 요리오 신부와 프란시스코 할릭스 신부를 정권에 넘겼다고 비난했습니다. (116)

 

그 말에 이어서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났으며 어떻게 오해가 생겼으며, 풀렸는지 교황의 입장을 잘 들어볼 수 있다.

 

또한 로메로 주교 이야기도 나오는데, 먼저 나무위키에서 로메로 주교 사건을 들어보자.

 

같은 남미의 나라인 엘살바도르에서는 1970년대에 독재에 저항하던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가 미사 중에 대중의 눈 앞에서 사살당했는데도 범인들은 밝혀지지 않았고, 오히려 엉뚱한 사람들이 누명을 쓰고 사형을 당했다. (나무위키)

 

오스카 로메로 주교에 관한 이야기도 등장한다.

 

어떤 이들은 앙헬렐리 몬시뇰과 1980년 미사를 집전하던 중 살해된 산살바도르 주교 오스카 로메로 몬시뇰이 복음을 마르크스주의에 따라 해석했으며, 좌파 정치 이념에 영향을 받은 해방신학을 받아들였다고 비난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연코 거짓입니다. (113)

 

참고로 이 글에서 두 신부의 이름 뒤에 붙은 말, 몬시뇰은 이런 뜻을 가지고 있다.

 

몬시뇰(monsignor)은 천주교에서 교황의 명예 전속 사제로 확정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직자들에 대한 경칭이다. 몬시뇰은 프랑스어로 "나의 주인님"을 뜻하는 mon seigneur에서 유래한 이탈리아어 monsignore에서 어미음을 생략한 것이다. 영어로는 Msgr. 또는 Mons.로 생략한다. 프랑스어로는 (마침표 없이) Mgr로 생략한다. (위키백과)

 

그러니 이름 자체는 아닌 것이다.

 

2014년 즉위 1주년을 앞두고 앞에서는 침묵했지만 뒤에서는 은신처를 제공하고 해외도피를 도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최소 20~30, 최대 100명까지 반정부 인사들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3만 명이나 희생된 아르헨티나 군부독재의 참상에서 수백 명 구했다는 것이 침묵을 정당화할 수 있느냐는 비판은 가능하지만, 적어도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보다는 분명히 나은 행동이며, 위쪽 문단에서도 설명했듯이 은신처는 물론 해외도피까지 실제로 도왔다는 점에서 자신의 위험도 기꺼이 무릅썼다는 점은 충분히 인정할 만하다. (나무위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 하나가 바로 이런 점이다.


교황 입으로는 말하기 어려운 사건들, 어찌보면 자신의 공적을 스스로 말하기 어려울테니까. 이렇게 다른 자료들을 찾아 읽어야 하는 독자들을 생각한다면, 편집자가 교황의 그런 측면을 고려해서 별도로 참고자료 정도를 적어주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교황 약력과 그런 중요한 사건들을 별도로 편집자 주 정도로 해서 말이다.

 

교황으로 선출되다


우선 개략적으로 나무위키에서 정보를 찾아보았다.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건강상의 문제로 퇴위한 후에 치러진 콘클라베 이틀째인 2013313일 오후 7시 기준으로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교황청이 부패 스캔들과 섹스 스캔들로 홍역을 치른 만큼, 개인적으로 청렴하고 교리적으로는 보수적이며 사회적으로는 개혁적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차기 교황으로 선출된 듯. 그동안 거론되던 주요 교황 후보는 아니지만 인지도가 아예 없던 상황은 아니었다고 한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비유럽파 추기경들은 개혁적인 교황을 원했으나 적절한 후보를 내지못한 상태에서 콘클라베에 돌입했다고 한다. 투표 전에 모든 추기경들이 소신을 피력하는 개인발표 시간이 있었는데, 이때 베르골료 추기경이 교회가 본연의 영적인 임무에 돌아가야 한다고 피력한 것이 결정적이 되었다. 그의 이런 피력을 계기로 개혁파 추기경들이 그에게 주목했고 뒤이은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나무위키)

 

여기 기록에서 보는 소신을 피력하는 개인 발표, 그것에 관한 이야기도 이 책에 등장한다.

 

베르골료 추기경(교황이 되기 전이니까) 은 스페인어로 손수 적어온 메모를 읽기 시작한다. 발언 시간은 3분으로 제한되어 있었으며, 시간이 다 되면 마이크가 자동으로 꺼진다는 점은 그도 잘 알고 있었다. (233)

 

그렇게 개인 발표가 있었는데, 그 내용이 어떤 것인지 이 책 233~ 235쪽에 실려있다.

 

그 개인발표는?

