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ㅣ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3월
평점 :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이 책은?
이 책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는 일본의 메이지 초기에 서양의 학문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개념어들을 어떻게 번역했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저자는 야나부 아키라, 일본의 번역어 연구에 있어 독보적인 존재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의 내용은?
다음 영어 단어를 한국말로 번역해 보시라.
Society, individual, modern, beauty, love, being,
nature, right, liberty (또는 freedom), he (she).
요즘 우리나라의 교육 수준으로, 이런 간단한 영어 단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각각 사회(社會), 개인(個人), 근대(近代), 미(美), 연애(戀愛), 존재(存在)
자연(自然), 권리(權利), 자유(自由), 그(彼), 그녀(彼女) 로 번역이 된다.
그럼 그렇게 외국어가 우리말로 번역이 되는 과정은 어떠했을까?
지금처럼 사전이 있어서, 그리 쉽게 번역이 되고 받아들여졌을까?
그렇지 않다. 나름 곡절이 있고, 사연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서 그러한 개념어들을 받아들이면서 어떤 과정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살펴보고 있는 단어, 10개를 새삼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이중에 번역을 위해 만들어진 신조어는 사회(社會), 개인(個人), 근대(近代), 미(美), 연애(戀愛), 존재(存在). 원래 일본어에서 일상어로 쓰이던 것들이 나중에 번역어로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 것들은 자연(自然), 권리(權利), 자유(自由), 그(彼), 그녀(彼女)가 있다.
역사를 되돌려 우리가 조선 시대에 산다고 생각하고 서양으로부터 이런 단어를 처음 받아들였다 가정해보자. freedom.
때는 조선시대, 따라서 백성으로서는 항상 누군가에, 무언가에 매여 있는 신분이어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따라서 이 단어를 지금처럼 '자유'라 번역한다 할지라도 그 말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 수 없었을 것이다. 단어 자체에 대한 이해도 물론 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상황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번역어는 원래 하나의 언어 체계, 문화의 의미 체계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단어를 그 체계에서 분리해 끄집어낸 것을 토대로 한다. 따라서 분리된 상태의 번역어만을 보고 본래의 뜻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232쪽)
따라서 freedom이란 단어를 ‘자유’라고 번역하는 것은 고사하고, 그 의미를 아무리 설명해주어도 이해불가였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 하나 덧붙일 게 있다. 자유라는 단어를 사용하다보면, 그 자유가 허용되는 상황이 어떤 것인지에 생각이 미치게 되고, 그런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따라서 단어는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일본의 개화기에 새로운 개념을 가진 단어들이 들어오면서, 생각의 변화, 상황의 변화, 제도의 변화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각 단어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사회와 개인이라는 단어 또한 마찬가지다.
society 란 단어와 함께 individual이란 단어가 소게되자, <서구인의 기본 사고방식 중 하나인 society 와 individua의 대립적인 도식을 확인>(41쪽) 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근대 시민의 개념으로 발전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이 책은 모두 10개의 개념어를 역사적으로 추적하여,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꼭 알아두어야 한 인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
이 책에서 자주 인용되는 학자이기에, 어떤 인물인지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는 일본의 계몽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 에도 막부의 파견으로 미국과 유럽을 세 차례 다녀왔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개화에 힘을 쓴 인물이다.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다. 1860년대부터 개항과 개화를 주장하고 자유주의, 공리주의적인 가치관을 확립, 막부 철폐와 구습 타파 등을 주장하고, 부국강병론과 국가 중심의 평등론을 역설하였다. 1868년 도쿠가와 막부 가문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메이지 유신을 세우는데 영향을 미쳤다. 메이지 유신 기간 중 메이지 천황의 입각 제의를 사양하고 학문 연구와 계몽 사상 교육, 토론 교육과 언론 활동 등 정부 밖에서 메이지 유신의 이론적 토대와 개화 청년 양성에 주력하였다. 서구사상과 문물의 일본 도입을 위해 앞장섰다.> (위키 백과)
꼭 알아두어야 할 개념, 카세트(cassette) 효과
카세트는 작은 보석 상자를 의미하는데, 내용물이 뭔지 모르는 사람들까지도 매혹하고 끌어당기는 물건이다.
'카세트 효과'는, 갓 만들어진 번역어가 처음에는 내용이 빈약하고 생소해 보이지만, 생소하기에 오히려 사람들을 매혹함으로써 의미가 풍부해지며 적절한 번역어로서 정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유', '사회', '개인'과 같은 번역어들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은 것은 가장 적절한 번역어라서가 아니라 그런 '카세트 효과'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즉 '카세트 효과'는 번역어의 성립 과정을 설명하는 저자의 핵심 이론이다. (50, 260쪽)
다시, 이 책은?
이 책을 통하여 일본의 지식인들이 서양의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그 의미를 적절하게 번역하고 보급하기 위해 얼마나 치열한 고민을 했는지 잘 알 수 있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정착된 번역어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고, 결국 우리가 지금 그런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그들의 수고 덕분이기도 하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개념어, 그 말들은 과연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이것을 알려면 이 단어들이 처음 만들어질 때로 돌아가 살펴보는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런 일을 아무나 할 수 없으니, 이런 책의 가치가 돋보인다.
그런 수고를 나대신 이 책의 저자가 해주고 있다. 고마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