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여 점, 반 고흐가 파리에 머문 2년 동안 만든 작품 수입니다. 반 고흐는 열정적으로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기 위해 몰두했죠. 그런데 더불어 압생트에도 몰두했습니다. 파리를 떠날 무렵, 그는 이미 알코올 중독자가 되어 있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29

"예전에는 이런 행운을 누려본 적이 없다. 하늘은 믿을 수 없을 만큼 파랗고 태양은 유황빛으로 반짝인다. 천상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푸른색과 노란색의 조합은 얼마나 부드럽고 매혹적인지."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0

"남프랑스에 머물면서 극단적인 느낌에 이르도록 색을 사용해보는 일이 내게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 깨닫는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1

녹색 요정은 어김없이 아를에서도 반 고흐와 함께였습니다. 마시고 또 마셨죠. 녹색 요정이 산토닌(Santonin)을 품고 있던 것을 모른 채, 반 고흐는 산토닌에 중독되고 맙니다. 산토닌은 압생트 주원료인 향쑥의 주요 성분으로 과다복용 시 부작용이 있습니다. 바로 황시증입니다. 세상이 노랗게 보이는 거죠. 고흐 또한 모든 대상을 노랗게 보게 됩니다. 노란색이 아닌 것도 노랗게 보이고, 노란색은 더욱 샛노랗게 보이는 운명에 처합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2

"노란 높은 음에 도달하기 위해서 나 스스로를 좀 속일 필요가 있었다."
그는 이 말을 알코올 중독 수준이 너무 심각하다며 자신을 나무란 의사에게 했다고 합니다. 활활 타오르는 노랑을 보기 위해 자신을 속이며 압생트를 계속 마셔야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자신의 예술을 위해서라면 모든 것을 던질 수 있었던 반 고흐가 생명을 활활 태우며 꽃피운 대표작이 바로 〈해바라기〉입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5

〈해바라기〉는 1888년 오랜 설득 끝에 아를로 오기로 한 정신적 지주, 고갱을 기다리는 반 고흐의 기쁨과 설렘이 담겨 있는 작품입니다. "화가는 사진보다 심오한 유사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던 고흐이기에 〈해바라기〉는 우리가 알던 해바라기가 아닙니다. 노랗게 타오르는 정열의 에너지를 보는 것만 같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6

요놈의 압생트! 이제는 반 고흐 예술에 도움을 준 착한 녹색 요정으로 보입니다. 그렇지만 한 가지를 빼놓고 이야기했습니다. 네, 이 요정은 반 고흐를 알코올 중독자로 만든 주범이었습니다. 여기에 진정한 저주 하나가 더 있었으니, 바로 튜존(Thujone)입니다. 이 성분은 뇌 세포를 파괴하고 정신착란과 간질발작을 일으킵니다. 여느 술과 같은 알코올 중독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었죠. 압생트는 고흐의 몸과 마음을 뿌리부터 파괴시킨 ‘녹색 악마’였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7

그때 고흐가 그린 자화상은 유례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붕대로 귀를 감은 자화상〉입니다. 귀를 자르고 붕대를 감고 자신을 그리다니! 평소의 그답지 않게 자신의 얼굴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 눈에 들어옵니다. 자신도 모르게 스스로 귀를 자른 그날의 충격과 나 자신도 어찌할 수 없는 나. 고흐는 슬픔 어린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았던 게 아닐까요? 노란 방, 노란 낯, 초록 눈동자는 마치 압생트를 머금은 듯합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39

자신의 생명을 걸고 강렬히 몰두하는 만큼 그의 화면은 끝을 모르고 빛나기 시작합니다. 이때 〈별이 빛나는 밤〉과 〈붓꽃〉이 탄생합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41

그리고 테오에게 마지막 편지를 씁니다.

"이제 와 생각하니 쓸모없는 일 같지만, 나는 너에게 정말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나는 내 작품에 삶 전체를 걸었고 그 과정에서 내 정신은 무수히 괴로움을 겪었다. 다시 말하지만 너는 내게 그저 평범한 화상이 아니었고 항상 소중한 존재였다."

그는 편지를 쓰다 말고 작별을 고합니다. 저기, 까마귀가 나는 밀밭에서 말이죠. 고흐는 결국 압생트의 저주를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43

자신을 그릴 때는 자신의 감정 자체를 색에 담고자 했죠. 화가 자신의 감정을 표출한다는 점에서 뭉크로부터 시작되는 표현주의의 선구자로 반 고흐가 꼽히기도 합니다. 더불어, 20세기 초 앙리 마티스 역시 반 고흐의 영향을 받은 표현주의적 회화를 추구했고, 이것은 야수주의 탄생으로 이어집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48