 

그 연설이 제 운명을 바꾸어버렸습니다. 제 인생이 바뀌는데 3분도 채 걸리지 않았어요. 연설이 끝나자 박수갈채가 쏟아졌고, 그 순간부터 제 이름이 회자되기 시작했다는 말을 나중에 듣게 되었습니다. (235)

 

교황과 함께 음악을 만나다.

 

교황은 그의 인생을 반추하면서, 가족과 함께 했던 음악을 이야기한다.

음악에 관한 기억이 여기저기 등장하는 것을 보면, 교황의 음악에 관한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어머니는 토요일 오후 2시면 오페라 방송을 트셨는데, 오페라가 시작하기 전에 줄거리를 설명해주셨던 기억이 난다.

베르디의 <오텔로> (25)

 

작은 방에 바그너의 선율이 흘렀다. 한스 크나퍼츠부슈가 지휘하는 <파르지팔>이었다. (143)

 

아이들에게 이탈리아 노래들을 가르쳐주기도 했는데, 그 중엔 아버지가 좋아하셔서 어릴 때 종종 듣던 곡도 있었어요. 1940년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살던 이탈리아 사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오 솔레 미오>, <도베 스티 차차>, <토르나 피치나> 같은 노래들이 기억나네요. (167)

 

아르헨티나에서는 대통령이 국가 기념일인 525일과 연말인 1231일이면 정기적으로 주교좌 성당을 방문합니다, 그럴 때마다 오랜 감사찬송인 <테 데움Te Deum>을 노래하는데 그 노래가 끝나고 스코르카와 인사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227)

 

<테 데움Te Deum>, 예전에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에서 바로 그 노래를 들은 적이 있다. 그때 노래 제목이 특이해서 기억해두었던 곡인데, 그 곡이 바로 아르헨티나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 알게 된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에 대해 유흥식 라자로라는 (우리나라) 추기경이 한 말이 있다.

 

한 사람의 삶은 항상 그 시대의 역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6)

 

그렇다, 비단 교황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렇다.

그러니 이 책을 읽고,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들이 새삼 그 점을 마음에 새겨놓았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 그런 점을 가슴에 새기고, 모든 삶의 지향점을 그리스도의 나라 구현을 위해 살았던, 지금도 살고 있는, 또한 살아갈 교황의 삶을 통해, 그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교황의 건강에 관한 소식이 들려오는데, 모쪼록 그리스도의 사역을 더욱 활발하게 하시도록 건강 회복하시기를 빌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대 뒤에 사는 사람 - 관객과 예술가 사이에서 공연기획자로 산다는 것
이성모 지음 / 오르트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대 뒤에 사는 사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저자는 19년 동안 공연기획자로 살아온, 공연기획의 베테랑이다.

그가 공연기획의 알파와 오메가를 이 책에 담아놓았다.

 

저자의 손을 거쳐 무대 위에 올라간 작품들

 

먼저 저자의 손을 거쳐 무대에 올라간 작품들을 살펴보자.

이런 작품들이 저자의 손을 거쳤는데, 그 손이 몇 번이나 오고가고 했을까?

한두번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그 공연을 만들고 무대 위에 올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정성을 기울였을까, 생각하면 그런 공연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보물> 70

<김정민 콘서트> 83

넌버벌 퍼포먼스 <펀치> 88

<국화꽃 향기> 119

<보도지침> 136

<인계점>156

<찬란하지 않아도 괜찮아> 167

<니시무라 유키에 콘서트> 184

<1976할란카운티> 211

 

기억해야할 용어들

 

이 책을 통해 많이 배운다.

공연 예술, 우리는 그저 무대 위에 올려진 것들만 보고말지만, 그 무대 뒤, 그리고 막전 막후에 일어나는 많은 일들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용어들도 기억해두자.

 

프레스콜과 프리뷰 (38)

프레스 콜 : 기자들을 불러 공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여주고, 관련 기사나 기대평의 노출을 직간접적으로 요청하는 행사.

프리뷰 :일종의 의견을 듣는 절차.

 

파이팅콜 (213)

공연시작 전에 배우과 스태프 들이 손을 모으고 파이팅을 외치는 시간.

