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미래 - 세계적인 석학에게 인류의 마지막 대안을 묻다
김우창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속 가능한 미래

 

이 책은?

 

표지에 이 책을 설명한 문장이 있다.

세계적인 석학에게 인류의 마지막 대안을 묻다.”

 

그게 이 책의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의 마지막 대안에 대한 답이 바로 이 책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제목 지속 가능한 미래는 의미심장한 타이틀이다.

 

제목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이 책이 지니는 의미를 충분히 느끼게 될 것이다. 이 말이 던지는 화두로서의 가치를!

그래서 이 책은 무겁다. 진지하게 읽어야 할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에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세계 석학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우창 고려대 명예 교수.

중국계로는 하버드 대학의 뚜웨이밍 교수, 중국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위원인 쑨거.

그리고 서양의 학자로는 예일 대학교 신학대학원의 메리 에블린 터커 교수와 잘 알려진 슬라보예 지젝과 어빈 라슬로가 있다. 해서 모두 여섯 명이다.

 

이 책은 그들의 글을 두 개의 부로 나눠 묶어 놓았다. 여기에 편집자의 시각이 엿보인다.

 

1부는 사상, 아시아를 넘다이다.

이 장을 마련한 편집자나 글을 쓴 석학들의 생각은 이제 아시아의 사상이 아시아에 머무르지 않고, 세계로 확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시아의 전통 사상인 유교가 21세기에 인간이 갖춰야 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제 새로운 인간학을 제시하는 것으로 재조명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2부는 시선, 세계를 연결하다인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질서에 대하여 슬라보예 지젝이 글을 올렸고, 우리 인류가 지구 우주선에 탄 한 공동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어빈 라슬로의 글, 그리고 보편성에 대하여 깊은 성찰을 보여준 쑨거의 글이 들어있다.

 

밑줄 긋고 새겨야 할 글들

 

인문과학은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하는 학문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인문과학은 반성적 학문입니다. ...우리는 이 반성의 끝에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그 끝은 저마다의 관점에 따라 다르면서도 또 같을 것입니다. 같다는 것은 그것이 존재 자체를 향한다는 말입니다. (21)

 

각 대륙의 고유한 전통을 살펴보면, 인간이 자연이나 전체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관념이 많이 존재합니다. 아주 오래 되었지만 동시에 현대적인 관념이지요. (54)

 

기독교인이라고 해서 휴머니즘 사상을 거부할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휴머니즘은 신의 존재와 인간에 대한 성경적인 해석과 같은 기독교의 기본 신앙을 위협하지 않습니다. 휴머니즘의 바탕은 모든 영적 전통에 대한 존중이기 때문입니다. (103)

 

다시, 이 책은?

 

이런 책을 읽는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생각을 하게 만드는데,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생각이 아니라,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놓고 생각하게 만드니, 나 스스로 폭이 넓어지는 기분이고, 깊이가 더 해지는 기분이 들게 된다. 

바로 이런 것이 책읽는 기쁨이 아닌가.

 

석학 여섯 분을 한 자리에 모셔놓고 대화를 하는 기분이 상쾌하다.

모처럼 나 자신을 돌아보며, 인류의 미래를 생각해보는 기회, 만나게 해준 책, 고맙다.

책이 고마운 경우는 이 책이 처음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패션MD 2 : 브랜드편 - 대한민국 최고의 슈퍼 MD가 알려주는 브랜드 큐레이션의 모든 것! 패션 MD 2
김정아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션 MD 2 브랜드편

 

이 책은?

 

일당 생소한 책이다. 해서 일부러 읽기를 원했다.

패션에 대하여는 옷이나 제대로 입기를 원하는 차원인데, 이런 책은 그래서 생뚱맞기조차 하다.

그러나 저자가 패션계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이 아니라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는 것도, 또한 그가 서울 대학교 등에서 문학을 강의했다는 것도 이 책을 집어드는데 일조를 했다.

 

아무래도 보는 시각이 남다를 것 같았고, 해서 패션도 뭔가 색다르게 접근할 줄로 생각하고 책을 펼쳤다. 

 

이 책의 내용은?

 

'패션 MD'라 할 때, 패션이라는 말은 알겠는데 MD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했다.

