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시공간 연속체의 상대론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였어. 하지만 텔레파시 능력자들이 하는 일은 시공간과 무관해. 시간이 없다면 공간이 없어. 공간이 없다면 시간이 있을 수 없지. 시공간이 없다면 에너지-질량 보존 법칙도 없어. 맙소사! 아무것도 없는 거야. 그 때문에 노인네들 중 일부가 넋을 놓았어. 하지만 이제 우리는 텔레파시 능력자들을 어떻게 물리학에 끼워 넣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 시작하는 중이야. 새로운 물리학 말이야. 모든 게 바뀔 거야."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70/373p)

개인적으로 나는 어떤 죽음이든 모든 죽음이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설령 ‘전혀 심각하지 않은 질병’으로 죽더라도, 내가 죽으면 죽는 거다. 그리고 그 질병은 심각하긴 했지만, 나를 죽이지는 못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73/373p)

어쩌면 베른하르트의 엉뚱한 이론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우리는 몸만 젊은이로 남아 있을 뿐, 모두 괴팍한 늙은이가 되어가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바보 같은 소리다. 그리니치 시간으로는 70여 년이 지났지만, 내게는 지구를 떠난 이후 4년이 채 지나지 않았다. 나에게 진짜 시간은 식사와 잠이다. 나는 루이스클라크호에서 대략 1천4백 번 잤으며, 한 번 잘 때마다 세 번의 식사와 한두 번의 간식을 먹었다. 그것은 4년이지 70년이 아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79-280/373p)

그러나 우주선은 인간의 신체가 아니다. 우주선은 쉽지 않은(최소한 나에게는 쉽지 않았다) 어느 정도의 이기심을 가진 채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유일한 것은 ‘사기’라고 부르는 어렴풋한 그 무엇이다. 우주선의 사기가 떨어지기 전에는 그것을 거의 인식할 수 없다. 나는 그제야 얼마 전부터 루이스클라크호의 사기가 떨어졌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먼저 데브루 박사가 사망하고, 곧 오툴 부인도 사망했다. 둘 다 커다란 충격이었다. 이제 우리는 선장도 잃고, 다른 사람들도 대부분 잃었다…. 루이스클라크호가 허물어지고 있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330-331/373p)

"모르겠어, 톰? 내가 너한테 설명했었잖아. 난 설명해줬던 기억이 나. ‘무관계성’ 말이야. 이런, 너희 텔레파시 능력자들 때문에 그 연구가 시작됐어. 너희가 ‘동시성’이 허용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증명했으니까…. 그리고 피할 수 없는 논리적 결론은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야."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343/373p)

우리는 역사책에 짧은 문단으로, 과학책에는 각주 정도로 남을 것이다. 뉴스에는 우리가 차지할 공간이 없었다. 나는 각주만 해도 그나마 잘 대해준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에 대해 머릿속에서 지워버렸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359/373p)

나는 이 허약한 노인이 첫 최고속도 당시 나와 연락하기 위해 자신의 건강과 온전한 정신을 상하게 할 위험을 무릅썼었던 기억이 났다. 그래서 나는 팻이 그렇게 간절히 원한다면 팻의 비위를 맞춰주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팻은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지 않으니까.

아니다!

한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힘이나 약점을 이용해서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 나는 나다…. 그리고 나는 다시 별로 나아갈 것이다. 갑자기 깨달았다. 아, 대학을 먼저 가도 좋겠지만, 나는 우주로 나아갈 것이다. 나는 이 노인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빚졌다…. 그러나 내 삶의 미래를 빚진 것은 아니었다. 내 삶은 내 것이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364-365/37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떠 사물의 분해는 다른 사물의 생성이요, 또 어떤 사물의 생성은다르 사물의 훼멸毀滅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물은 사실상 생성과 훼멸의 구별이 없으며, 결국은 다시 서로 통하여 모두 한가지가 되는 것이다.
한데 유독 대도에 통달한 사람만이 서로 통하여 모두 한가지가 되는 그 이치를 알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만물이 서로 다른 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대도의 관점에서 만물을 바라본다.
영원불변의 대도는 진실로 유용하나니, 그 유용함은 사리事理에의 통달을 이끌며, 사리에의 통달은 곧 스스로 득의함으로 이어진다.
스스로 득의함의 경지에 이르면 그야말로 거의 대도를 체득한 것이니, 곧 제물의 원칙에 따라 처사處事하게 된다.
다만 ‘제물‘의 원칙에 따라 처사하면서도 그 소이연所以然을 알지 못하는데, 그것이 바로 대도의 경지이다.
(81p)

모든 사물은 상대적 개별성과 특수성을 가진다.
하지만 대도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사물은 또 공통성 내지 공통점을 갖게 된다.
장자는 바로 이 같은 이론적 근거하에, ‘제물’, 즉 만물은 다 한가지임을 역설하는가 하면, ‘시비‘나 ‘피차‘를 명확히 변별하려는 사람들을 ‘조삼모사朝三暮四‘와 ‘조사모삼朝四暮三’이 매한가지임을 모르는 어리석은 원숭이에 비유하며 비판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사람은 "시비를 조화시켜 자연 균형의 상태에 머물게 해야 함"을 강조했다.
(85p)

