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트 신선식품 - 소비자기에 용서할 수 없는
가와기시 히로카즈 지음, 서수지 옮김, 최대원 감수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현대의 똑똑한 주부들은 시장에서는 관리가 되지않아 어떤 식재료를 구입하게되는지 알 수 없어 위험하다고, 내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유기농인증, 제조일자와 유통기한 확인, 기업의 상품에 대한 마인드 등에 관심을 기울이며 뭐든 표시가 확실한 마트에서 장을 본다. 살림이라면 전문인 그들이 그렇다고 하니까 나 역시 마트를 맹신하며 제조일자와 원산지, 첨가물을 제대로 알고 먹을 수 있어서 "시장보다 마트!"라며 안심하고 이용했었는데 그 또한 관심이 부족했던 것임을 알게한 <소비자기에 용서할 수 없는 마트 신선식품>!
그동안 식품에 대해서 원산지와 제조공정에 관심을 기울이긴 했었지만 판매되어지는 장소에 대해서까지는 심한 감시가 이뤄지진 않았던 것 같다.
최근들어 <O죽>사건도 그렇고 선진국대열에 올랐다고는 하지만 식품업계는 아직도 후진국의 수준을 면치 못하는 듯 싶다.
몇몇 지점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도 어이없는게 체인점이라면 본사에서 관리가 들어가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각 지점의 매출에 대한 커미션을 받으면서 관리에는 소홀하다는게 여실히 드러나는 순간이다.
본사의 마인드가 지점들에 녹아있는 것이다.
건강한 음식은 집에서나 먹는거다.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수익을 창출하자!!는 마인드가 느껴진다.
개인적으로도 내노라하는 국내 대기업의 <O마트>에서 윗면이 깔끔한 자몽을 1박스 샀는는데 1/3이 썪었고 그나마 있던 자몽들은 몇일 내로 먹어야하는 상황이었다. 바빠서 미처 확인하지 못했고 워낙 이름있는 마트니까 믿고 따로 점검을 안했는데 이건 허술한게 아니라 사기라는 생각이 더 들더라.
소비자를 속이기위한 전략이 녹아있다면 출처에 대한 표시보다 결국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판단력이 결국 더 중요한 것이다.
원산지가 불분명하다고 불안해 한 재래시장이 오히려 올바른 소비의 통찰력을 키워주는게 아닌가 말이다.
컴플레인 들어오면 미처 확인 못 했다며 바꿔주면 그만일테고 나처럼 시간에 쫓기다가 결국 알아서 버리고 있는 것만 먹는 사람도 많으니 못 먹을 것도 마치 최상품인양 잘 담아서 내 놓은 것 일까?
그럼 일일이 확인 안하는 부주의한 소비자의 잘못이란 말인가?
단지 믿었을 뿐인데 마트 입장에선 고객의 부주의라고하면 할 말이 없다.
2주가 지났지만 다시 생각해도 억울하다. 대체 신선도가 최우선이 되어야 할 '관리가 잘 되는'마트에서 일일이 의심해야 그나마 중간은 가는 소비를 할 수 있다니 믿고 먹을 수 있는 상품을 파는 곳을 잃어버린 느낌이다.
할인상품만 팔아서는 이익을 남길 수 없다는건 알지만 그렇다고 못 먹을 재료를 팔아선 안된다.
겉모습만 그럴 듯 꾸미고서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원료를 둔갑시키는건 사기다.
원체 식품윤리에 관심이 많아 꾸준히 관련서적을 접했기에 10년 전보다는 많이 환기되었다는건 알겠다.
하지만 그건 출판되는 양이나 시청률과 비례하지는 않는모양이다.
대체 식품윤리는 언제가 되어야 우리 사회에 제대로 발붙일 수 있는 것인지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