 

무대를 만드는 사람들 - 색인

 

작가 52

무대 감독 61

제작 감독 74

연출가 94

조명디자이너, 현장조명감독 116

무대디자이너 149

음향디자이너, 현장음향감독 161

작곡가, 음악감독 186

컴퍼니매니저 214

의상디자이너, 분장디자이너 224

소품디자이너 232

마케팅홍보팀 241

안무가 247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이 한 편의 공연을 위하여 수고하고 있다는 것, 알아두자

 

공연예술에 대한 우리들의 모습 또는 자세

 

내 ROTC  동기인 절친은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쿠팡플레이, 애플TV+까지 총 다섯 개의 OTT를 구독한다고 한다. 재밌는 게 너무 많다면서. 낙지볶음을 입에 넣고 오물거리며 아무런 의도 없이 이런 말을 했다. “이거 다 구독해도 한 달 구독료가 네 공연 티켓 한 장 값보다 저렴해.” (236)

 

이런 말을 듣는 공연 기획자의 마음은 어떨까?

아마 어디선가, 무언가 무너지는 소리가 입체 서라운드 음향으로 들려올 것이다.

일껏, 실컷 애를 써서 만들어 무대에 올린 작품, 그런 작품에 비해........더 싸다니?

 

그런데 실상 우리들이 바로 그런 말, 네 공연 티켓 한 장 값보다 저렴해, 를 입에 달고 사는 사람 아닌가? 여기 지방에서는 더더욱 저렴하고, 시향에서는 어떻게해서든 지역사회에 문화 활동을 학장한다고 각종 할인 혜택을 주고 있는데,..... 그보다 더 싸다는 소리를 해대면? 그리고 공연을 외면하면?

 

나중에는 무대 예술을 찾아보려고 해도 찾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런 안타까운 이야기가 이 책에 실려있다.

 

물론 전부가 그런 이야기는 아니다. 그런 이야기를 포함해 공연기획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들어있다. 이 책을 읽으면, 무대 위에 올려지는 공연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또 그것을 만들기 위해 흘리는 땀의 의미를, 그리고 담뿍 담겨진 정성 또한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이 책은?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이런 말을 한다.

 

책을 쓰기 전과 확실히 변화된 게 있다면 주변의 배우분들, 스태프분들, 관계사분들을 마주할 때의 감정이다. 한 분 한 분이 모두 보물같고 선물 같다. (249)

 

그말이 맞다. 이 책을 읽는 입장, 독자인 나로서도 그 말이 맞다,

이 책을 읽고나니 배우들, 스태프들, 관계자 모든 분들이 보물 같고 선물 같아서, 그분들에게 공연장에서는 보내지 못한 갈채와 성원을 이 리뷰에서나마 잔뜩 보내고 싶다. 이 책의 저자에게도,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년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 북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소설이다. 자전적 소설,

그렇다면 소설 속에 작가는 어떻게 얼마만큼 등장하는가, 그것을 먼저 알고 읽어야 한다.

 

작가가 이제 나이 50이 되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집을 간행하기로 한다. (7)


그래서 지난 25년간 쓴 원고를 쭉 한번 훑어본다.

 

지난 세월에 발표한 작품과 일기 등도 해당이 된다.

해서 여러 가지 글들을 열거하고 있는데, 이런 것들이다.

 

<미오노산>15, 23

<가을 모기> 15,

<열 여섯 살의 일기> 17, 20

<1다니도슈> 19

<2다니도슈> 19, 23

<유가시마에서의 추억> 19,34,42,43,51, 52,55,70,71

<이즈의 무희> 19, 43, 52

<애도의 시> 20, 21

<백골을 맞이하다> 20

<도손 시집> 22,

<시인이 되리> 22,

<오랜 뜰> 27,

<가난한 사람들> 33,

 

이렇게 작품 목록을 살펴보니, 어떤 맥락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래서 이런 작품들이 실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인지 알아보기 위해 작가의 실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즈의 무희(伊豆踊子), 설국(雪国), 고도(古都), 천우학(千羽鶴)

산소리(), 여자라는 것(であること), 명인(名人)

이즈의 여로(伊豆), 무희(舞姫), 화장(化粧)

잠자는 미녀의 집, 소년(少年) (‘나무위키에 등장하는 작품 목록)

 

역시 나무위키에 있는 정보인데, <이즈의 무희>에 관한 내용이다.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작가의 꿈을 꾸게 된 것은 중학교 2학년 때로, 게이한 신보(京阪新報)에 자신의 단가를 올리면서부터이다. 일본문학의 흐름에서 반자연주의 문학의 한 학파로 유명한 신사조파에 들어가 이즈의 무희(伊豆踊子)라는 작품으로 등단하였다.

 

그렇게 자료들을 살펴보니, 이 책에 등장하는 <이즈의 무희>가 바로 작가가 데뷔한 작품이다.

그렇다면 그 두 작품 사이의 관계를 이 책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싶었다.