여러 곳을 찾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를 발견했다.

fashion merchandiser 라는 말에서 merchandiser를 줄여 MD라 한다는 것이다.

, 패션MD는 패션과 관련된 머천다이저를 뜻하며, 패션 상품 기획자를 의미한다.

난 혹시나 MD 가 Marketing Director 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저자는 같은 계열의 책으로 <패션 MD> 시리즈를 쓰고 있는데, 패션 MD :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편집숍 바잉의 비밀역시 패션 상품 기획자를 위한 책인 것이다.

 

이 책은 패션 MD2 브랜드편은 저자가 패션 브랜드를 지켜보면서 패션 시장을 움직이는 경향을 파악한 것을 몇 가지로 구분, 알려주고 있다.

 

페미닌 룩 (Feminsm Look)

밀리터리 룩 (Military Look)

럭셔리 스트리트 웨어 (Luxury Street wear)

미니멀 룩 (Minimal Look)

아방가르드 & 시크 룩 (Avant garde & chic Look)

에스닉 보헤미안 시크 룩 (Ethnic bohemian chic Look)

 

모두 생소한 언어인지라 세심하게 그 내용을 살펴볼 수밖에 없었다. 그러니 자연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페미닌 룩 (Feminsm Look)은 여성성을 강조하는 것이고,

밀리터리 룩 (Military Look)은 남성성에 대한 향수를 보여주는 것이며,

럭셔리 스트리트 웨어 (Luxury Street wear)는 밀리터리 룩과 어울리는 럭셔리 스포츠를 포함한 것이며,

미니멀 룩 (Minimal Look)은 깨끗한 것으로 승부하는 것이며,

아방가르드 & 시크 룩 (Avant garde & chic Look)은 멋부리지 않은 듯 편안해 보이면서도 세련된 것이며,

에스닉 보헤미안 시크 룩 (Ethnic bohemian chic Look)은 여름 패션을 대표한다.

 

저자는 위의 항목에 몇 개를 더 첨가하여 이 책에 실어 놓았다.

그러니 독자들은 각각의 항목에 해당하는 패션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메릴링(Maryling)(55)을 살펴보자, 이 브랜드는 이탈리아 제품이고, 유연하고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아이템들을 아우르는 콜렉션을 목표로 탄생한 브랜드다. 그 밖에 이 브랜드에 대한 저자의 평이 이어지고, 제품들은 모델들이 착용한 모습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 브랜드는 페미닌 룩 (Feminsm Look)으로 분류되고 있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에는 각 항목마다 one point lesson 이란 항목을 마련하여, 각 항목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덧붙이고 있는데, 이것이 문외한인 독자들에게는 무척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이 책에 등장하는 내용들을 바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저자의 10년 노력으로 탄생한 이 책이 그러한 기대를 충분히 만족시키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 비결 꼬리물기에 있다 - 문장과 문장을 잇고 나누는 기술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 비결 꼬리 물기에 있다.

 

이 책은?

 

한마디로 놀라운 책이다.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어떻게 써야 글을 잘 쓰는 것일까, 바른 문장은 어떻게 써야 하는가, 에 대한 속시원한 답이 들어있는 책이다.

 

그간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이것저것 읽어왔는데, 이 책이 압권이요, 백미중의 백미라 할 수 있다.

 

흔히 하는 말로 지금까지 읽어왔던 글쓰기 책은 잊어라!라는 말이 딱 어울리는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은 세 개의 part ,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말하는 것은 세 개다.

 

응답하라, 문장요소 (호웅하는 법칙)

꼬리에 꼬리를 잇는 문장 행진 (잇는 법칙)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문장 (나누는 법칙)

 

일단 글을 쓸 때에 위의 세 가지 준칙을 염두에 두고 써간다면, 좋은 문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이 있나 살펴보자.

 

주어 - 주어가 변주하다.

서술어, 조사, 피동문 서술어와 살다.

부사, 형용사, 동사 부사를 사랑하다.

연결어미 - ‘-’, ‘-’,‘-는데를 구별하라.

접속사, 보조사, 지시어 접속사가 없어졌어요.

대구 대구를 이루게 하라.

겹문장 복잡한 문장은 나누어라.

관형절, 부사절 긴 수식어는 나누어라.

중복, 군더더기 나누기 전에 버려라.

