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느낌에 집중하며 달려 보세요. 발이 땅에 착지되는 느낌, 양팔을 흔드는 동작, 숨이 찬 느낌, 땀방울이 흐르는 감각 등 몸의 변화를 느끼고 바라보면서 달리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복잡한 잡념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3

달리기를 하는 동안 뇌의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보상회로가 활성화되어 뇌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이 잡힌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3

달리면서 호흡과 몸의 움직임을 관찰하면 양측성 자극을 활용한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 요법EMDR’의 효과도 일부 얻을 수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4

또 달리면서 숨을 들이쉬고 내쉬고 있는 느낌, 바람이 얼굴에 스치는 느낌, 계절 특유의 공기 냄새, 햇살이 피부에 닿는 감각 등 신체 감각을 주시해 보자. 몸의 감각에 집중하면서 불안 증상을 완화시키는 ‘감각인지치료somatic therapy’와 치료 원리가 같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4

달리기는 이러한 부작용이 없다. 오히려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심혈관계가 강화된다. 폐활량이 늘고 근육과 뼈가 튼튼해지는 다양한 효과가 따라온다. 특히 근래에는 달리기나 심박수가 오르는 운동을 통해 기억력과 인지 기능이 보호되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정서적인 영역에도 큰 도움이 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5

"저 ADHD가 아닌가 싶어서 왔어요."
그런데 실제로 성인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이 의심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감당해야 할 업무와 학업, 일상생활의 부담이 커져서인 경우가 더 많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6

달리기를 하면 뇌 혈류가 원활해지고 도파민 분비가 활성화된다. 뇌에서의 도파민 작용이 저하되면서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달리기를 통해서 일부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뇌혈류 개선과 도파민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 활성화는 기억력에도 도움이 된다. 그래서 달리기를 학습 능력 개선과 인지 기능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6

러닝하이를 느끼려면 조금씩 속도를 높여서 내가 한계라고 느끼는 정도의 속도로 숨이 차고 심박수가 오르게 달리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속도를 아주 살짝만 낮추어 달리면 된다. 달리는 데 힘이 하나도 안 들고 저절로 달려지는 느낌이 든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7

달리기를 하면
첫 번째, 뇌에 도파민을 비롯한 신경전달물질들이 활성화되면서 즐거움과 상쾌한 느낌을 받는다.
두 번째, 뇌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면서 기억력과 집중력 등 뇌 기능이 활성화된다.
세 번째, 뇌뿐 아니라 신체 구석구석 혈액순환이 되어 신체 기능이 활성화된다. 면역력도 좋아지고 혈액순환을 통해 하지 부종과 치질 등이 예방 및 완화된다.
네 번째, 열량 소모가 커서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
다섯 번째, 도파민이 활성화되면서 보상 중추를 충족시켜 식욕을 제어해 준다.
여섯 번째, 달리기는 뇌에 양측성 신체 자극 신호를 주는데 달리면서 하루 중 근심과 걱정을 잊고 뇌를 쉬게 도와준다.
일곱 번째,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더 자고 싶고 편하게 쉬고 싶은 마음을 이기고 나간 자신의 의지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다. 달리는 중에 힘들어서 그만두고 싶은 마음을 이겨낸 것에 대해 자신감이 생기기도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9

삶을 지속하는 데 긍정적인 중독 한 가지는 필요한 것 같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70

환자의 말을 듣고, 보고, 진찰하고 있는 ‘나 자신’을 관찰한다.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스스로를 바라본다. 나의 속마음을 알고 이해하듯 상대의 마음과 심리에 대해 속속들이 알아진다. 환자들의 마음도 내 마음처럼 공감되고 또 다른 나로 존중하며 배려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72

내가 아는 사랑은 이해이다. 나를 이해하며, 상대를 이해한다. 마음을 알고 이해하는 과정은 매일의 달리기에서도 이어진다. 달리면서 끊임없이 나를 알아가고 이해하여 마음을 다스리게 된다. 하고 싶지 않은 마음, 불안하고 갈등이 생기는 마음, 지치고 그만두고 싶은 마음을 바라보고 이해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72

나를 이해하며 다른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의식의 자리에서는 전체 가운데서 상대의 마음을 보려고 노력하게 된다. 그런 의식의 상태를 나는 ‘사랑의 자리’라고 이름 붙인다. 그리고 사랑의 자리에서 진료하기 위해서 환자를 진료할 때 나 자신을 관찰한다. 환자의 말을 내가 어떻게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평가하는지 나 자신을 진단한다.
 나는 매일 달리면서 나 자신을 일깨우고 사랑의 자리에 머무른다.
 — 마라톤 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면서 몸의 느낌을 인지하고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을 읽는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59

