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81 | 4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올해의 미숙 창비만화도서관 2
정원 지음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에게는 몹시 응원하고 싶지만 잘 읽으려 들지 않는 작품들이 있다. 언제나 마음을 다치기 때문이다. 웹툰을 좋아하는 친구가 [피너툰]에 연재되고 있는 이 만화의 1화를 보여줬을 때도 그러했다. "여성 주인공의 성장문학" 예외없이 폭력이 수반될 것이고, 예외없이 상처투성이가 될 것이며, 예외없이 밤에 읽게 될 것이고, 예외없이 펑펑 혹은 줄줄 눈물을 쏟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정연의 [혼자를 기르는 법]은 그래도 즐길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고 담담하게 읽을 수 있었고, 마스다 미리의 [오늘의 인생] 또한 두려움보다는 힘들이지 않고 읽었다. 그 자신감 때문에 이 책도 집어 들었는데...그것도 밤에...무서울 정도로 의지할 곳 없이 외롭고 쓸쓸하게 성장하는 주인공 모습에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렇지 않은 성장이 어디 하나라도 있냐고 반문한다면 그것도 할 말이 없긴 하지만, 홀로서기란, 그것도 단단하고 어엿한 모습을 갖추는 성장이란 문학으로도 너무나 힘겨운 일이다. 제발 조금만 덜 힘들게 살 순 없을까... 정말 방법이 없을까...

 

 

 

무능력할뿐 아니라 거기에 더해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시인' 아버지... 이 무슨 언어모순일까...싶다. 심지어 아들이 아니라고 딸을 미워하고, 부부싸움 중에 던져서 미숙의 뺨에 상처를 낸 책 제목은 [무소유]...


가정을 오롯이 혼자 도맡으며 늘 피로한 어머니...


불안하고 두려울 때마다 습관적으로 허벅지를 꼬집는 사춘기에 접어든, 그리고 죽을 병에 걸린 언니...


'미숙아'라고 부르며 놀리는 친구들...

 

시대를 막론하여 '인간'의 모습이란 이토록 이중, 삼중의 면모를 담아야 하는 것일까...

성장이란 이토록 복잡한 감정들이 짙게 어우러져야 하는 것일까...

그림이 있는 이야기책은 참 좋다. 그런 점에서 [올해의 미숙]은 나에게 아주 특별하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까지의 한국의 풍경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고, 아주 섬세하게 재현한 그림들이 나의 기억들도 수시로 불러 내었다. 한때 자주 들락거렸던(아마 회원가입도 했던 듯) '영화마을'이라는 비디오점, 그리고 고개만 돌리면 보이는 내 책장에 꽂힌 권여선 작의 등단작 [푸르른 틈새](이 책도 너무 마음이 아파서 처음 읽고 몇 년간 손도 안대었다.), 그러니 이 작은 여자아리의 아픔과 상처와 어설픔과 당당함은 수시로 나의 것들과 겹쳐 보였다.

 

그동안의 일들이 "먼 과거"가 아니라 "먼 미래"처럼 느껴진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책 제목인 "올해의 미숙"은 무슨 뜻일까...

작가는 왜 시간을 뒤집어 놓았을까...

 

여전히 궁금하다.

 


“사람에 대한 이해와 오해가 다툴 때 비등하게 마음을 맞추며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일까.
단단하고 어엿한 ‘나’로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일까.
수수하고 담담하게 묘사된 장면을 눈으로 좇다 보면 어느새 대사보다 더 많은 여백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그 빈칸을 누군가의 이름으로 채우고 싶어진다.
그것이 가족이든, 지금은 소원해진 친구든.”