 

글쓰기에 금과옥조 같은 원칙들이 격언처럼 등장한다.

읽으면서, 저절로 내가 쓴 글들을 생각하게 된다. 이 책에서 저자가 하는 식으로 내 글들을 살펴본다면, 태반이 비문이요, 악문일 것이다, 해서 식은땀이 흐를 정도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도, 사주 경계를 하게 되니 이 책의 효과는 무척 빠른 셈이다.)

 

저자는 또한 그런 원칙들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예문을 들어 고쳐본다.

고치면서 그 근거를 설명하는데, 모골이 송연할 정도다.

우리가 명문으로 알고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습작을 하기 위해 그런 글들을 필사한다고 할 정도로 있었는데, 저자의 매같이 날카로운 눈에 걸리면 그런 글조차 남아나질 않는다.

 

예를 들어 본다.

이외수의 글쓰기의 공중부양에 나오는 문장이다.

<어떤 놈이 나쁜 놈일까? 바로 나뿐인 부류다. 개인적으로 나뿐인 놈이 음운학적인 변천 괴정을 거쳐 나쁜 놈이 되었다는 생각이다.>(44)

 

언뜻 읽으면 흠잡을 곳 없는 문장인데, 저자에게는 다르다.

 

<‘생각이다의 주어는 무엇일까? 주어가 실종되었다. 그래서 되었다는 생각이다.”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로 고쳤다. 명사인 생각을 동사인 생각하다로 바꾸면 주어가 드러난다.>

 

그렇게 해서 저자는 위의 문장을 다음과 같이 고친다.

<어떤 놈이 나쁜 놈일까? 바로 나뿐인 부류다. 개인적으로 나뿐인 놈이 음운학적인 변천 괴정을 거쳐 나쁜 놈이 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빨간펜 선생이다. 우리가 접했던 많은 책 중에서 특히 좋은 문장이라고 했던 문장들 중에서 줄줄이 빨간펜으로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는 것, 충격적이다. 그만큼 배울 점이 많다는 것이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은 저자의 <머리말>부터 차근차근 씹어 먹듯이 읽어야 한다.

이런 말, 가슴에 팍 꽂힌다.

나의 독서력이 형편없었던 것을 내가 부족했기 때문이 아니라 대다수 글이 엉켜 있었기 때문이다.’(5)

 

글이 제대로 쓰여 있지 않으니, 읽는 사람이 힘들어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저자의 진단은 정확하다.

 

전문가는 어려운 용어와 표현을 사용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많은 비문을 써오고

언론사는 한정된 지면에 많은 내용을 전달하느라 비문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작가는 글 멋부릴 줄 알았지만 바른 글쓰기에는 소홀했다. (5)

 

그러니 그런 글을 읽으면서, 자신들의 독해력을 탓하고 머리를 쥐어짜며 읽었던 독자들에게, 이 책은 제대로 쓰는 글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해 주고 있다.

 

이 책으로 문장을 제대로 쓰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래서 제대로 글쓰는 법제대로배우려면 다른 책 말고 이 책으로 하는 게 가장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트 메이커스 - 세상을 사로잡은 히트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데릭 톰슨 지음, 이은주 옮김, 송원섭 감수 / 21세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히트 메이커스

 

이 책은?

 

이 책의 내용은 제목이 말해준다. 히트 메이커스(hit makers)말 그대로 히트 상품을 만드는 것에 대한 책이다.

 

게다가 표지에 이런 문구도 보인다.

세상을 사로잡은 히트작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의 저자는 데릭 톰슨인데, 그는 애틀랜틱의 부편집장으로 경제와 미디어 부문에 관한 글을 쓰고 있는 비즈니스 저널리스트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1부에서는 히트 메이킹의 심리학’, 2부에서는 히트 메이킹의 경제학을 다루고 있다.

 

히트 메이킹의 심리학을 다루고 있는 1부에서는 어떻게 해야 사람의 마음을 살 수 있는가 하는 측면에서 히트 메이킹의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그래서 친숙한 놀라움을 추구하라는 마야의 원칙이 등장하고, 이야기가 어떻게 사람 마음을 움직이는지 소개하고 있다.