우주 만물의 본원을 탐구해 그 극점으로 달려가면, ‘아무런 사물도 존재하지 않는‘ 무물無物의 상태에 이르는데, 그것은 곧 도의 모습을 시사하는 것으로, ‘허虛’, ‘무無’를 특징으로 한다.
장자가 볼 때, 옛날에 지극히 지혜로운 사람들은 아직은 피차니 시비니 하는 관념 자체가 없이, 그야말로 대도 본연의 ‘허’·‘무‘를 닮아 있었다.
(89p)

유有가 있다는 것은, 곧 무無가 있다는 것이고, 또 일찍이 무가 있지 않은 때가 있었다는 것이며, 다시 또 일찍이 그 일찍이 무가 있지 않은 때가 있었던 때조차도 있지 않은 때가 있었다는 것
이다. 아무튼 그러다 갑자기 유와 무가 있게 되었는데, 다만 아직 유와 무가 과연 어느 것이 진정한 유이고, 어느 것이 진정한 무인지는 알지 못한다. 이처럼 지금 나는 이미 이 같은 의론을 말하기는 했으나, 내가 말한 것이 과연 제대로 말한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말하지 못한 것 지 알지 못한다.
(90p)

또한 노자 사상의 계승자인 장자의 우주론에서 볼 때, 우주의 시원 그 궁극은 지극히 ‘허’·‘무’한 상태이며, 따라서 그 어떤 시비나 피차가 있을 리 만무하다. 바로 그러한 우주 만물의 근원적 관점에서 보건대, 만물은 결국 다 한가지요, "천지는 나와 함께 존재하고, 만물은 나와 하나이다." 하여 장자는 말한다.
사람은 그처럼 물아를 모두 망각한 경지를 지향해 일로매진하여, 부질없고 끝없는 의론에 대한 집착에서 완전히 벗어나는가 하면, 진정 ‘제물‘의 이치를 깊이 깨닫고, 그 정신과 원칙에 따라 처신 처사해야 할 것이다.
(93p)

무릇
지극한 도는 이름 붙여 일컫지 않고,
지극한 변론은 말로 하지않으며,
지극한 인애仁愛는 사사로이 인애하지 않음이요,
지극한 청렴은 겸양하지 않으며,
지극한 용기는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
도는 이름붙여 밝혀낼 수 있으면 진정한 도라 할 수 없고,
변론은 말로 해서는진리에 이르지 못하며,
인애는 특정한 데에 고정되어서는 두루 미치지 못하고,
청렴은 지나치게 청백淸白하여서는 진실하지 않으며,
용기는 사람을 해쳐서는 공업功業을 이루지 못한다.
이 다섯 가지는 모두 비유하자면 둥글기를 추구했으나 오히려 거의 모나게 된 꼴이다.
(95p)

결국 사람은, 일신을 대도에 맡기고 "생사도 잊고, 시비도 잊은 채, 무궁한 대도의 경지를 소요하는" 성인처럼 유유히 만물 변화에 순응함으로써 천수를 다해야 한다는 게 장자의 생각이다.
(113p)

예전에 장주莊周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는데, 경쾌히 날며 기껍고자득한 한 마리 나비였다.
또한 스스로 얼마나 기껍고 득의함에 취했던가!
자신이 장주라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
그러다 갑자기 잠을 깼는데, 놀랍게도 자신은 본디 장주였던 것이다.
한데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꿈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장주와 나비는 분명 구별이 있는 것일 텐데 말이다. 아무튼 이를 일컬어 ‘물화物化’, 즉 만물이 상호 동화되는 변화라고 한다.
(115p)

이는 후세에 널리 알려진 장자의 호접몽胡蝶夢 이야기로, ‘제물론’의 지극한 경지를 논증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바로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꿈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알 수가 없었다"는 대목이다.
꿈속의 장자 자신이 모든 아我‘, 즉 자아를 대표한다면, 나비는 또 모든 물物, 즉 외물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아가 물인지, 아니면 ‘물‘이 ‘아‘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는것이니, 그야말로 물아일체 물아양망物我兩忘(외물과 자아를 모두 망각함)이 따로 없다.
또한 이는 곧 무아요, 망아의 경지이니, 편 첫머리의 ‘상아‘와도 통한다.
아무튼 진실로 망아와 상아의 경지에 이른다면, 세속의 시비나 이해.생사·귀천 따위의 잡념은 말끔히 사라지고 말 터이니,
‘제물 ‘제론‘에 대한 신념은 절로 확고해질 것이다.
(11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선의 속도가 광속의 75퍼센트에 도달하자, 팻은 내가 말을 질질 끈다고 불평했다. 반면에 나에게는 팻이 빠르게 재잘거리기 시작하는 것처럼 들렸다. 광속의 90퍼센트에 도달하자, 속도 차이가 두 배에 가까워졌다. 하지만 이제 문제가 무엇인지 알았기 때문에, 나는 빠르게 말하고 팻은 느리게 말했다.