나에게 있어 달리기는 기도이고 명상이다. 가만히 앉아서 호흡을 알아채고 마음을 읽는 좌선 명상이 정적인 것에 비해 달리기는 몸의 움직임을 통해 마음의 생각을 읽는 동적 명상이 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59

고비라고 생각되는 순간 자신을 관찰하여 마음을 다스리고 몸을 단련하며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확인하다. 이렇게 하루를 시작하면 내가 원하는 상태의 나로 온전한 하루를 보낼 수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59

마라톤을 완주하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0

나를 고집하고 주장하는 마음이 가벼워지는 경험을 한다. 나를 둘러싼 전체 배경이 더 넓어지면서 ‘나’만을 주장하지 않게 된다. 또한 그러한 과정을 통해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0

정신건강의학과 약물치료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운동요법과 명상이 효과적이다. 그중 달리기는 이 두 가지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우울, 불안, 공황 증상 등을 개선하는 좋은 방법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46년 4월 1일이었다. 아이가 만우절에 태어났으니 바보일 거라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펄롱은 유아기를 주로 미시즈 윌슨 집 부엌에 있는 요람안에서 보냈고 다음에는 커다란 유아차의 안전띠에 매인채 수납장 옆, 길쭉한 파란 주전자에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지냈다.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인적으로 평소 훈련보다는 약간 벅차지만 해 볼 만한 훈련 강도를 적용하려고 노력한다. 내일도, 모레도, 앞으로도 꾸준히 달릴 것이기에 몸과 마음에 남는 후유증까지 고려해 현명하게 강도를 맞추려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0

진료실에서 "나는 잘하고 있다, 나는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다"라는 말을 소리 내어 함께 해보는 것으로도 많은 이들이 눈물을 흘린다. 내가 나를 인정할 때, 그리고 소리를 내어 인정할 때 위축되고 서러웠던 마음이 풀리며 눈물이 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3

나는 나만의 존재 자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고 아름답다. 그리고 상대방도 그 자체로 고유하고 괜찮은 존재다. 스스로 "괜찮다", "잘하고 있다", "나는 충분히 아름답다"고 또박또박 소리를 내어 스스로에게 말하자. 달리기의 기합처럼 스스로에게 한 말이 소리 에너지로 마음과 뇌에 입력되어 힘을 발휘할 것이다. 소리를 내어 말하면 내가 한 말이 귀로 들어와 소리 자극으로 뇌에 입력되면서 다시 한 번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소리는 파동, 즉 진동 에너지이며 긍정하는 소리가 뇌에 신호를 주어 마음에도 힘을 준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4

현재에 집중하는 좋은 연습 방법은 호흡을 관찰하는 것이다. 숨을 크게 들이쉬고 내쉬면서 들숨과 날숨을 주시해 보자.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고 다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느낌을 관찰하다 보면 어느새 한발 물러서 진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6

주어진 일 중 먼저 해야 할 일을 선택해 하나씩 처리하자. 우선순위에 맞추어 한가지씩 할 수 있는 데까지 해결해 보자. 완전히 마무리하지 못하고 다른 일로 넘어가야 하는 일도 생길 수 있다. 지금 여기에서 한 번에 하나씩만 생각하면 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6

달리면서 숨이 차고 힘이 들 때 고비를 넘기는 방법은 불신과 불안을 멈추는 것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7

호흡을 다듬고 발이 땅에 디뎌질 때 리듬에 집중하면 마음이 고요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기를 지속하다 보니 온라인 커뮤니티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라톤 대비 훈련 프로그램인 오픈케어 100일 프로젝트를 접하게 되었다. 체계적으로 준비하면서 차근차근 실력도 업그레이드되고 후유증도 줄어들었다. 2016년 서울 동아 마라톤부터는 서브44시간 이내 마라톤 완주, 3:303시간 30분 이내 마라톤 완주, 3:203시간 20분 이내 마라톤 완주으로 기록 단축의 재미도 경험하게 되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00

풀코스 마라톤 기록이 4시간대에서 3시간대로 넘어올 때도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했었는데, 3:30 러너가 되는 것은 또 다른 벽을 깨는 것이었다. 마라톤을 3시간 30분 이내로 완주하려면 1km를 5분 이내 달리는 페이스로 42.195km를 달려야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00

트랙을 계속 뺑뺑이로 돌다 보면 지루할 수 있지만 산길은 풍광에 변화가 다양하다. 노면에 굴곡도 많고 돌, 자갈, 나무뿌리 등이 있어 주변을 살피게 된다. 오히려 딴생각하지 않고 집중하며 달리게 되어 마음이 더 고요해진다. 그리고 오르막 내리막을 달리며 근육 사용에 변화를 주게 되어 몸도 단련된다. 무엇보다 시계를 보지 않고 자연의 경치를 따라 달리면서 마음에 여유가 생기는 점이 매력적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