 

마야의 원칙이란 ‘MAYA, Most advanced Yet Acceptable’ , 가장 진보적이면서도 수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미국의 디자이너로 20세기 최고의 히트 메이커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레이먼드 로위가 제시한 이론 틀이다.

 

로위가 그런 이론에 입각하여 발표한 제품들을 살펴보면 우리 인간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미적 가치라든가, 미의 형태, 그리고 자연이 만들어낸 아름다음의 기본적인 모습까지알게 된다. 그래서 심리적으로 인간은 그러한 미적 표현에 끌리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 착안하여, 로위는 디자인을 적용해, 많은 히트작을 발표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미의 형태와 가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히 심리학에 기댈 수밖에 없었던 것이고, 그래서 저자는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심리학을 다루는 1부에서, 특히 철학, 심리학 이론들을 많이 소개하고 있다, 그러니 독자들은 이 책을 읽어가는 중에, 자기도 모르게 철학과 심리학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 중 이런 철학적 가르침도 읽을 수 있다.

인간의 한평생을 보여주는 하이데거의 말 중에 이런 게 있다한다.

사람은 누구나 인간으로서 태어나 한 개인으로서 죽는다.”(58)

 

이게 무슨 의미일까? 저자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인간이라는 공통 유전자를 지닌 다 같은 존재로 태어나 제각각의 개성을 가진 한 개인으로 살다가 죽는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유아들은 대개 좋아하는 것이 거의 같다. 어린아이 치고 단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 경우는 별로 없지 않은가? 그러나 어른이 되면 입맛이 매우 다양해진다. 살면서 저마다 다른 인생 경험을 통해 다양한 취향이나 기호가 형성됐기 때문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람은 대략 비슷한 수준의 인간으로서 태어나 매우 독특한 한 개인으로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59)

 

이밖에도 다양한 사례들과 그 사례들을 뒷받침하는 이론 심리학 들이 제시되고 있다.

 

2부인 히트 메이킹의 경제학에서도 역시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어떤 영화가 히트했는가를 살펴보는 가운데,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가 어떻게 해서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는 309쪽 이하의 내용도 독자들을 끌어당길만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그렇게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접하고 있는 문화 상품부터 일상의 상품에 이르기까지 히트한 제품, 작품 등을 살펴보면서 히트한 사유를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제품이 어떻게 해서 이 세상에 나오며, 히트를 하고, 또 어떤 제품은 그저 나왔다가 사라져 가는지, 그런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게 되는 기쁨도 느낄 수 있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은 일단 대중으로부터 인기를 끄는 여러 제품, 작품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 책에 감수의 글을 쓴 송원섭 JTBC CP로부터는 우리나라의 몇 가지 사례도 들어 볼 수 있어, 좀 더 가까운 데로 시선을 돌릴 수 있다는 점도 적어두고 싶다. 그러니 이런 히트 메이커스가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닌, 바로 우리나라에서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 더,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의 저자는 깊이와 넓이를 두루 갖춘 저널리스트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의 내용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책 읽는 기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위대한 여정 - 빅뱅부터 호모 사피엔스까지, 우리가 살아남은 단 하나의 이유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인간의 위대한 여정

 

이 책은?

 

칼 세이건은 과학의 새로운 이론을 대하는 태도가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새로운 해석에 대한 무자비한 거절이고 또 하나는 새로운 생각에 대한 개방성이라 했다.(244)

 

이 책에서 생소한 이론들, 새로운 이론들을 많이 만나게 되는데, 우선 그런 것들을 대할 때 위의 칼 세이건의 발언을 염두에 두고 읽어나가면 좋을 것이다. 개방성!

 

이 책은 지금까지 읽었던 문화사, 과학사의 업데이트 판이라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런 책들을 통하여 접해 오던 인류의 역사, 호모 에렉투스에서 호모 사피엔스에 이르기까지 인류는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가를,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밑바탕에 깔고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의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10쪽에 있는 <연대표>를 차분히 살펴보고, 가급적 그 흐름을 머릿속에 새겨 두면 좋을 것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용어인 호모 사피엔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빌리스 등 이외에도 저자가 이름붙인 호모 크레안스(기획하는 인간), 호모 리투알리스(의례하는 인간)도 있으니 그런 것도 미리 염두에 두고 읽으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파트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우리 인간의 기원을 추적해 보는 것이고, 그 후 인간이 생긴 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살펴보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인간의 속성(?)이랄 수 있는 모습을 통하여 인간의 모습을 성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데, 그런 속성을 토대로 하여 인간을 정의하는 것도 유의해 볼 만하다.

