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 지성자연사박물관 6
권오길.이준상 지음, / 지성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달팽이라면 아주 징그럽고, 어디서든지 쉽게 찾을 수 있는

미끄럽고 기분 나쁜 생물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달팽이는 복족류라서 징그럽고,

체액을 내뿜기 위해 아주 미끄러우며

비가 오면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

또, 쉽게 볼 수 없는 달팽이들도 있다.




갯벌에서 사는 조개와 우렁이 그리고 여러 종류의 고둥을 달팽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달팽이는 우리에게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

이렇게 잊혀지고 있는 달팽이에 관해 알아보자.




달팽이는 연체동물이며 복족류 이다.

그러한 달팽이들은 위협받고 있기도 하다.

다른 어느 동물보다도. 달팽이는 매우 느리고 태어난 곳을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천적이나

자연재해 등에 많이 노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몇몇 보호종도 서로 한 곳에 모여져 있다.

거문도좀혹달팽이, 수정밤달팽이, 참달팽이 등이 그렇다.

이들은 세계 어느 곳에도 없는 고유종이다.

따라서 섬에서 이들이 사라지면 세계 어디서도 다시는 살아있는 그들을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은 후에, 달팽이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 해 보았다.

달팽이... 그들의 삶은 순탄치 않은 것 같다.

달팽이들은 비가 온 다음날, 아파트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안 그래도 살기 힘든 달팽이를 가져다가 밟거나 껍질을 깨어버린다.

그 달팽이들이 불쌍해서 말리려고 노력하지만, 말을 듣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여러 할인 매장이나 문방구에서도 큰 달팽이들이 팔리고 있다.

부모가 아이들이 관찰하라고 한 두 개씩 사주지만 그런 달팽이들은 곧 죽고 만다.

이런 달팽이들은 사람들의 손에 길러지는 것 보다

아름다운 자연의 손에서 사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이런 달팽이를 자꾸 죽이고 재미로만 생각한다면,

그 흔했던 달팽이도 흔적조차 없이 사라질 것이다. 그런

날이 멀지 않은 미래일 수도 있다. 자연을 사랑한다면,

작은 생물부터 살리는 실천을 하자.그건 그냥 그 자리에 놔두는 것이 최고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차마마 - 지구 구출 작전에 나선 어린이들
전세계어린이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바다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파차마마는 ‘우리 엄마 지구’ 라는 뜻이다.


이 책은 지구 환경에 대하여 쓰여 있다.

지구의 온난화 , 물 오염, 열대우림 파괴에 대하여


나와 있다.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온갖 독을 품고 있는 땅'이었다.

공장 같은 곳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이 땅으로 흘러 들어가 동물이나

식물이 먹고 그것이 사람에게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우리가 쓰는 샴푸


같은 합성세제를 생각해보니 더 그렇다.

샴푸를 써서 물이 오염되고 그 물을 우리가 마시는 것이다.

우리는 자연적으로 살아야 한다. 그래야 지구도 건강하게 오래 보존될 수 있고

후손에게도 더 나은 환경적 삶을 물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느낀 것이 많다 .

어른으로서 찔리는 점도 많았다.

이 책 뒤에는 '지구는 망가지면 다


시 살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에요' 라는 표어가 있다.

정말 무섭다. 갑자기 지구가 멸망하고 우리 아이들이 


살 곳을 잃는다면 말이다. 이 책을 읽고 , 잘 생각해보고 나면 행동이

달라질 것 같다.


우리가 지구를 파괴한다면 우리를 낳아준 부모님을 해치는 셈이 될 것이다.

이런 환경문제는 모든 국가가 한 나라처럼 되어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우리만의 것이 아닌 지구를 소중히 여겨야겠는데 너무 늦은 것은 아닌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겨울 방학 - 소년한길 소년소설 3
이소완 지음, 양상용 그림 / 한길사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날 선생님의 목소리가 교실을 집어삼킬 듯 울렸다




태수의 시계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태수는 아빠에게 받은 시계가 없어져서

찾으려 했는데




일이 커져서 선생님이 친구들이 6시까지 남아서 소지품을 검사했다.

하지만 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태수는 이렇게 일이 크게 될 줄은 몰랐다. 학교가 끝나고 석호가 태수를 불렀다.




석호는 태수의 짝인 경태가 훔쳤다고 얘기한다. 태수는 믿지 않았지만

그래도 의심을 하게 됐다.




