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또래의 과묵한 바텐더 아슈인이 영국식 해장술이니 미리 해장하는 셈치고 마시고 가라며 마지막에 꼭 ‘블러디 메리’를 만들어주곤 했기 때문이다. 보드카 베이스에 토마토 주스와 타바스코 소스, 우스터 소스, 소금, 후추를 넣는 칵테일, 블러디 메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192
토마토 수프와 클램차우더에 보드카를 섞어놓은 맛인데 심지어 술 위에 가니시로 셀러리 줄기까지 꽂아주다니. 이게 술이면, 색으로 보나 성분으로 보나 블러디 그 자체인 선짓국 국물에 소주를 넣고 배추를 꽂은 후 ‘블러디 영희’라고 이름 붙이면 그것도 술이게?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193
나중에 더 자주 마신 술은 ‘블러디 마리아’였다. 블러디 메리에서 술 베이스만 보드카에서 테킬라로 바꾼 칵테일. 테킬라를 원체 좋아하기도 하지만, 보드카 대신 멕시코 술인 테킬라가 들어가면서, ‘메리’의 스페인식 발음 ‘마리아’로 이름을 바꿔 붙인 점이 특히 마음에 들었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194
첫 밖혼술의 문을 족발집에서 부케와 함께 화려하게 열고 나니 그 이후의 밖혼술들은 한결 문턱이 낮아졌다(그 부케는 밖혼술과의 미래를 축복하는 부케라고 믿고 있다). 어쩌다 퇴근길에 혼자 순댓국집에 들르면 순댓국에 소주 한 병을 마시는 데 스스럼이 없어졌고, 집 근처에 분식과 술을 같이 파는 흔치 않은 가게가 있다는 걸 알게 된 이후에는 가끔씩 들러 김밥에 반주를 곁들이곤 했다(김밥, 특히 꼬마김밥은 만두와 함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술안주이기도 하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01
그렇다. 여자들이 조금의, 아주 조금의 거리낌도 없이, 법적으로 허용된 공간이라면 그 어디에서든지 밖혼술을 마실 수 있는 세상이 당연히 좋은 세상이다. 밖혼술의 기준에서 세상은 그리 좋아진 것 같지 않다. 오히려 나빠졌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10
올해의 첫 술자리를 함께한 술친구 JYP—YG 콤비(유명 소속사와는 무관하다)가 『우아하고 호쾌한 여자 축구』는 축구광 닉 혼비의 이름을 따서 ‘김혼비’라는 필명으로 냈으니, 『아무튼, 술』은 그에 맞는 필명을 따로 정해야 한다며 ‘김혼술’을 강력 추천했는데, 혼술 성적표가 저 모양이라 망했다. 하지만 역시 술은 혼자보다 같이 마실 때가 더 좋은 것 같다. 어쩌면 내 마음에는 절이 아니라 주막이 지어져 있을지도.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11
상대에게 술이 작은 독려가 된다면 얼마든지 술을 무한대로 사주고도 싶다. 물론 술 없이도 그 말을 할 수 있다면 그것대로 좋겠지만, 세상에는 맨 정신으로는 하기 힘든 말들이라는 게 분명 있는 법이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24
그러니까 누군가에게 술은 제2의 따옴표다. 평소에 따옴표 안에 차마 넣지 못한 말들을 넣을 수 있는 따옴표. 누군가에게는 술로만 열리는 마음과 말들이 따로 있다.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뾰족한 연필심은 뚝 부러져 나가거나 깨어지지만, 뭉툭한 연필심은 끄떡없듯이, 같이 뭉툭해졌을 때에서야 허심탄회하게 나눌 수 있는 말들이 있다. 쉽게 꺼낼 수 없는 말들. 밖으로 꺼내지 않으면 영원히 속에서 맴돌며 나도 상대도 까맣게 태워버릴지 모를 말들. 꺼내놓고 보면 별것 아닌데 혼자 가슴에 품어서 괜한 몸집을 불리는 말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27
비슷한 기질을 갖고 있고 비슷한 상태가 될 수 있는 나의 오랜 술친구들과 미래의 술친구들과 오래오래 술 마시면서 살고 싶다.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7780990 - P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