 ― 신미나(시인)

 


나는 이 책을 미숙아, 계란말이 뺏기지 말고 너 먹어, 누가 빼앗아 먹으면 죽여……
이런 심정으로 읽으면서도 내 것이기도 하고 내게 익숙한 타인의 것이기도 한 미숙함들 때문에 서글프고 부끄러웠다.
『올해의 미숙』에는 장미숙의 미숙함 말고 미숙한 어른들과 아이들이 등장한다.
세상에 이런 사람들이, 이런 일들이 다 있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 말고도,
이 책을 통해 그걸 다시 겪으며 속상해 울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나도 안다.
정원 작가는 장미숙이 본가에서 데리고 나온 개 '절미'의 소식을 전하며 이 이야기를 마무리했고,
독자인 나는 그 마무리가 반갑고 기뻤다.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도 그럴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_황정은(소설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요 - 조선왕조실록 기묘집 & 야사록
몽돌바당 지음 / 지식과감성#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일 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거나,혹은 읽지 못하는 이들의 통계치가 오르고 있는 형편이라지만, 나의 새해 결심엔 아주 오랜동안 "올 해 책 몇 권 읽기"란 초딩적 목록이 항상 있다.


그 중에서도 스케일이 가장 큰 것으로는 한 해 동안에는 무리겠지만, 죽기 전에 반드시 [조선왕조실록]을 읽어 보겠다는 것이다.(조선왕조실록이 실제 조선왕조실록이 아니라거나 일제 시대 각색편집된 부분은 제외해야한다거나 이런 논의는 일단 차치하고...) 현실은 아직까지...태조실록을 들여다보고만 있다... 인류역사상 최고의 단일 왕조 역사서이고, 그 분량이 무려 1,893권 888책!ㅎㅎㅎ 완독을 못하고 세상을 뜬다 하더라도 많이 부끄러울 듯 하지는 않다.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그러한 결심은 아주 오래 지인들에게 부끄럼없이 반복해서 들려 준 덕분에 가끔 이런 추천? 혹은 참고용 책들을 권하기도 하는데, 일단 제목이 참으로 재미지고 자알~ 정말 자알 읽힐 듯하여 읽어 보았다. 왕조실록이라 왕과 관련된 이야기들, 기묘하고 야사라 할지라도 나름 점잖고 격식을 갖췄으리라 생각했는데, 작가는 그 모든 예견을 뒤집었다. [인요(人妖) -조선왕조실록 기묘집&야사록]은 조선시대에 인요라 불리던 사람(인요 : 떳떳한 도리(道理)에 벗어난 요사(妖邪)스럽고 괴상(怪常)한 짓을 하는 사람, 여자(女子)가 남자(男子)로 변복(變服)하고、 남자(男子)가 여자(女子)로 행세(行世)하는 따위)을 주인공으로 시작한다. 묘사는 매우 사실적이며 거칠고 불량?하다. 요즘 분류된 성정체성으로는 '트랜스젠더'가 가장 가까울 것이다. 그런데, 조선의 왕이 트랜스젠더인 인물에게 관직을 제수했다?


 


그렇다면, 소위 '젠더감수성'은 조선시대가 훨씬 더 리버럴했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사실 놀라운 점은 그의 관직이 다른 것도 아닌 '병조참의'라는 것이다. 병조는 병권, 즉 군사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곳이다. 대한민국에서 트랜스젠더 군사관련 고위직 임명 채용!이란 가히 기사화될만한 이변?이 아닐까. 성적소수자처우 관련 여러 생각에 머리가 잠시 다소 복잡해졌다.


소재는 그러하나, 솔직하게 도입, 전개 부분이 개인적 취향에 부합하는 작품은 아니었다. 작가의 의도가 너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는 느낌이 강했으나, 모든 책에서 문학적 의의와 탄탄한 역사적 상식 또는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강박을 놓을 수 있다면 속도감있게 즐기고 쉬어가기 좋은 책이었다.


그 이후의 15편의 짧은 소설은 조선왕조실록의 역사적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상당히 재미있는 단편을 독파하는 기분인데, 실화 바탕이라는 점이 신기할 정도로 새로웠다. 심지어 외계인과 UFO 기록, 왕족연쇄살인마, 인육살인 등등...