파리에선 이미 예술가가 자기만의 자유로운 표현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당연시되어 가고 있었죠. 그 토양 위에서 1890년대부터 ‘새로운 예술을 하자’는 아르누보(Art Nouveau) 운동이 펼쳐졌습니다. 그 열기를 이어받아 독일에서도 ‘젊은 예술을 하자’는 유겐트스틸(Jugendstil) 운동이 확산되었죠. 유럽 전역에서 젊은 예술가들이 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을 하자고 외치고 있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62

그렇습니다. 클림트와 분리주의자들은 아테나로 변신한 것입니다. 과거를 답습하고 변화를 거부하며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주류 미술 세력과 전쟁을 시작하겠다는 의지입니다. 그들과 분리되어 ‘새로운 시대, 새로운 예술’을 쟁취하겠다는 분리주의 정신을 그림 안에 당당하게 녹여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68

"너의 행동과 예술 작품으로 모든 사람에게 즐거움을 줄 수 없다면 소수의 사람을 만족시켜라. 많은 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은 대단히 힘든 일이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73

그의 분리주의 정신은 곧 에곤 실레, 오스카 코코슈카라는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또 다른 거장들을 탄생시키는 인큐베이터가 되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85

철학자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되는 인간은 3단계로 정신이 진화한다고 말합니다.
1단계는 삶에 놓인 고통이라는 짐을 기꺼이 짊어지고 사막을 걸어갈 수 있는 끈기정신을 가진 ‘낙타’입니다.
2단계는 단순히 고통을 인내하는 것을 넘어 세상의 문제와 맞서 싸우는 투쟁정신을 가진 ‘사자’입니다.
궁극의 3단계는 1~2단계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와 규범을 만들어내는 창조정신을 가진 ‘어린아이’입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87

죽음을 부르는 ‘성(性)’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성’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괴로움. 그렇게 실레는 어린 나이에 성에 대한 트라우마를 겪게 됩니다. 이는 아마 의식 깊숙한 곳에 숨어 젊은 날의 그를 마구 괴롭혔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레는 이로 인한 고통과 불안을 자신만의 예술을 꽃피우는 영감의 원천으로 승화시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99

"신예술가는 자립적인 존재여야 한다. 신예술가는 창조자여야 한다. 신예술가는 과거와 미래의 산물 없이도 오로지 혼자서 직접 기초부터 쌓아 올릴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해야 신예술가라 할 수 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207

"자기신뢰야말로 용기의 초석이고, 자기신뢰는 위험이란 요소와 친하게 되어 있습니다. (중략) 용기란 고뇌하며 위험에 맞서는 정신을 의미합니다. (중략) 삶은 거센 물결과 고통을 헤치고 나아가는 투쟁이자, 끝없이 밀려드는 적들과의 투쟁이라고 했지요. 인간은 누구나 자연이 각자에게 선사한 것을 즐기기 위해 홀로 투쟁해야 합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2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탠턴은 영화 제작을 ‘자전거 타기’에 비유했다. 처음부터 잘 타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어느 정도 숙달되려면 수없이 넘어져봐야 한다는 의미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99

"실패할 자유가 없으면 사람들은 새로운 도전 없이 기존에 성공을 보장했던 안전한 방식만 되풀이합니다. 결국 아무런 혁신도 없이 과거의 것을 그대로 모방한 결과물이 나올 수밖에 없어요."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99

이미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시피 노키아의 실패는 줄곧 피처폰에만 주력한 결과였다. 캐나다 림RIM에서 블랙베리를 출시한 이후 애플과 구글이 수십억 달러를 들여 IOS, 안드로이드를 개발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경영진은 막대한 개발비를 투자할 의지가 없었고, 조직에는 두려움이란 기류가 만연해 있었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5세 노인이 된 드가는 시력을 많이 잃었지만 시를 씁니다. 자신의 몹쓸 눈 때문에 원하는 만큼 예술을 표현하지 못한 답답함을 시로 대신했던 걸까요?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04

그가 발레리나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았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빈민가 출신의 발레리나에게서 무한한 예술을 발견하며 자신을 ‘늙은 멍청이’로 낮추는 드가. 그에게서 신사 예술가의 품격이 느껴집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06

성에 대한 욕구를 멀리하는 금욕주의자가 된 드가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는 ‘중간자’가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당시 파리의 시대상을 조금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게 되었죠. 드가는 부르주아 남성들에 의해 상처받는 하류층 여성들의 애환을 있는 그대로 직시했습니다. 그리고 그 아픔에 공감하며 파스텔을 들었습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09

드가만의 전매특허는 바로 ‘순간 포착’입니다. 말이 달리는 순간, 무용수가 춤추는 순간 등 움직이는 대상의 순간을 포착해 그림을 그렸죠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14

"노란 높은 음에 도달하기 위해서 나 스스로를 좀 속일 필요가 있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22