광속의 99퍼센트에 도달하자, 속도 차이가 일곱 배로 벌어졌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상대방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 말고는 없었다. 그날 오후 우리는 완전히 연락이 끊어졌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13/373p)

하지만 다른 측면으로 생각하면, 중요한 문제였다. 루이스클라크호가 빛의 속도(에서 모기의 더듬이만큼 뺀 속도)로 날아가는 동안 우리에게는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지구 쪽에서는 10년을 꽉 채운 시간이 될 것이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15/373p)

아기 몰리와 나는 선단에서 최초로 2차 통신팀이 된 모양이었다. 우리가 마지막은 아니었다. 알프레드 아저씨와 슈가 파이의 사례로 제시된 가설을 바탕으로, 재단에서는 잠재적으로 새로운 참가자인 어린아이, 그리고 그 아이와 친밀한 관계인 옛날 팀의 성인 참가자를 새로운 팀으로 구성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26-227/373p)

문제는 그 행성들이 편리하게 가까운 곳에 있지 않다는 점이다. 고래자리 타우는 지구에서 겨우 11광년 거리밖에 안 되지만, 우리 은하계에 있는 대부분의 별들은 지구에서 평균 약 5만 광년 거리에 있다. 장기정책재단도 그렇게 긴 기간으로는 사고하지 않았다. 항성이 1백 광년 거리 안에 있지 않은 한 아무리 토치선이라고 해도 개척하러 나가는 것은 바보 같은 생각이었다. 물론 토치선은 필요한 만큼 멀리 나갈 수 있고, 심지어 은하계를 가로질러 갈 수도 있다. 하지만 빙하기가 두 번 왔다가 지나간 후에 부동산 조사 보고서를 받는 일에 누가 관심을 가지겠는가? 인구 문제는 그 오래전에 이런저런 방식으로 해결될 것이다…. 어쩌면 서로 죽을 때까지 싸우는 방식이 인구 문제를 푸는 해결책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구에서 1백 광년 거리 안에는 겨우 1천5백 개 남짓한 별밖에 없고, 그중 약 160개만이 태양과 일반적인 스펙트럼형이 같았다. 레벤스라움 프로젝트에서는 그중에 절반 정도를 확인할 계획이었다. 바스코다가마호를 잃었으므로, 기껏해야 75개 정도였다.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230-231/37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바로 인생의 온갖 번뇌와 쟁집爭執(서로 자기 의견을 고집하여 옥신각신 다툼)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하여 장자는 이 편의 논지를 펴기 시작하자마자 ‘오상아吾喪我‘의 경지를 제시했다.
여기서 ‘상아’는 사람이 자기중심의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 광대하면서도 개방적이고 초탈적인 마음으로 만물을 관조하고, 인생을 통찰함을 말한다.
따라서 그것은 곧 「소요유편」에서 말한 ‘무기‘나 다름이 없으며, 바꿔 말하면 망아요무아다.
아견我見(개인적인 선입견 내지 편견, 이를 불교에서는 ‘나‘를 고집하는 그릇된 견해라고 함)을 타파하고, 아집을 버리는 것이야말로 진정 ‘제물론‘의 인식과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6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기준계의 상대 속도가 v일 때, 첫 번째 기준계의 시간 간격 t0는, 상대 속도의 제곱을 광속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1에서 뺀 값의 제곱근을, 두 번째 기준계의 시간 간격 t에 곱한 값과 같다. 물론 이건 특별한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어. 속도가 일정한 경우지. 가속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복잡해. 그러나 시간 방정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혹은 과연 의미하는 게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 차이가 있었어."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160/373p)

"그래? 그렇다면 팻이 예전부터 줄곧 좋은 쪽은 자기가 갖고 더러운 쪽을 너에게 떠넘겼다는 생각은 버리는 게 좋겠구나. 하지만 네가 과연 그럴지 의문이다. 넌 팻을 좋아해. 우리는 모두 익숙한 것들을 좋아하지. 낡은 신발, 낡은 담배 파이프, 심지어 이미 잘 알고 있는 악마가 낯선 악마보다는 낫잖아. 넌 팻에 대한 의리를 지키고 있어. 팻은 너에게 필요하고, 너는 팻에게 필요하지. 하지만 팻을 좋아해? 내 생각에는 절대로 그럴 것 같지는 않아. 반면에, 더 이상 팻을 ‘사랑’할 필요도 없고, ‘좋아’할 필요도 없다는 사실을 네가 이해하게 된다면, 팻을 그 모습 그대로 조금이나마 좋아하게 될 수도 있어. 네가 팻을 많이 좋아하게 될지는 의문이지만, 확실히 팻에게 좀 더 관대해질 거야. 팻은 좋아하기가 조금 힘든 녀석이잖아."

-알라딘 eBook <별을 위한 시간>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최세진 옮김) 중에서 (186-187/37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