석호는 경태가 꽃밭에 시계를 묻었다고 진술했다.

태수는 꽃밭이 파인 흔적을 찾아봤다.




하지만 아무것도 없었다.




얼마 후 선생님은 '내가 만약에' 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라고 하였다.




태수와 경태는 같은 조가 되었다. 그래서 태수는 경태 집에 갔다.

하지만 얘기를 하다보니




시간이 늦었다. 그 후 둘은 조금씩 친해지기 시작했다. 얼마 후 태수는

경태 집을 다시 찾아갔다.




둘은 조금 놀다가 경태는 누나의 심부름을 받고 나갔다.

혼자 남은 태수는 얼른 상자를 열어보았다.




뒤져보니 태수의 잃어버린 시계가 흙이 묻은 채 들어있었다.




석호의 말이 맞았던 것이다. 상자를 넣기도 전 경태 가 돌아왔다.

태수는 화를 억누르지 못하고 시계를 바닥에 던지고 나갔다. 조금

뒤 경태가 찾아와 사과를 했다. 경태는 그런 것을 뜯어보는 것이

취미였다고 얘기한다.




뒷날 경태는 학교를 오지 않았다. 경태가 시계를 훔쳐갔다는 것은

벌써 소문이 퍼져나갔다




하지만 태수는 경태를 두둔하고 나섰다. 그 후 둘은 누구보다도 친한 친구가 되었다.




남을 의심하면 좋을 것이 없다.  의심하면 서로 사이도 나빠지고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조금씩 도벽을 가진 것은   다 이해할 수 있다.그것이

아이들 성장에  도움이 되면 좋다 .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 국민의 세금을 훔치는 자들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작은 친구
마리아 그리페 지음, 이영춘 옮김 / 성바오로출판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세핀은 학교에 처음 들어온 아이다.

요세핀은 처음부터 이름 때문에 선생님과 아이들의 눈에 띄었다.

그러나 우고가 학교에 온 뒤부터 선생님의 눈길은 우고에게로 갔다.

잠시 우고에 대한 얘기를 하겠다. 첫날부터 학교에 오지 않았던 아이

그 이름은 바로 우고였다.

우고는 자신이 넘치는 아이였다. 우고는 늦었는데도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자신이 늦은 이유를 말한다 .

우고는 아이들을 처음 만났기 때문에 인사를 나누어서

시간이 많이 걸렸다. 우고는  오세핀의 짝꿍이 되었다.

오세핀은 우고를 많이 보았다. 우고는 언제나 나무로

피리 같은 것을 만들고 있었다. 우고는 언제나 학교생활이 재미있다고

느끼고 활발하게 학교에 다녔다.

며칠 뒤 우고는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우고의 아빠가 감옥에 갖힌 것이다.

요세핀네 반은 우고 가 학교에 오자 않을 때부터 우고를 점점 잊고 말았다.




우고는 한편으로는 슬펐지만 요세핀이 괴롭힘을 받고 있을 때

우고가 와서 구해주었다. 우고는 그때부터 다시 활발하게 학교에 다녔다.

이 책의 주인공은 요세핀인데 아이들이 주인공보다 우고를 많이 닮으면 좋겠다 .

그것은 바로 자신감 때문이다. 자신감이 넘치는 아이들이 실수도 하지만

그래도 세상을 당당하게 살 수 있어서 좋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난 수염 쑥쑥문고 11
마해송 지음 / 우리교육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때 영감은 부자이면서 왜 욕심과 심술이 많은 걸까?

또 왜 닭에게 알을 하루에 하나씩 낳으라고 하고

돼지 보고는 새끼를 하루에 한 마리씩 나으라고 하고

소 보고는 송아지를 하루에 한 마리씩 낳으라고 하는지 어이가 없다.

그리고 자기 말대로 따르지 않으면 동물들을 때리고

자기의 부인 아이 머슴까지 때리는 마을 사람들이 좋아 할리 가 없다.

이게 다가 아니다 마을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

또 있는데 바로 무시무시한 얼굴과 고함이다.

이 모습은 동물까지도 싫어한다. 맨날 고함을 지르고 때리니깐 당연하다

나는 감때 영감처럼 아무런 이유 없이 화낸 적은 없는지 반성한다 .



이유가 있어서 화내더라도 보는 사람은 괴롭다 .

짧은 동화이지만 반성하게 되는 울림이 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