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교과서 니체 - 너의 운명을 사랑하라 ㅣ 플라톤아카데미 인생교과서 시리즈 7
이진우.백승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니체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니체를 읽는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읽어도
읽어도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수하고 읽어야 한다.
특히
나 같은 사람에게 니체는 난공불락의 성 같다.
지금껏 니체와 친해지기 위하여
기울인 노력이 얼마였던가?
읽은
책만 해도 한 수레(?)는
될 것 같고,
들인
시간만 해도 몇 년은 될 것 같다.
그렇게
들인 시간과 노력이 아까워서,
니체의
책은 가급적 읽으려 노력하고,
니체에
관한 책은 더더욱 빠트리지 않고 챙겨 읽으려고 한다.
니체를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니체가 말하는
영원회귀란?
영원회귀의
문제,
그것이
니체를 읽을 때마다 나에게 숙제였다,
그
개념을 어떻게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을지?
그래서 니체 관련 책을 읽을
때마다,
영원회귀에
관련한 부분을 읽고 또 읽었다.
그 부분을 읽고 이해가 잘 된다
싶으면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책으로 간주하곤 했었다.
지난 번 이진우 교수의
<니체의
인생강의>를
읽고,
영원회귀에
대해 조금은 이해 할 수 있었다.
이진우
교수가 <니체의
인생강의>에서
영원회귀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이다.
니체는
말한다.
“네가
사람들과 아주 다른 삶을 산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따지고 보면 별다른 차이가 없다.
네가
지금 아주 고귀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삶조차도 과거에 무수히 반복되었던 삶 중 하나에 불과하다.”(니체의
인생강의,
110쪽)
그러니,
그렇게
반복되는 삶이기에 니체는 삶을 긍정하라고 한다.
“삶은
영원히 반복되는 것이야,
그것이
나쁜 것이 아니고 온 몸으로 끌어안아야 될 긍정적인 것이야”(112쪽)
그래서 니체의 생각은 궁극적으로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다.“사상중의
사상,
영원히
반복적으로 회귀한다는 사상을 온 몸으로 인식하고 체현한다면 그 사상은 널 변화시킬 것이다.
너의
삶이 변화할 것이다.”(113쪽)
그렇다면,
이
책은 영원회귀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너는
네 삶과 이 모든 것이 그대로 영원히 반복되기를 원하는가?’
라고
물어보는 목소리,
이 목소리를 가정법의 형태로
던지면서 니체는 무의미한 삶의 영원회귀와 의미 있는 삶의 영원회귀라는 두 선택지를 우리 앞에
내놓는다.
만일 삶의 매 순간이 의미 있고
필연적이어서 그것의 영원회귀를 바랄 정도의 것이라면,
그
목소리는 최고의 축복이다.
반면 영원히 돌아오는 것은
고사하고,
단
한번만 반복된다 하더라도 저주처럼 들리는 삶도 잇을 것이다.
이 둘 중 어떤 삶을 선택할
것인가?
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인간이라면 마땅히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긍정하고,
그것의
영원회귀를 바랄 정도로 의미있는 것으로 여겨야 하지 않겠는가?
니체의
생각은 이런 것이다.>
(35쪽)
물론 이진우 교수의 설명도
의미있지만,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영원회귀의 개념이 더 쉽게 이해되는 것은 비단 나만의 생각이 아닐 것이다.
이 세계를 긍정하라는 말
또 하나 이 책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하게 된 항목이 있으니,
‘사후
세계가 현실 삶을 죽인다’는
말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 저편의 세계,
즉
죽음 이후의 세계를 완전한 세계로 파악한다면,
이
세계는 한낱 허구로 여겨질 것이 틀림이 없다.
이처럼
죽음 이후의 세계를 전제하는 종교적 세계관은 모든 것을 전도시킨다.
이
세계를 가짜의 세계,
그리고
저편의 세계를 진정한 세계로,
니체는
이렇게 전도된 세계를 다시 전복시킴으로써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자 한다.>(79쪽)
따라서,
우선
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니체철학의 핵심이기도 하다.(81쪽)
여기서 깨달은 것은 확실히 같은
내용도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 이해가 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하니 책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
책,
<인생교과서,
니체>를
통해 니체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었으니,
기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