 

다음으로 1916918일부터 1917122일까지 쓴 일기가 있다. 열여덟 살에서 열아홉 살이 되던 1917년 무렵에 나는 중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유가시마에서의 추억이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스물네 살 여름에 썼다. 이 이야기의 전반부를 스물여덟 살에 고쳐서 이즈의 무희라는 작품으로 완성했다. 후반부에는 중학 시절 기숙사에서 같은 방을 썼던 소년을 향한 사랑의 추억이 적혀 있다. (19)

 

<소년> 속에 책 <소년>이 있다.

 

이번에 쓰는 <소년>은 소설다운 책이 되지 않는다 해도 역시 <유가시마에서의 추억>이 가진 원형을 되도록 그대로 살리고 싶다. (87)

 

중학 시절 일기, 고등학교 시절 작문으로 쓴 편지글, 대학 시절 <유가시마에서의 추억>, 이것들을 모두 <소년> 속에 모아놓고, 거기에 쉰 살이 된 지금의 언어를 더하고자 한다. (87)

 

재미있는 구조다. 소설 속에 이 소설이 어떻게 쓰여지고, 구성되었는가를 밝히고 있다. 그러니 독자들은 소설을 읽으면서 작가의 창작노트를 같이 읽는 셈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다시, 이 책은?

 

사실, 작가의 작품 <이즈의 무희>는 읽어보지 못했다.

해서 이 책에 실려있는 <이즈의 무희>와 정말 같은 내용인지 확인하지 못했다. 유감스러운 일이다. 작가가 비록 이 소년이라는 소설 속에 그 작품의 창작 경위와 약간의 소설 내용을 실어 놓았다고 해서 과연 그 작품과 어느정도 같은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의 <해설>에 보면 이런 대목이 등장한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 미시마 유키오의 가면의 고백과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년을 거론하면서, 바로 그 부분을 짚어주고 있다.

 

세 작품 모두 작가 자신의 실제 유년과 사춘기 시절 고민이 정교하게 투영되어 있어서,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 주인공 = 작품을 쓴 작가 '라는 환상을 품게 만든다. (177)

 

이 대목에서 무릎을 쳤다. 역시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는 달라도 뭐가 다르구나 하는 탄복을 하게 된 것이다. 마치 소설을 자신의 유년 시절을 소재로 하여 쓴 것처럼 독자들을 착각하게 만들고, 그걸 웃으면서 지켜보는 작가, 관록 있는 작가로서의 여유가 느껴지지 않은가?

 

그러니, 독자들은 이 책 소설을 다 읽고, 거기에서 멈추면 안 된다.

<해설>의 끝까지 읽어보면, 이 소설의 또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테니까.


참, 하나더, 이 리뷰 맨 처음에 썼던 것, 이 책은 자전적 소설이다,라는 말은 이제 취소할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송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그림을 화가는 그리고, 일반인은 본다.

아니다. 화가도 설령 자기가 그린 그림일지라도 본다.

본다. 그러니 그림은 보는 것이다. 본다의 대상이 되는 게 그림이다.


그럼, 그림을 그저 보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아니다. 그저 보기만 해서는 안된다. 본다는 것에 더해서 무언가를 해야 제대로 그림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을 본다. 그림은 보고 느껴야 한다. 그래야 한다.

보고 느낀다. 그런 말이 나오면 우리말로 음미한다가 저절로 따라나온다.

음미한다. 어떤 사물 또는 개념의 속 내용을 새겨서 느끼거나 생각하다,란 뜻이다.

 

그렇다면 음미하는 방법에는 어떤 게 있을까?

이 책 안에 그 답이 들어있다.

 

우선 그 방법만 챙겨보자.

 

1부 개인 취향 존중 시대의 그림 감상법

2부 오래전 미술 다시 보기

3부 반전 있는 그림 보기

4부 근현대 미술 다시 보기

5부 동시대 미술 다시 보기

6부 그림 속 여자, 그림 그리는 여자

7부 내일을 위한 미술교육

 

이렇게 일곱 가지가 된다.

큰 카테고리로 분류했기에 얼른 감이 오지 않을 수 있다. 해서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조금더 자세히 알 수 있는데, 예컨대 1부의 세부 방법은 이렇다.

 

1. 스토리텔링으로 그림 보기

2. 형식과 내용으로 그림 보기

3. 무제 그림 보기

4. 개인 취향의 비밀

 

이제 그런 방법을 사용해서, 그림을 보고 느껴보자.

아니, 저자가 사용한 용어로 먹어보자, 얼마나 맛이 있는지.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 중 이말보다 더 적확한 말이 있을까?

 

그림을 본다는 것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사이에서 감상자 개인의 경험이 더해지는 과정이다. (16)


즉 감상자 개인의 경험이 바로 스토리텔링이다.