2. 조선왕조실록 기묘집
1장 … 수리봉의 하얀물괴
2장 … 괴이한 물고기 [해우 : 海牛]
3장 … 피로 물든 바다 [거북마을의 전설]
4장 … 미지와의 조우 Vol. 1
5장 … 미지와의 조우 Vol. 2


3. 조선왕조실록 야사록
1장 … 해귀(海鬼)
2장 … 인육(人肉)
3장 … 살인귀(殺人鬼)
4장 … 교수형(絞首刑)
5장 … 바투(拔都)
6장 … 인면수심(人面獸心)
7장 … 신군(神軍)
8장 … 마술사(魔術師)
9장 … 서착(鼠捉)
10장 … 세계지도(世界地圖)


그 외에도 궁궐, 마을, 문화, 계급, 그리고 특히 '동월관'에 대한 묘사와 설명이 무척 자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쿵쿵이와 나
프란체스카 산나 지음, 김지은 옮김 / 미디어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8년 9월에 Me and My fear란 원제로 출간되었습니다.
난민의 이야기와 심정을 섬세하고 아름답고 서글프게 전해 준 [긴 여행, 2017]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입니다.
이 작가의 작품이 처음이라면, [긴 여행]과 [쿵쿵이와 나]를 순서대로 읽어 보는 것도 참 좋을 듯합니다.

Fear가 '쿵쿵이'로 번역된 것은 적절한 것 같습니다.
두려움을 느낄 때 마음이 '쿵쿵' 거린다는 점은 상당한 일반성을 지닌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사물과 사람과 세상에 대해 어린 아이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부정적인 것만은 절대 아니지요.
두려움이 없다면 생존해서 성장하는 인구수가 심각하게 줄어들 것이라 봅니다.
문제는 그런 보호자 같은 두려움이 유일한 친구가 되어 버리는 상황이지요.

어찌 보면 상당히 무거운 주제일수도 있는데 작가는 이 주제를 따뜻하고 부드러운 그림과 시선으로 풀어 줍니다.
어찌나 그림이 사랑스러운지 잠시 두려움의 무게가 잊힙니다.
이렇게 많은 이들이 두려움과 '화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궁극적으로 비폭력적인 이야기라고 느낀 점은
쿵쿵이를 물리치거나 없애버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흔한 말로 "이겨 내라", "극복해라"하고 강요하지 않습니다.
힘을 내어 '화해'하고 그 감정을 안고 업고 동행하는 길을 보여줍니다.

물론 그 감정은 사라지는 법이 없으니 가끔은 다시 나를 삼킬 듯이 커지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그 감정이 내 것이고, 그런 감정을 가진 것이 나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안다면,
적어도 우리는 더 이상 외롭지 않습니다.

그리고 나의 약한 모습을 드러내도 내가 약해지지 않는다는 점,
오히려 비로소 강해질 수 있다는 점이,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위안과 안심을 전해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어른이 되면, 어른이면, 자기 일과 삶을 책임지고 필요한 능력을 제대로 갖췄을 거라 상상했지만,
그게 그렇게 쉽지 않다는 점, 약점이 공격무기로 돌아오기도 하는 험한 경쟁사회를 겪은 쓰라린 경험도 해보았겠지만,

그래도 그게 '현실'과는 별개로 옳지 않다는 것을 믿는 한
작가처럼 이기는 것에서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공존에서 답을 찾고 싶습니다.

아이들이 그리고 어른들이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읽었으면 하고 바라는 좋은 이야기입니다.

앞면 속지에 눈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뒷면 속지에 그 눈들이 포함된 그림들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딱! 알아보신 분들도 있을까요?^^

꼬맹이에게 부탁해보니 함께 살아갈 수 있을 듯 한 귀여운 쿵쿵이들이 많이 태어났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외롭지 않게 안심하고 잘 살 수 있는 한 해 보내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81 | 4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