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에서 10까지 사랑의 편지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
수지 모건스턴 지음, 이정임 옮김 / 비룡소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어네스트는 아빠와 엄마가 없고 할머니랑 사는 아이다. 그의 일생은 항상 규칙적이며 똑같은 양복을 입고 학교에 갔다가 집에 온다. 집에는 텔레비전과 전화가 없고 외식도 하지 않는다. 웃는 일도 없고 놀라운 일도 없이 살아 왔다. 그러던 어느 날, 그의 학교에 빅투와르란 여자 아이가 전학 왔다. 그가 어네스트랑 친구가 된 이후로 어네스트는 빅투와르네 집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난다. 사람이 다른 방식으로 살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경험한 것이다. 그래서 할머니와 전에 없는 대화도 많이 하고 생기 있게 살아가는 방법도 알게 된다. 빅투아르는 잘생긴 어네스트와 놀다가 여자 아이들한테서 질투를 받지만 아랑곳 하지 않는다. 어느 날, 그들은 매점에 갔다가 어네스트랑 닮았고 성이 같은 남자를 책에서 본다. 어네스트는 혹시 자기 아버지일 수도 있는 그 작가에게 편지를 쓴다. 답장을 받은 뒤 사실은 그 작가가 아빠인걸 알게 되고 미국으로 놀러오라고 비행기 표도 받는다.







  어네스트는 가족끼리 사랑하는 게 뭔지 잘 모르고 자란 아이다. 할머니가 키우긴 했지만 기뻐하고 슬퍼하며 분노하고 용서하는 것 같은 인간관계를 도무지 겪어보지 못했다. 빅투아르가 그의 삶의 방식을 바꿔놓고 사랑하는 게 무엇인지 보여줬다. 빅투아르네 집은 가족이 사랑하는 게  뭔지 느껴지는 집이다. 그리고 그 가족의 사랑은 대단한 것 같다. 어려운 일을 할 때도 가족의 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사람을 더 평온하고 착하게도 만들어주는 것 같다. 만약 내가 어네스트였다면 아버지가 비록 나를 버렸다고 해도 아버지랑 같이 살고 싶었을 것이다. 의문점은 빅투와르의 가족은 어떻게 질서를 지키고 사는가이다. 가족이 열여섯 명이라는 것은 매우 혼잡할 텐데 질서를 유지한다는 점이 참 대단한 것 같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인구가 줄어들고 핵가족화가 되어가고 있는데 빅투와르네 가족처럼 산다고 하면 장말 재밌고 새로울 것 같다. 특히, 형제끼리 축구팀도 만들 수 있고 노는 것도 인원이 많으니까 재밌을 것 같다. 가족이란 같은 피가 흐른다고 할 수 있지만 진정한 가족이란 어려울 때 서로 돕고 의지하며 협동하면서 생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과묵한 어네스트가 마음에 든다. 자신과 전혀 다르게 살아온 빅투와르를 이해하게 되고 모든 걸 바꿀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아이라고 느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 미네르바의 올빼미 4
잉에 아이허 숄 지음, 유미영 옮김, 정종훈 그림 / 푸른나무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스라는 사람이 있었다.

한스는 히틀러 유겐트라는 곳에 가입을 하게 된다.

사람들은 히틀러를 믿지 말라며 소리를 질렀다.

SA특공대는 유태인가게에 가지 말라고 하고

정신지체 아이들을 차에 싣고 가서 죽였다고 한다.




히틀러는 정말 괴물이다 . 유태인들을 마구 죽이고 학생들을 유인해서

자신의 조국을 지키자고 한다. 전쟁은 하고 나면 나중엔 없는데

땅을 더 차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살해하고 잡아가는 것은

정말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




나중에 감옥에 갇혀도 그는 벽에 자유라고 써져있는 것을 보니

진짜로 자유를 가지고 싶었나 보다.

우리는 지금 살고 있는 것이 정말 기쁘지 아니한가 .

그러나 전쟁이 언제 일어날지 모른다.

전쟁은 모든 약한 자에게 일어나는 비극이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포리스트 카터 지음, 조경숙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예전 백인들이 인디언들에게 얼마나 못되게 굴었는지 잘 알게 해주는 책이다. 주인공인 ‘작은 나무’는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살았는데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살고 있었다. 새들의 지저귐이 말로 들렸고 땅을 매일 맨발로 걷고 다녔다.

할아버지는 키가 매우 큰 인디언인데 자상하지만 때로는 매우 무서웠다.

특히 백인하고 얘기를 하실 때 표정이 좋다가도 순식간에 험악하게 변했다.




‘작은 나무’는 산을 날마다 올라가면서 밤에는 ‘늑대별’을 할아버지와 봤고

집에 가면 할머니와 개들이 반겨 주었다. 나도 개들을 좋아 하지만 키우기가

너무 힘들어서 ‘작은 나무’처럼은 안될 것 같다.

백인들은 그 당시 인디언을 악의 씨라고 불렀다. 똑같은 사람인데도 말이다.

그리고 인디언의 살던 곳을 마음대로 짓밟고 빼앗았다. 인디언이 땅을 안 팔면

총을 겨누었다. 이게 어떻게 사람이 할 짓일까?

