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사회적인 ‘명’과 ‘시時‘에 대한 얽매임에서의 벗어남이다. 장자에 따르면, 세상에는 뭔가 인간을 통제하는 힘이 존재하는데, 우리는 그것에서 벗어날 수도 없고, 또 그것에 저항할 수도 없다. 그것은 바로 ‘명‘, 즉 천명이요 운명이다. (11p)
셋째, 자기 자신의 ‘정情’과 ‘욕欲’에 대한 얽매임에서의 벗어남이다. 장자에 따르면, 사람은 자연적·사회적 제약 외에도 희로애락의 감정 인 ‘정‘과 이해득실에의 욕망인 ‘욕‘에 얽매이게 된다. (12p)
결론적으로 장자는 이상과 같은 인생철학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버리는가 하면, 운명과 시세의 정신적 속박에 서 벗어나고, 또 애락의 감정과 이해에의 욕망에서 해방됨으로써 "천지 만물의 법칙에 순응하고, 천지간 육기六氣의 변화에 통달해 무궁한 대도의 품에서 즐겁게 노니는 (乘天地之正, 而御六氣之, 以遊無窮)"(「소요유逍遙遊) 절대 자유를 만끽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장자의 인생철학은 결코 소극적이고 퇴영적退嬰的인 낙오나 타락이 아니라, 가히 인생의 의의와 본원적 삶에 대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탐구의 철학이라할 것이다.(13-14p)
장자의 사회철학전국시대 중엽, 그 유례없는 혼란과 불안의 시대를 살았던 장자가 그리는 이상사회는, 바로 ‘지덕지세至德之世’, 다시 말해 지덕의 세상,즉 사람들이 그 순진 질박質樸한 천성을 가장 잘 간직하고 지켜가는세상이다. (14p)
"지자知者는 불언不言이요, 언자言者는 부지不知니라." 진실로 도를아는 사람은 함부로 도를 말하지 않고, 함부로 도를 말하는 사람은 진실로 도를 알지 못한다는, 철인哲人 노자의 말이다. (17p)
「소요유편逍遙遊篇 」은 『장자』의 대표적 명편名篇이다. 이른바 ‘소요逍遙’란 한가로이 자적自適하고 자재自在하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장자가 말하는 ‘소요유‘는 바로 "천지지간에서 한가로이 자적하노라니 마음에 절로 즐거움이 넘침(逍遙於天地之間, 而心意自得)"(『장자』 「양왕讓王)을 이른다. 다시 말하면 어떠한 구속이나 속박도 없이 절대 자유를 만끽하며 한가로이 자적하는 가운데 진정 즐거움에 겨운 경지이다. (23p)
이 편은 모두 3장으로 나뉜다. 첫째 장은 곧 전편의 중심 내용으로, 진정으로 소요 하지 못하는 사례들을 열거하는 가운데, 진실로 절대 자유를 만끽하는 ‘소요유’의 경지에 다다르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무기無己’·‘무공無功’·‘무명無名’해야 함을 역설했다. 둘째 장은 앞 장의 함의를 부연하여 ‘무기‘ 무공’ ‘무명’함이야말로 진정 온갖 속박과 의지 의존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임을 강조했다. 셋째 장은 ‘지인무기至人無己‘의 의미를 거듭 부연하는 가운데, 어떤 것에도 의지하지 않는완전히 자유롭고 유연한 의식을 바탕으로, 대상 사물의 ‘쓸모없음(無用)의 특성을 오히려 큰 쓸모(大用)‘로 되살려냄으로써, 스스로를 온전히 지키며 진실로 소요자적할 것을 권면했다.(23-24p)
장자의 자연철학자연철학이란 인간이 자연계에 관한 이성적 사고를 통해 형성하게되는 철학 사상을 말한다. 그것은 자연계의 근본 원리와 법칙, 자연계와 인간의 관계 등을 포함한다.장자는 노자와 마찬가지로 도道를 최고의 철학적 개념으로 설정했으며, 바로 그 때문에 노장老莊이 후세에 ‘도가道家‘로 불리게 된 것이다. 아무튼 장자의 자연철학은 도론道論, 즉 도 이론을 통해서 주창되고 있는데, 그것은 곧 장자 철학의 우주론이자 본체론本體論이나 다름이 없다. 다시 말해 노자는 물론, 장자의 철학 체계에서도 도는 우주의근원임과 동시에, 우주 만물과 세상만사의 생성과 변화 발전을 지배하는 보편적 법칙을 일컫는다.(8p)
장자 자연철학의 핵심 범주(개념)인 도는 볼 수도, 들을 수도, 만질수도 없는 무형無形·무위無爲(뭔가를 이루려고 애써 어떻게 하지 아니하고, 만사를 오로지 ‘저절로 그러함’에 맡기고 따르는 속성)의 공허·허무한 물物로서, 또한 분명히 실존하는 영원불변의 절대적 존재이다. 한데 도는 결코 그저 공허 허무함에 머물지 않으며, 오히려 한껏 진실하고도 충실하다.그 가운데에는 우주 만물을 창조하고, 또 그 모든 생명과 물질의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주재하는 원리와 본질을 함유하고 있다. 환언하면 도는 천지 만물을 생육生育하는 근원이면서, 또한 천지 만물 가운데 시공간을 초월하여 언제 어디에나 존재하지 않은 때, 존재하지 않은 곳이 없다. 인간은 천지 만물의 하나인 만큼 천지 만물과 그 근원을 같이한다. 그야말로 장자가 이른 대로, "천지는 나와 함께 존재하고, 만물은 나와 하나이다(天地與我並生, 而萬物與我爲一)."(「제물론」) 이처럼 천지 만물과 인간은 일체로서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긍정한 장자의 견해는, 동양철학사상東洋哲學史上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으로 자리매김했다.(9p)
『장자』 일서는 "사람이 자신의 한 몸을 온전히 지키며 마음 편히 살기 위해서 진정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철학적 고뇌와사고의 결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이 바로 장자 철학 사상의출발점이요, 또한 귀착점이다. 장자의 철학은 가위可謂 인생철학이다.(10p)
