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에 이러한 두 가지 통치 유형의 사례는 투르크의 술탄과 프랑스의 왕입니다.
투르크 왕국 전체는 한 사람의 군주에 의해서 지배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그의 가신에 불과할 뿐입니다. 그 왕국은 산자크(sangiak)라는 행정지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술탄은 각 지역에 다양한 행정관들을 파견하고, 자신이 원하는 바에 따라서 그들을 교체하거나 이동시킵니다.
그러나 프랑스 왕은 수많은 세습 제후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제후들은 각 지역에서 자신들을 인정하고 자신들에게 충성을 바치는 신민들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제후들은 각각의 고유한 세습적인 특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특권은 왕도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한, 건드릴 수 없습니다. (36p)

앞 장에서 언급한 것처럼 주민들이 스스로 만든 법(legge, law)에 따라서 자유롭게 사는 데에 익숙한 국가를 병합했을 경우, 그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그 나라를 파괴하는 것이고,
둘째, 그 나라에 가서 직접 사는 것이며,
셋째, 그들 자신의 법에 따라서 계속해서 예전처럼 살게 내버려두면서 공물을 바치게 하고 당신과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소수의 사람들로 구성된 과두정부(stato dipochi, oligarchical government)를 세우는 것입니다.
그과두정부는 새로운 군주에 의해서 세워졌기 때문에, 그존속이 군주의 선의와 권력에 의존한다는 점을 알 것이고 따라서 현상(現狀)을 유지하려고 매우 노력할 것입니다.
만약 정복자가 독립을 누리면서 자유로운 제도를 운용하는 데에 익숙한 도시를 파괴하지 않은 채 다스리려고 한다면, 그 시민들을 이용하여 다스리는 방법보다 더 쉽게 그 나라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것입니다. (40p)

따라서 제가 언급한 그처럼 유능한 개혁자들은 많은시련을 겪습니다. 모든 위험들은 그들이 자신들의 계획을 시작한 후에 다가오며, 그 위험들은 자신들의 역량을 통해서만 극복됩니다. 그러나 그들이 위험을 극복하고, 자신들의 성공을 시기하는 자들을 섬멸함으로써 존경을 받게 되면, 그들은 강력하고 확고하며 존중받는성공한 지도자로 남아 있게 됩니다. (47-48p)

일개 평민에서 다만 운(fortuna)이 좋아서 군주가 된이는 그 지위에 쉽게 오른 셈이지만, 그 지위를 유지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날아오른 것처럼 쉽게 군주의 지위에 올라갔기 때문에 처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시련은 그가 군주가 된이후에 닥쳐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나 영토를 돈으 로 사거나 또는 타인의 호의(fortuna)로 얻게 되었을 때발생합니다. (49p)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군주가 되는 두 가지 방법, 즉 자신의 역량에 의한 것과 타인의 호의에 의한 것을 예시하기 위해서 저는 최근의 두 가지 사례를 들고 싶습니다. 곧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와 체사레 보르자의 사례를 들겠습니다. (50p)

따라서 신생 군주국에서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군주는 다른 누구보다도 공작의 행적에서 그 생생한 모범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적에게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
동맹을 맺는 것,
(무력이나기만으로) 정복하는 것,
인민들로부터 충성과 공포심을확보하는 것,
군대로부터 복종과 존경을 확보하는 것,
당신에게 해를 가하거나 가할 수 있는 자들을 무력화 시키거나 말살하는 것,
낡은 제도를 새로운 제도로 개혁하는 것,
엄격하면서도 친절하고 고결하면서도 관대하게 처세하는 것,
불충한 군대를 해체하고 새로운 군대를 조직하는 것
그리고 왕이나 다른 지배자들과 동맹을 맺어 그들이 기꺼이 전하에게 호의를 베풀게 하거나피해를 입히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재주를 공작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입니다.
(60-61p)

아가토클레스를 설명할 때에 마키아벨리는 virtú를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한다. 통상 역자는 역량(ability)으로 번역했지만, ‘활력(energy)‘, ‘기질(drive)‘, ‘용기(courage)‘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적어도 ‘도덕적인 덕(moral virtue)‘이라는 의미를 띠고 있다. (6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사들이 소모성 열병에 대해서 말하는 바가 이 경우에 해당됩니다. 그 병은 초기에는 치료하기는 쉬우나 진단하기가 어려운 데에 반해서,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진단하기는 쉬우나 치료하기는 어려워집니다. 국가를 통치하는 일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왜냐하면 정치적 문제를 일찍이 인지하면(이는 현명하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사람만이 가능합니다), 문제가 신속히 해결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인식하지 못하고 사태가 악화되어 모든 사람이 알아차릴 정도가 되면 어떤 해결책도 더 이상 소용이 없습니다.
(27p)