 

도구를 다루는 인간 (호모 하빌리스 Homo habilis) 140

 

기획하는 인간 (호모 크레안스 Homo Creans )

불을 다스리는 인간 (호모 이그난스 Homo Ignans)

달리는 인간 (호모 쿠란스 Homo Currans)

요리하는 인간 (호모 코쿠엔스 Homo Coquens )

배려하는 인간 (호모 베네볼루스 Homo Benevolus)

공감하는 인간 (호모 심파티쿠스 Homo Sympathicus)

의례하는 인간 (호모 리투알리스 Homo Ritualis)

조각하는 인간 (호모 스칼펜스 Homo Scalpens)

그림 그리는 인간 (호모 핑겐스 Homo Pingens)

영적인 인간 (호모 스피리투알리스 Homo Spiritualis)

묵상하는 인간 (호모 콘템플란스 Homo Contemplans)

교감하는 인간 (호모 도메스티칸스 Homo Domesticans)

더불어 사는 인간 (호모 코무니칸스 Homo Communicans)

종교적 인간 (호모 렐리기오수스 Homo Religiosus)

호모 사피엔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위의 분류중 어떤 것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분류되는 것도 있지만, 인간의 속성에 따라 분류한 것도 있다. 그래서 위의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종합적 인간이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한다.

 

기초 개념 정리

 

정리해 둘 개념들이 또한 보인다.

다른 철학 책에서 그런 개념들에 대하여 어렵고 난해하게 정의한 것을 듣다가, 이 책에서 간단명료하게 내린 정의를 들으니, 그 개념이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기분이다.

 

공부란 자신의 좁은 시선에서 벗어나 타인의 눈으로 세상과 자신을 보는 연습이다.(65)

학문은 다른 사람들의 탁월한 식견을 수용함으로써 나를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65)

 

근본주의란 세상의 긍정적인 변화나 다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경험을 통해 만든 무식(無識)이라는 환상 안에 스스로를 감금시키려는 삶의 태도다. (66)

 

연습이란 이론을 실제화하려는 노력이며, 인간이 만들어내는 훌륭한 작품은 오랜 연습과 수련을 거쳐 탄생한다.(129)

 

일정한 시간과 일정한 장소에서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계획하는 일련의 규격화된 행위를 의례(儀禮)라고 부른다. (261)

 

기억해야 할 일화들

 

이외에도 이 책에는 기억하고 싶은 이야기, 일화들이 많이 보인다.

일례로, 피카소의 아버지와 비둘기의 발 일화다.

 

파카소의 아버지는 아들의 천재성을 일찍 발견하고는 당시 9세였던 피카소에게 이젤과 물감을 사주며 한 가지 과제를 낸다. 1년 동안 비둘기 다리만 그리라는 주문이었다.

피카소는 비둘기 다리를 잘 그리기 위해 계속해서 거리의 비둘기들을 관찰하면 다리를 그렸고, 1년 후에는 비둘기 다리의 모양이 50가지가 넘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304)

 

인간은 그저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에 불과한가?

 

그동안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학계에 보고 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한편으로 신기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다면 인간과 동물의 차이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는데, 다음 문장을 읽고서는 그런 의문이 사라졌다.

 

침팬지도 도구를 만들지만 도구를 장식하는 것은 인간뿐이다.” (116)

 

그래서 아직까지는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다르다는 위안을 받는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을 읽고 나서 사실’, ‘진실을 대하는 자세가 달라진 것을 발견했다.

다음과 같은 구절들이 그런 데 일조했음을 밝힌다.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려는 우리의 모습을 동굴 속 인간에 비유한다. 그녀 미국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 - 는 성냥개비의 작은 불씨로는 주변만 잠시 밝아질 뿐 무한한 우주 전체는 볼 수 없다고 말한다.> (31)

 

<오늘날 우리가 아는 과학적 지식은 일시적이며 가변적이다. 자신이 아는 과학적 지식을 진리라고 주장하는 순간, 그 과학은 종교근본주의와 같은 과학근본주의라는 수렁에 빠진다.>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