사람은 누구나 현세의 삶 속에서 주·객관적 속박과 한계에 부딪히며 고통과 번뇌에 빠지게 된다. 바로 그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한 장자의 인생철학은 한마디로 세속적 속박과 얽매임에서의 초탈과 벗어남이다. (11p)
첫째, 자연적인 생과 사에 대한 자연적인 생과 사에 대한 얽매임에서의 벗어남이다. 장자에 따르면 삶과 죽음은 천명天命에 의한 것이며, 사람이 도저히 어떻게 할 수 없는 천지자연의 법칙일 뿐이다. 삶과 죽음은 각각 자연 변화의 한 과정이요 현상이며, 생명 존재의 한 형식일 뿐이다. 그러니 삶을 꼭좋아하고 기뻐할 것도 없고, 죽음을 꼭 싫어하고 슬퍼할 것도 없다.그리고 장자의 사고 속에서 인간은 천지 만물과 하나임은 물론이거니와, 우리의 몸은 단지 "천지가 맡겨놓은 형체(天地之委形)"일 뿐이고, 우리의 생명은 단지 "천지가 맡겨놓은 화기和氣(음양의 기운이 서로 결합해 생성된 지극히 조화로운 기운)(天地之委和)"(「지북유知北遊)일 뿐이다. 결국 장자는 생사에 대한 의식과 관념을 육체의 존재라는 차원을 넘어 더 높고, 더 넓은 의미의 궁극적 존재로 승화시킴으로써 생사의 한계를 무색하 게 했고, 그렇게 하여 우리가 마침내 생사의 속박에서 초탈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p)
아, 내가 그렇게 어린 나이에 정말로 구속되고 싶었는지 완벽하게 확신할 수는 없지만,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다가 혼자 있게 되면 몹시 외로워지기 마련이다.-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그래서 우리는 레벤스라움 프로젝트에 대한 대화로 넘어갔다. 우주선 열두 척이 지구에서 출발해 태양을 중심으로 12면체 각 면의 중심축에 가깝게 열두 방향으로 뻗어 나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략 그렇다는 것이고, 각 우주선의 임무는 우주 공간을 수색하는 게 아니라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태양형 항성들을 최대한 많이 방문하는 것이다.-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81/373p)
스티븐 삼촌이 나를 진지하게 바라보며 말했다. "너희가 겁을 먹을 거라고는 생각지 않았어. 그 나이에는 그렇지. 나도 그 나이엔 겁내지 않았으니까. 나는 열아홉 살 이후로는 덤으로 사는 거야. 이제는 내 운을 너무도 확신해서, 만일 우주선이 한 대만 돌아온다면, 틀림없이 내가 탄 우주선일 거라고 믿어. 그런데 너희 어머니에게 쌍둥이 중 반을 갖는 것이 전혀 없는 상태보다는 낫다고 말하는 게 왜 바보 같은 소리인지 알겠어? 너희 주장은 감정적으로 완전히 잘못됐어. 성경에서 잃어버린 양의 우화를 읽어봐. 너희는 너희 어머니한테 둘 중 하나가 집에서 안전하게 지낼 거라고 지적하면, 다른 하나는 집을 떠나 안전하지 않을 거라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해. 너희 아버지가 어머니를 안심시키려고 애쓰다 보면, 이 사실들을 알게 될 확률이 높아. 통계학자들이 예측하기 위해 이용한 사실 자료들은 기밀이 아니니까. 이 프로젝트에 대한 홍보는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부정적인 부분의 강도를 줄이는 것에 불과해."-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86/373p)
네가 반복해서 올바르게 결정할 수도 있겠지만, 낯선 곳을 탐사할 때는 네가 처음으로 잘못 내린 판단이 너의 마지막 판단이 되는 거야. 죽는 거지. 이 작은 태양계에서 이루어진 탐사들에 관한 수치를 본 적 있어? 탐사는 러시안룰렛 같은 거야. 너는 이기고 또 반복해서 이길 수 있지만, 게임을 계속 진행하면 죽을 게 확실해.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86-87/373p)
아, 내가 그렇게 어린 나이에 정말로 구속되고 싶었는지 완벽하게 확신할 수는 없지만,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다가 혼자 있게 되면 몹시 외로워지기 마련이다.-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98/373p)
그러나 진짜 핵심은, 내가 알게 된 것처럼, 소규모의 고립된 사회 집단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다. 그 문제에 대해서는 실험식과 ‘측면 압력’, ‘교류 유의성(誘意性)’, ‘족외혼 완화(작은 마을의 젊은이들은 마을 밖에서 아내를 찾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등을 나타내는 기호가 들어간 수학까지 있다.-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139/375p)
텔레파시, 빛, 전파, 심지어 중력도 빛의 속도가 한계입니다. 이는 물리적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특질로서 모든 통신의 궁극적인 한계입니다. 다른 어떤 견해도 ‘원격 작용’4이라는 고대의 철학적 모순에 빠지게 됩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59/373p)
텔레파시는 역제곱 법칙도 무시합니다. 5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보낸 텔레파시 신호의 강도는 바로 옆방에 있는 텔레파시 능력자가 보내는 신호의 강도만큼 강력합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62-63/37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