‘작은 나무’는 소년원에 끌려가 백인들의 잔인함을 경험한 뒤 다시 집으로 돌아와

할아버지,할머니의 죽음을 지켜본다. 그 뒤 개 2마리와 여행을 하다

‘리틀 보이’라는 개는 빙판을 지나가다 빙판이 깨져 빠져 죽고

‘블루 보이’라는 개는 계속 여행을 하다 지쳐 ‘작은 나무’의

무릎에서 편안히 죽는다. ‘블루 보이’는 내가 봐도 훌륭한 개이다.

충성심이 매우 강한 것 같다.




인디언은 훌륭한 존재이다. 필요한 수치 이상은 대지에서

가져오지 말라는 말도 있다. 이 말은 지금 우리가 써야 할 실천

사항인 것 같다.

우리는 필요한 게 충분해도 그 이상을 너무 바란다.

그러면 자연의 순환이 깨지고 언젠가는 우리 인간들도 죽는다.

제발 잃은 뒤에 깨닫지 말고 처음부터 위험 순위를

넘지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자기의 욕심만 채우느라

다른 사람을 학대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밀과 탐정들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26
에리히 캐스트너 글, 발터 트리어 그림, 장영은 옮김 / 시공주니어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기차에서 돈을 도둑맞은 에밀이 베를린에 사는 아이들과 도둑을 미행해 겪는 일을 쓴 것이다. 가슴을 졸이기도 하고, 그 다음 사건은 어떻게 될까 하는 궁금증도 생기기도 했다. 또한 문제를 해결했을 때는 감탄사가 나왔다. 진짜 탐정이야기를 쓴 것 같았다.




에밀은 눈썰미가 좋은 것 같다. 기차 안에서 중산모를 쓴 남자를 보고 나중에 잠에서 깼을 때 돈과 함께 그 남자가 사라졌다는 것을 금방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돈이 없어졌을 때 에밀의 마음은 하늘이 무너져 내린 것 같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그 때 내가 에밀이었다면 그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좌절만 하고 있을 것 같은데 책 속의 에밀은 꿋꿋하게 자신의 처지를 이겨내고 도둑으로 의심 가는 사람을 찾아 계속 몰래 미행했다. 베를린의 아이들 중 구스타프는 정말 희한한 아이이다. 자동차 경적도 가지고 다니고 말투도 좀 웃기기 때문이다.




제일 궁금증을 유발했던 장면은 아이들이 택시를 타고 그 남자를 뒤쫓아 호텔에 도착한 후의 일이었다. 에밀의 생각과 구스타프의 재치, 그리고 나머지 아이들의 협동심이 합쳐져서 도둑을 포위하고 은행에서 도둑의 윤곽이 점점 드러나게 된다. 마침내 도둑은 자신의 범행을 실토하고 은행의 지명 수배자였던 것으로 경찰에게 잡혔다. 에밀은 잃어 버렸던 140마르크도 되찾고 외할머니와 사촌 포니 휘트헨도 만나고 정말 기뻤겠다. 게다가 도둑을 잡은 보상금으로 1000마르크까지 받았으니 그야말로 천국이 따로 없었을 것 같다.




어쨌든 에밀과 베를린의 친구들은 잊지 못할 추억의 탐정 경험이 되었을 것이고, 영원한 좋은 친구가 될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험한 하늘 사계절 1318 문고 26
수잔느 피셔 스테이플스 지음, 이수련 옮김 / 사계절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백인소년 '버크'와 흑인 소녀 '튠'은 어릴적부터 함께 해온 소꿉친구 이다.

함께 고기도 잡고 수영도 하면서 즐거운 나날을 보내며 자라온 버크와 튠은

점점 성장 할수록 어른들의 시선을 받게돼고,

마치 로미오와 줄리엣 처럼 둘사이는 친하게도 못지내고 만나지도 못하게 하려 한다.

그런데 4월의 어느날 아주 끔찍한 살인 사건이 일어나게 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버크와 튠의 세계는 180도 바뀌게 됀다.

똑똑하고 말을 잘하는 튠이 살인 사건의 범인으로 몰리게 돼고 버크는 튠이 범인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 내려 애쓴다.

버크 또한 용의자로 지목돼기도 하고, 업치락 뒤치락 하며 이야기가 전개됀다.

그러나 버크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판사님은 튠을 지켜내는데 실패하고 말았다..




이 책은 마치 추리 소설을 방불케 하는 것 같다.

또한 인종 차별에 대해 간접적으로 다가 서기도 하고

친구간의 우정을 말하기도 한다.

보통 소년,소녀들은   이 이야기의 버크처럼 자신을

감싸줄 수 있는 친구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을 보면 절실히 느낄 것이다.

친구는 필요한 것 이라는 것을.

그러나 과연 이 책의 주인공들처럼 친구가 살인자라고 생각한다면

과연 친구를 도와줄 수 있을까?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도 그 친구에 의해 자신도 죽임을 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도망가거나 외면 할 것이다.




이 책을 보며 친구를 만들어 두어야 겠다. 라는 생각이 들면 다행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 남이 다가 오기 전에

내가 먼저 다가서야 된다는 것을 알게 돠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지독한 인종차별...

오바마는 정말 성공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