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렌 켈러 -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도로시 허먼 지음, 이수영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도서관이 가깝지 않아 집에 있는 위인전기와 전래동화로 어린 시절을 났지만 어린 마음에도 애국심이었는지 단지 친숙한 문화이기 때문이었는지 한국인 위인전기는 흥미를 보였어도 외국편 위인전기엔 그리 손을 대지 않았더랬다.
그러다가 친척언니가 함께 읽어주던 <헬렌켈러>는 평소 영웅화 되어있어 날 때부터 범상찮은 위인들의 위화감을 벗어 젖히고 아기자기한 느낌으로 동화처럼 설리번선생님과 헬렌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었다.
아직도 내용은 다 기억나지 않지만 그 책의 삽화가 생각 날 정도로 난 그 후에도 자꾸 읽어달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내용에 대해 명확하진 않아도 확실히 어린이를 상대로 한 위인전인지라 헬렌과 설리번 선생님의 모습에 대한 사실성보다는 그들의 의지와 노력, 천재성 등에 대한 과한 포장이 없을 수 없어 상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었다.
헬렌켈러는 그 원인에 대해 의견은 분분하지만 고열을 앓고 일반인으로서 누릴 수 있는 편리를 박탈당했기에 다른 위인들에 비해 열세한 조건으로 시작했지만 그녀가 설리번 선생님을 통해 세상과 교감하기 시작하며 보여주는 지적 욕구와 활동은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결과를 낳으며 주변의 영향력 있는 사람들을 통해 언론에 노출되어 유명세를 타며 실제의 그녀 모습보다 시각-청각 장애를 겪는 사람들의 전설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당시의 언론에서 상징적이었으니 지금의 우리들에게는 말 할 것도 없기에 헬렌켈러와 설리번선생님을 둘러 싼 사회분위기나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무지했고 관심조차 없었는데 <헬렌켈러-A Life>를 통해 우러러 볼 동상의 이미지가 사라지고 온전한 인간으로서 볼 수 있게 됐다.
사실 위인전 자체는 어린이들에게 목적의식을 부여하고 귀감이 되는 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해 그들의 사회적 행동보다는 업적에 초점을 맞춰 드라마틱한 부분을 강조하는데 주력한다.
물론 그 목적은 교육적으로 아주 훌륭하지만 어른이 된 나에게는 영웅들의 드라마보다는 그들이 어떤 상황에서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었는지가 더 궁금하기에 어린 시절 열광했던 헬렌켈러에 대해 좀 더 인간적인 모습을 알고 싶었다.
(사실 지금 생각 해 보면 수록 된 삽화에서 보여지는 당시의 패션에 관심을 가졌던 것이 헬렌켈러를 자꾸 읽으려 했던 이유가 컸기에 그 후로 더 알고 싶었던 것 같다.)
성녀의 이미지였던 그 둘이 이토록 인간적으로 다가오자 시작부터 인간극장을 보듯 격이 없었다.
그 동안 내 일이 아니라고 무심했던 장애와 관련 한 정치적인 관계들에 대해 서구사회는 이토록 일찌감치 발달 해 있었다는 놀라움과 한국사회에서의 그 연혁도 궁금해졌고 전화기를 발명한 것으로만 기억했던 그레이엄 벨이 헬렌의 부모와 친분이 있고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연구로 더 활발했던 것을 깨달아 놀라웠다.
그레이엄 벨 외에도 등장하는 유명인들과의 관계는 마치 토크쇼에 초대받은 유명게스트를 보는 듯 하여 읽는 재미가 있다.
세계사를 공부할 때 시대적 상황과 정치적 관계를 연결 지어 생각하면 기억하기도 쉽고 더 의미 있겠지만 시험에 의존하다 보니 그저 범위 내의 주요 내용만 암기 할 뿐이었는데 이렇게 헬렌켈러의 인생으로 조금이나마 따로 떨어져 있던 고리들이 딸깍딸깍 맞춰지며 태엽이 돌아가는 기분이 들어 헬렌을 통해 나야말로 깨어나는 기분이 들었다.
어둠 속에서 정상인들의 세상을 시기 없이 받아들이고 배우는 데 시작하기 위한 노력을 나는 감히 상상할 수 없고 이해한다고도 할 수 없다.
그저 평범한 사람으로서는 한 사람의 역할을 다 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넘어서 주변의 보호에 기대지 않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살아있다는 증거를 온몸으로 보여주었다.
게다가 그녀가 보여주는 혁명적인 모습과 인류애는 무사안일주의에 빠진 나를 부끄럽게 만드는데 충분했다.
어린 시절 우리는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당연히 여기며 많은 질문과 공부를 하지만 어른이 되면서부터는 시간이 없어서라기 보다 무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설령 알더라도 외부에 노출됨을 부끄러워하며 응당 해야 할 공부를 게을리 한다.
이미 사회에 나와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은 하고 있을지 몰라도 인생에 있어서는 글쎄...?다들 잘 가고 있는 것 일까?
나는 특별한 사춘기를 겪어본 적 없이 오히려 나이가 들 수록 업그레이드 된 방황에 빠진다.
당연하다 여기며 손을 대지 않은 위인전을 접해야 할 때였는지 <헬렌켈러-A Life>가 좀비의 일상을 평온이라 여기던 지금이 틀렸으니 바로잡으라고 따끔히 말 해 준다.
넘치는 책과 정보를 헤집으며 자기계발서를 읽고도 방황하는 청춘들에게 뚜렷한 멘토의 모습을 보여 줄 위인전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헬렌켈러-A Life>는 위인전이라기 보다 설리번 선생님과 헬렌의 삶을 인간적인 눈으로 바라 볼 수 있게 하기에 어린 시절의 영웅주의 위인전만 읽어 온 어른들에게 더 흥미로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