그가 파리에 도착할 당시, 파리를 접수한 것이 있었으니 바로 ‘녹색 요정’이라 불리는 술 압생트입니다. 이 술은 알코올 도수가 40~70퍼센트에 달하던 독주입니다. 어디서든 잡초처럼 잘 자라는 향쑥이라는 허브를 주원료로 만들어서 우리네 소주처럼 매우 저렴했죠. 높은 도수와 저렴한 가격으로 가성비를 확보한 술이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회향, 아니스 등 허브를 첨가해 그만의 독특한 향으로 애주가를 사로잡죠. 그리고 마지막 화룡점정으로 물과 설탕을 등장시킵니다. 압생트를 담은 잔 위에 설탕을 올려놓고 물을 한 방울씩 떨어트리면, 압생트는 희뿌연 연기를 머금은 에메랄드그린으로 둔갑합니다. 가성비에 감성까지 갖춘 술이라니!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906133 -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re is laughter. Marie-Laure frowns. It is just an iron door witha brass keyhole.
The tour ends and the children disperse and Marie-Laure is rein-stalled in the Grand Gallery with her father. He straightens her glasseson her nose and plucks a leaf from her hair. "Did you have fun, machérie?"
A little brown house sparrow swoops out of the rafters and landson the tiles in front of her. Marie-Laure holds out an open palm. Thesparrow tilts his head, considering. Then it flaps away.
One month later she is blind.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적 안정감이란 자신의 생각을 가감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솔직한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생산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분위기다. 어느 직장에서나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의견 충돌에 구성원 개개인이 심리적으로 타격을 받지 않는 상태를 뜻하기도 한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46

문제 제기의 혜택이 타인을 향해 있다면 이는 신뢰감과 관련이 있고, 그 혜택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이라면 심리적 안정감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심리적으로 안정된 조직 환경에서는 도움을 요청하거나 실수를 인정해도 당사자에게 아무런 불이익이 없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49

그러나 상호의존적인 업무를 수행하거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 혹은 이 두 요소가 혼재하는 조직에서는 ‘낮은 심리적 안정감’과 ‘높은 업무 수행 기준’의 조합이 종종 암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오늘날 ‘VUCA(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의 약자로 미국 육군대학원에서 처음 사용한 조어[ 55 ])’에 직면한 수많은 기업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한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52

어떤 분야에서든 리더는 두 가지 주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심리적으로 안전한 근무 환경을 만들어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문제를 충분히 예방한다. 또한 가치 있는 목표를 세워 지속적으로 공유하면서 다듬어가는 과정을 통해 직원들이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53

리더는 조직을 감독하는 동시에 다양한 영감과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구성원에게 보람 있는 경험을 만들어주고 동기를 부추겨야 한다. 또한 조직 안에서 각종 도전 과제와 우려 사항, 기회에 관해 자유롭게 의사소통하는 환경을 구축해 끊임없이 혁신하는 것 역시 오늘날 리더에게는 가장 중요한 임무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54

업무의 속성을 명확히 정의했는가? 업무의 복잡성과 상호의존성은 어느 정도인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가? 업무의 속성을 얼마나 자주 직원들에게 언급하는가? 업무의 속성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 정도를 얼마나 잘 평가하고 있는가?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2

리더로서 내가 모든 정답을 알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직원들에게 분명히 인지시켰는가?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3

형식적 반문이 아닌 의미 있고 효과적인 질문을 얼마나 자주 하는가? 혹시 내 생각만 주장하고 있지 않은가? 직원들의 생각과 의견을 얼마나 자주 묻는가?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3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면서 내가 듣고 있는 바가 매우 중요한 내용임을 시사했는가?

자신의 생각을 기꺼이 표현해준 상대방의 노력을 인정하며 감사 표시를 했는가?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4

조직은 모든 구성원이 거리낌 없이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때,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혁신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7

침묵과 자기보호의 결과는 공허한 승리뿐이지만, 문제 제기와 자기표현의 결과는 성취감과 소속감으로 귀결된다. 이는 쉽게 말해 ‘패배를 피하기 위한 경기’냐 ‘승리를 거두기 위한 경기’냐의 차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88

캣멀은 모든 조직의 리더에게 ‘당신도 한 번쯤은 솔직함을 제도화해보라’고 권한다. 이미 잘 알려진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Braintrust’처럼 말이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95

브레인트러스트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

첫째, 평가 내용은 반드시 건설적이어야 한다.
더불어 그 대상은 제작진이 아닌 영화로 한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작진도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거나 이를 개인에 대한 지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진실을 마주할 용기가 있어야 한다.

둘째, 브레인트러스트에서 나온 의견은 단지 제안일 뿐 확실한 처방이 아니다.
윗선의 지시도,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도 아니다.
영화의 최종 책임은 감독에게 있으며 제안된 내용을 수용할지 결정할 권한도 감독에게 있다.

셋째, 평가는 흠을 들춰내는 과정이 아니다.
영화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감독의 비전과 목표를 인정하고 격려해주는 말이 감독 스스로가 인원을 모집해 브레인트러스트를 운영하는 원동력이 된다.

-알라딘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중에서 - P1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