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에의 참가와 생식의 예속에서의 해방이란 두 요소의 합류로부터여성의 상황의 진화는 설명된다.
엥겔스가 예언한 바와 같이, 여성의사회적·정치적 신분은 필연적으로 변화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콩도르세에 의하여, 영국에서는 매리 울스톤크라프트에 의하여 그의 저서 여권의 옹호〉에서 발단되고, 19세기 초에 생 시몽 파가이를 계승한 여권 운동은 구체적인 지반(地盤)이 결여된 동안은 목적을달성할 수가 없었다.
오늘날에는 여성의 권리 요구가 그 중요성을 완전히 인정받게 되었다. 부르주아와 사회의 한가운데서도 그들의 소리는 무시할 수 없게끔 되었다.
공업 문명의 급속한 발달의 결과로 부동산은 동산(動産) 때문에 후퇴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족 집단 단위의 원칙은 그 세력을 잃어 가고 있다.
가동 자본(可動資本)의 소유자는 여태까지처럼 재산에 소유되는 대신에 그것을 일방적으로 소유할 수도 있고 자유로이 처분할 수도 있게 되었다.
여자가 실질적으로 남편에게매여 있던 것은 세습 재산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세습 재산이 폐지되면 부부는 1대 1의 관계가 성립되며, 어린애들까지도 이해(利害)의견고성에 비할 만한 견고성의 유대를 이루지 못한다. 이와 같이 해서개인은 집단에 대하여 자기를 확립하게 된다. - P191

가정은 사회의 기본 세포로 간주되며, 여성은 노동자인 동시에 가정 주부이다. - P202

우선 결론을 말한다면, 여성의 모든 역사는 남성에 의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미국에 흑인 문제가 있는것이 아니라 백인 문제가 있는 것처럼, 또 "반유태주의는 유태인의문제가 아니라 우리들의 문제인 것처럼" 여성의 문제는 항상 남자의문제였다.
어떤 원인에서 남성들이 출발점에서 육체적인 힘과 함께 정신적인 권위를 장악하였는가는 이미 본 바와 같다.
남자들은 가치 · 풍습·종교를 만들었다.
여성들은 이 점에 있어 남성들과 다툰 일이 한번도 없었다. - P202

여성의 운명을 늘 장악하고 있었던 사람들은 남자들이다.
그리고 남자들은 여성의 운명을 여성의 이익을 위하여 이끌려고 하지는 않았다. 남자들이 존중한것은 자기네들의 계획이요, 자기네들의 염려요, 자기네들의 욕구였다.
남자들이 어머니인 여신을 숭배한 것은 자연(自然)이 그들을 두려워하게 했기 때문이다. 청동(靑銅)의 도구가 그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항해서 자기를 주장하게 되자마자, 남자들은 곧 부장제(父長制)를 마련하였다. 그 때 이후로 여성의 운명은 가족과 국가의 항쟁이 결정해 갔다.
기독교도가 여자에게 지정해 준 조건 속에서 반영된 것은 신(神) 앞에서, 세계 앞에서, 자기 자신의 육체 앞에서의 기독교도의 태도였다. 중세에 "여성에 관한 싸움"이라고 불려진 것도 결혼과 독신을 둘러싼 남자 성직자와 속인 사이의 논쟁이었다. 결혼한 여자의 후견 제도를 가져온 것도 사유 재산에 기초를 둔 사회 제도였다. 그리고 오늘날 여성을 해방시킨 것도 남자들에 의하여 실현된 기술 혁명이었다. - P203

타자의 현존은 타자가 그 자신으로서 엄연히 존재한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즉 진정한 타성(他性)이란 나의 의식(意識)과는 별개의, 그러면서도 나의 의식과 동일한 의식의 타성이다. 각자를 그 내재성(內在性)에서 떼어 내서, 그 인간이 그의 참된 존재를 완성하고, 초월로서, 목적으로 향하는 탈출로서, 투기(投企)로서 자기 완성을 가능케 하는 것은 다른 인간의 실존이다.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날의 여자들은 ‘여성적인 것‘이라는 신화를 뒤엎고 있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독립성을 더욱더 구체적으로 확립하기 시작한다. 그렇긴 하지만, 그녀들이 인간 존재로서의 조건을 완전히 살리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여자들에 의해 여성 세계의 내부에서 키워지는 그녀들의 통상적 운명은, 그녀들을 한층 남자에게 굴종시키는 결혼이다. 남성의 위신은아직도 빛을 잃지 않았다. 그것은 여전히 경제적·사회적인 공고한 기초 위에 든든히 서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의 전통적 운명을 면밀히연구할 필요가 있다. 여자는 어떠한 식으로 그 신분을 수업(修業)하는가? 그것을 스스로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 어떠한 세계 속에 갇혀 있는가? 여자에게는 어떠한 탈출법이 허용되고 있는가? 나는 여기에서 그러한 것들에 대해 쓰려고 한다. 그럼으로써 무거운 과거를 물려받아새로운 미래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여자들에게 어떠한 문제가 가로놓여있는가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자‘ 혹은 ‘여성적‘ 이라는발을 사용할 때 나는 어떠한 원형(原型)도, 어떠한 불변 부동의 본질도의미하지 않는다. 나의 주장 중 대부분의 경우는 ‘현재의 교육과 풍습의 단계에서‘ 라고 이해해 주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에서는 영원한 진리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여자가 여자로서 살아가는 모든 실존의 공통적 배경을 그려 보고자 한다. - P391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인간의 수컷이 사회 속에서 취하고 있는 형태는 어떠한 생리적·심리적·경제적 숙명에의해서가 아니다. 문명 전체가 수컷과 거세체와의 중간 산물을 만들어내어, 그것에다 여성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타인이 끼여들어야비로소 ‘타자‘로서의 개체를 성립시킬 수가 있다. 자기만을 위하여 존재하는 동안에는, 어린이는 자기가 성적으로 구별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소녀·소년의 경우 육체는 처음 얼마 동안은 주체성의발현이며, 외계(外界)를 이해하기 위한 기구(器具)이다. 아이들이 세계를 파악하는 것은 눈이나 손을 통해서이지 생식기를 통해서 파악하는것은 아니다. 출생의 드라마는 물론, 이유(離乳)까지도 유아에게 있어서는 남녀 모두 똑같이 전개된다. 그들은 같은 흥미와 같은 쾌감을 갖는다. 우선 빠는 행위가 그들의 최초, 최대의 쾌감의 원천이다. - P3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의 교도소는 정신 병동이 되어 갔다. 잘못된 마약 정책과 과도한 형벌로 대량 투옥 현상이 발생했으며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가난한 다수의 사람들에게 형을 선고하여 기록적인 수감률을 달성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전례 없는 문제들을 양산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554