 

그것 역시 어떻게 하느냐의 방법론이 문제되는데, 저자는 김홍도의 <노상파안>이라는 작품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그림 속 상황을 객관적으로 살핀다.

몇 가지 지식들을 덧붙여 정황을 파악한다.

그림 속 주인공의 스토리를 상상한다.

 

그렇게 방법을 제시한 저자는 이런 말로, 결론을 짓는다.


관련된 지식을 알고자 조사하고 학습하며 그 위에 개인의 상상력을 더할 때, 의미있는 개인의 취향이 완성된다. (20)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저자가 제시한 그림 맛있게 먹는 법을 따라해보자.

 

<형식과 내용으로 그림 보기> (22쪽 이하)

 

모든 예술 작품에는 반드시 형식과 내용이 있다.

형식은 작품을 이루는 외형, 윤곽, 형태나 구조를 말한다.

내용은 그 형태 사이로 배어나오는 생각, 정신, 이념이나 이야기를 이룬다.

작품 안에 담긴 형식과 내용은 철학적인 사고애 뿌리를 두고 있다.

 

여기서 감상하는 그림은?

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 학당>이다.

 

예술 작품을 형식과 내용으로 나눠서 보는 것이 비평적 분석의 시작이다. 그렇게 형식과 내용을 구분하며 의미를 찾는 것이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이다. (31)

 

그러니 그림은 무조건 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는 데는 반드시 그 전에 갖춰야 할 것들이 있는데, 이런 사전 지식과 정보, 그리고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무제라는 그림 보기

 

여기 흥미로운 챕터가 있다. 바로 <무제 그림 보기>.


먼저 무제라는 제목에 대한 문외한인 나의 생각은?

나는 무제라는 제목을 보면서, 화가들이 그림을 그리고 나서 제목을 붙일 수 없을 때, 다른 말로 하자면 그림 제목은 붙여야 하겠는데, 멋진 제목이 떠오르지 않으니, 감상자들에게 무언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좀더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무언가 철학적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무제>라고 하는 줄 알았다.

 

여기서 저자의 이런 얘기도 나의 생각과 겹친다.

 

오래전 일곱 살이었던 딸과 함께 김환기의 작품 전시회를 찾은 적이 있었다. 아이는 사람들이 줄지어 서서 벽에 걸린 그림을 보는 모습을 신기해하면서 작품들 사이를 돌아다녔다. 한참을 제목 한 번, 그림 한 번 보던 아이는 [무제]라는 작품 앞에서 멈추어 또 한참을 바라보았다. “엄마, 무제가 뭐야?” “, 그건 제목 없음이라는 뜻이야.” (32)

 

나도 그런 생각이었다, 왜 제목이 없다는 거야? 무제라니?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과거에는 예술가의 사회적 신분과 지위가 허락하지 않아서 자신의 창작품에 제목이나 이름을 부여하지 못했던 것과 달리, 이제는 의도적으로 이름을 정하지 않았다. (35)

 

여기에는 예술가, 즉 화가나 조각가의 지위에 관한 역사적인 변천 과정이 있다. 예술가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게 된 이후, 그런 변화가 생긴 것이다.

 

여기가 읽어볼 것, 바로 고흐의 그림 <신발>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철학 논쟁이다. (36- 40)

 

참고로, 저자는 <무졔>라는 제목의 그림을 다른 챕터에서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 역시 같이 생각해보면 좋을 것이다. 즈지스와프 벡신스키 <무제(Untitled)> (194)



 

이 책, 조금 어렵다. 신중하게 읽어야 한다.

 

그림을 해설하는 책이라고 가볍게 생각하고 덤벼든 탓일까, 아니면 제목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던 것일까?

이 책을 집어들 때는 조금 가볍게 생각하고, 그림을 보면서 가벼운 읽을 거리로 생각했던 나의 생각과는 다른, 아주 다른 책이다.

 

저자는 아주 철학적이다. 그림에서 철학을 꺼집어낸다.

곳곳에서 그림을 보면서, 철학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 책이다. 깊이가 있다.

 

남원에서 시작된 춘향 영정에서 시작하여, 신디 셔먼과 니키 리, 그들이 던진 질문 나는 누구인가?” (205쪽 이하)

 

자기 인식을 위한 그림, 자화상에서 뽑아내는 이야기. (268쪽 이하)

 

이런 이야기들이 계속 진행이 된다. 해서 조금은 어렵지만, 그래도 그림이 점점 맛있어진다고 느끼게 된다는 것, 이게 이 책의 매력포인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송주영 2025-03-11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넘 진솔하고 핵심을 꿰뚫는 평... 놀랍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