그렇다면 루이 왕은 다음의 다섯 가지 실수를 범한셈입니다.
곧 약소 국가들을 섬멸한 것,
이탈리아에서 이미 강력했던 군주의 세력을 강화시킨 것,
이탈리아에 매우 강력한 외세를 끌어들인 것,
직접 통치하지 않은 것(본인이 거주하지 않는 것/역자),
그리고 식민지를 건설하지 않은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가 여섯 번째의 실수, 곧 베네치아인들을 격파한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더라면,
자신의 생애에서 이러한 실책들로 인해서 피해를 입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물론 그가 교회 세력을 강화하지 않았거나 스페인 왕을 이탈리아에 끌어들이지 않았더라면, 베네치아인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것은 합리적이고 필수적이었을 것입니다.
(3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상 강력한 침략자가 어느 나라를 공격하기만 하면, 모든 약소 세력들이 그에게 모여드는데, 그 이유가 그들이 자신들을 지배하던 통치자에게 불만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은 사물의 당연한 이치입니다. (2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에 대해서 지배권을 가졌거나 가지고 있는 모든국가(stato)나 모든 통치체(dominio)는 공화국 아니면 군주국입니다.
군주국들은 (통치자가 오랫동안 같은 가문으로부터 내려오는) 세습 군주국이거나 신생 군주국입니다.
신생 군주국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통치하는 밀라노처럼) 전적으로 새롭게 탄생한 군주국이거나 (스페인 왕‘이 통치하는 나폴리 왕국처럼) 기왕의 세습 군주국의 군주에게 정복당하여 그 일부로 새로 편입 된 군주국입니다. (15p)

그러한 영토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타인의 무력을 이용하는 경우와 자신의 무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운명(fortuna)에 의한 경우와 역량(virtú)에 의한 경우가 있습니다. (15-16p)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인간들이란 다정하게 대해주거나 아니면 아주 짓밟아 뭉개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이란 사소한 피해에 대해서는 보복하려고 들지만, 엄청난 피해에 대해서는 감히 복수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려면 그들의 복수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아예 크게 주어야 합니다.
(2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라노 공국은 교황의 지원하에서 베네치아 군대와 합세한 루이 12세의 군대에게 1497년에 점령되었다. 체사레는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와 루이 12세의 지원하에서 로마냐 지방을 영유하게 되었다. 체사레는 "통일 이탈리아"라는 원대한 야망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실적으로 밀라노는 루이 12세가 지배했고, 베네치아는 강력한 독립 공화국이었다. 더구나 교황인 아버지가 급사함으로써 로마냐에서의 그의 국가 수립 계획은 좌초되었다. 체사레는 이에 피렌체와 볼로냐를 겨냥했고, 두 도시는 루이 12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루이 12세는 체사레를 견제하기 위해서 스페인의 페르난도 3세와 함께 나폴리 왕국을 분할했으나, 프랑스 군대는 역부족으로 곧 철수하고 나폴리는 시칠리아와 함께 스페인의 장기 지배하에 들어갔다. 마키아벨리는 통치 역량과 군사력을 겸비한 체사레에게서 외세의 각축장이 된 조국 이탈리아의 독립과 통일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부분적으로는 그를 모델로 삼아 「군주론』을 썼다. (7p)

<군주론>의 마지막 장에서 "야만족의 폭정"으로 인해 유럽의 변방이 된 조국 이탈리아의 구출과 통일을 기원하는 마키아벨리가 그러한 사명을 수행하는 데에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피렌체는 별로 길다고로 인해 유럽의 변방이 된 조리가 그러한 사명을 수행하- 별로 길다고 할 수 없는 마키아벨리의 생애에서도 여러 정권들(메디치 가문을 대체한 사보나롤라의 신정 정치, 소데리니의 집권, 메디치 가문의 재기)이 등장한다. 상인과 귀족의 도시 피렌체는 일시적으로 사보나롤라와 소데리니 등의 통치 시기도 있었지만, 1434년 피렌체의 권력을 장악한 대(大)코시모(코시모 데 메디치, 1389-1464렌체의 국부(Pater Patriae)"라고 불린다), 피에로 디 코시모 데 메디치(1416-69), "대인(il Magnifico)" 로렌초(로렌초 데 메데치, 1449-92), 피에로 데 메디치(1471-1503), 로렌초 디 피에로 데 메디치(우르비노 공작 1492-1519)를 거쳐 알렉산드로(1511-37)로 계승되는 메디치 가문의 대(大)코시모 가계의 100여 년 통치하에 있었다. (8p)

선조가 의사였다는 연유로 메디치(Medici)라는 씨성을 얻게 된, 세 가계(또 하나의 가계인 조벤코의 가계까지 감안하면 네 가계이다)로 이루어진 메디치 가문 중에서 특히 대(大)로렌초 가계는 피렌체를 당대 유럽의 주도적 금융도시로 만들었고 막대한 재부로 예술가들(브루넬레스키, 도나텔로, 보티첼리,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을 후원했다. 메디치 가문은 4명의 교황들(레오 10세, 클레멘스 7세, 피우스 4세[조반니 안젤로 데 메디치, 1499-1565], 레오 11세)과 2명의 프랑스 왕비들(카트린 드 메디시스, 마리 드 메디시스)을 배출한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영욕을 상징하는 가문이었다.(8-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