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궤도의 과학 허세 - 아는 척하기 좋은 실전 과학 지식
궤도 지음 / 동아시아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타고난 문과인이지만 과학을 교양 수준이라도 배우기 위해 펼친 책입니다.
'아는 척하기 좋은 실전 과학 지식'이라는 부제처럼, 실용적인 과학 지식을 아주 쉽고 재미있는 말투로 알려 줍니다. 신세대스러운 신선하고 유쾌한 말투가 이 책의 큰 매력입니다.
표지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지만 말입니다.

표지부터 과학을 무겁게 다룰 생각은 없다는 걸 강력하게 말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정말 휘리릭 책이 읽혔습니다.

책의 구성 자체는 옴니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챕터가 크게 네 가지로 나뉘어 있었고, 그 안에 별개의 주제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정말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고 있었습니다.
저자인 과학커뮤니케이터 '궤도'의 박학다식함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주제들이 하나 같이 나한테 설명하라고 하면 이렇게 쉽게 물 흐르듯 설명할 수는 없을 것 같은 것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과학을 쉽고 재밌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파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의 능력이 만들어낸 문장들이 아닐까 싶더군요.
물론, 과학에 관심이 많고, 과학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에게는 '너무 가벼운 거 아냐?' 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책의 저자는 그런 것들을 감안하고라도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어으면 좋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이 책을 펴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만큼 친근하게 내용을 꾸며서 설명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었고, 과하게 내용이 깊어지지 않도록 적당한 수준에서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좀 더 관심이 생기는 사람들이라면 구글링만으로도 관련 내용을 더 많이 찾아볼 수 있을테니까요
마치, 화두를 던져주는 역할을 하는 책이랄까요?과학의 매력을 느끼고 과학을 탐닉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책이라고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관에 간 화학자 1 - 이성과 감성으로 과학과 예술을 통섭하다, 개정증보판 미술관에 간 지식인
전창림 지음 / 어바웃어북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은 읽기전 목차를 보고 굉장히 기대한 책이었습니다. 물론 미술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이 읽기에는 무난하면서도 술술 잘 읽히는 책일 수도 있지만 기존의 여러 명작들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의 반복과, 아주 살짝 화학 또는 과학적인 용어들이 몇몇 등장한다는 것 외에는 기존 명작들의 소개책들의 내용범주에서 새로울 게 없어 보였습니다.
그러나, 과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미술은 어떤 것일지 궁금해하며 책을 한장 한장 넘겼습니다.
책의 저자는 홍익대학교 화학시스템공학과의 '전창림' 교수입니다. 예술가가 아닌 화학자가 미술에 대한 책을 쓴다는 것이 참으로 흥미로웠고, 왜 썼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미술은 화학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 이유는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물감이 화학 물질이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수많은 화학 작용들이 일어나기 때문이죠 그것은 비단 그림을 그릴 때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린 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미술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화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술의 태생적 연원이 화학이라면 화학을 과학의 카테고리에서 꺼내 예술의 세계로 인도한 것은 미술이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입니다. 보통 미술관련 도서는 한 그림을 보여주고 그 그림을 그린 화가의 생애와 그 그림 말고도 그 화가의 유명한 작품들을 소개하는데 이 책 '미술관에 간 화학자'는 그와 더불어 작품에 사용된 재료와 그 화학반응들 까지도 자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네덜란드의 화가이며 유럽 북부 르네상스 미술의 선구자로 불리는 에이크는 식물성 불포화지방산인 아마인유를 이용해 이전에는 거의 생각할 수 없었던 정교한 붓질이 가능한 유화기법을 완성했습니다. 불포화지방산은 지방산 사슬 중 불포화기를 포함하고 있어 녹는점이 낮아 상온에서 액체 상태입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 불포화기가 결합돼 굳어지면서 단단한 도막을 형성합니다. 에이크의 그림은 바로 이런 점을 이용해 아직까지도 그의 그림은 보존 상태가 뛰어납니다. 지금도 대부분의 유화 물감에는 아마인유가 포함되는데, 그만큼 에이크의 아마인유 발견은 중요한 것입니다.
'야경'이라는 렘브란트의 작품은 원래는 그런 제목이 아니었지만 그 그림이 과거와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어둡게 변하여 붙여진 제목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그러지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렇게 바뀐 이유는 납과 황이 결합하면 황화납이 되어 공기 중에서 검게 변하는 흑변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 작품에 쓰인 안료에 납 성분이 들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흑변 현상은 프랑스의 화가이면서 다른 화가들과 달리 풍경보다 농민생활을 더 많이 그렸던 밀레의 ‘만종’에서도 나타납니다. 만종을 보면 어둑한 황혼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는 밀레가 쓴 물감의 납 성분이 아황산가스와 만나 흑변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또,19세기 유럽에서 활약한 미국의 화가 제임스 휘슬러의 이야기도 흥미를 끌기 충분했습니다.
1860년대 흰색 열풍이 불었는데 그 역시 흰색 물감을 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흰색 안료에는 다른 색 안료보다 납 성분이 훨씬 더 많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서 휘슬러는 납중독으로 생을 마감하고 만다. 그 외에도 몇몇의 화가들도 흰색물감에 들어있는 납에 의해 생을 마감하였다고 합니다.
여러 작품에 관한 화학자의 관점이 많이 부족한 것은 아쉽습니다. 분명 모든 작품들을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기는 하였지만 그것보다는 그 작품의 예술적인 면을 훨씬 더 많이 부각시켰습니다. 하지만 과학과 미술을 연결시키려고 한 그 시도가 정말 좋았습니다.
미술에 흥미가 없는 사람들도 이 책을 본다면 미술과 화학에 흥미를 가지게 될 것이고, 반대로 미술에 흥미가 많은 사람들도 더욱 흥미를 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자신들이 몰랐던 미술과 관련된 과학적 원리들을 알게 되고 그로 인하여 미술과 화학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허물어 주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