20세기 중반에 이르자 이러한 정신 질환자 보호 시설 내에서 자행되는 학대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고 타의에 의한 구금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중대한 정신 질환이라기보다는 사회나 문화, 성 규범에 저항하면서 일어난 별난 행동 때문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가족들이나 교사들, 판사들에 의해 보호 시설로 보내졌다. 동성애자이거나 성 규범에 저항하거나 다른 인종과 연애하는 사람들이 자의에 반하여 정신 병원에 수용되기 일쑤였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5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클레스키 대 켐프〉 재판 과정을 연구했더니 조지아 주에서는 피해자가 흑인일 경우보다 백인일 경우에 범인에게 사형이 선고될 확률이 11배나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인종과 사형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다른 모든 주에서도 동일하게 되풀이되었다. 앨라배마에서는 전체 살인 사건의 희생자 중 65퍼센트가 흑인이었음에도 백인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고 사형수가 된 사람들이 거의 80퍼센트에 육박했다. 흑인 가해자와 백인 피해자로만 짝을 지으면 사형 선고를 받을 가능성은 더욱 증가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426

32항에 의거해 청원서를 제출하려면 1심이나 항소심에서 제기되지 않았으며 제기될 수도 없었던 새로운 주장을 해야 했다. 32항이란 무능력한 변호사, 검찰 측의 증거 은닉, 가장 중요하게는 결백을 증명할 수 있는 새로운 증거 등에 기초하여 기존의 유죄 판결에 이의를 제기하는 수단이었다. 마이클과 나는 경찰과 검사의 불법 행위를 비롯해 위의 문제 세 가지를 모두 제기하는 청원서를 작성해서 먼로 카운티 지방 법원에 제출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429

흐르지 않는 눈물

내면의 고통 속에 갇힌 채
눈이라는 창문을 통해
탈출할 날을 기다리는
아직 흐르지 않는 눈물을 상상해 보라

「왜 당신은 우리를 보내 주지 않는가요?」
눈물이 의식에게 묻는다
「당신의 두려움과 의심을 놓아 버려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치료하세요.」

의식은 눈물에게 말했다
「내가 울기를 너는 무척이나 바라지
하지만 내가 너의 굴레를 벗겨 준다면
자유를 얻는 대가로 너는 죽게 될 거야.」

곰곰이 생각한 눈물이
의식에게 대답했다
「울음이 당신에게 승리를 가져다준다면
죽음은 그다지 큰 재앙이 아니에요.」

이언 E. 마누엘, 유니언 교도소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440

〈초포식자〉의 등장을 예견했던 전망들은 지극히 잘못된 것으로 드러났다. 1994년부터 2000년 사이에 미국의 소년원 재소자는 증가했지만 청소년 범죄율은 오히려 감소했다. 결국 처음에 〈초포식자〉 이론을 지지했던 학계는 해당 이론을 부정하기에 이르렀다. 2001년 미 연방 정부의 의무감은 〈초포식자〉 이론을 근거 없는 믿음이라고 규정짓는 보고서를 배포하고 〈청소년 범죄가 한창 절정으로 치달았던 1990년 초에 폭력에 가담한 젊은이들이 이전 세대보다 더 자주 또는 더 사악한 범죄를 저질렀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고 진술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4222590 - P4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에게씌워진 가장 나쁜 저주는 여자가 이런 빛나는 전투의 대열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이다. 인간이 동물 위에 서는 것은 생명을 낳음으로써가 아니라 생명을 위험에 드러냄으로써이다. 인간 속에서의 우위성이, 낳는성(性)에게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성에게 부여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 P102

인간은 자기를 생각할 때 반드시 ‘타자(他者)’를 생각한다는 것은 이미 말한 바 있다.
인간은 이원성(二元性)의 표시하에서 세계를 파악한다.
이원성은 처음에는 성적 특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를 같은동일자(同一者)로 생각하는 남자와 다르기 때문에 여자는 자연히 ‘타자’의 범주 속에 분류된다.
‘타자‘는 여자를 포함한다.
처음에 여자는 ‘타자‘를 혼자서 대표할 만큼 중요한 존재가 아니었기 때문에 타자 속에서 또 하나의 세분(細分)이 이루어진다. -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