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 개선의 주기는 다음 여섯 가지 주요 단계들로 이있다. 나는 이 과정을 위그월(WIGWAM) 방법이라 부른다.

1. 보라 (Watch):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효과가 있는 것은무엇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2. 아이디어를 형성하라(Ideate) : 무엇을 개선시킬 것인가? 취 할 수 있는 선택은 무엇인가?
3. 추측하라(Guess):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할 때 어 떤 아이디어가 가장 큰 효과가 있을 것인가?
4. 대상을 선택하라 (Which): 어떤 변화를 실행할 것인지 결정하라.
5. 행동하라 (Act) : 실제로 변화를 실행하라.
6. 측정하라 (Measure): 어떤 결과를 가져왔나? 긍정적인 변화였는가, 부정적인 변화였는가? 변화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개선 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갈 것인가?
다 잘할 수는 없다.

지속적인 개선은 주기이다. 변화의 결과를 평가하고, 어떻든지간에 변화를 지속하기로 결정한다면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무엇이 변했는지 관찰하고,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약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면, 먼저 사람들의 불편함을 찾아보도록 하라. 불편함이 있는 바로 그곳에 기회가 있다. 고객의 불편을 더 많이 해결하면 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디어 창출, 혁신과 창조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교육은 예전보다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19세기가 산업혁명과 물적 자본의 시대라면, 20세기는 교육과 인적 자본의 시대이다. 한편 21세기는 복제나 구매가 가능한 아이디어와 혁신을 통해 가치를 증진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으로는 새로운 기술과 전문 지식의 습득이 인생 전반에 걸친 과제가 될 것이다. 100세 인생 동안 우리는87만3천 시간을 살게 된다. 흔히 말하듯이, 한 가지 분야에 전문성을쌓는 데 1만 시간이 걸린다면 한 가지가 넘는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는 것이 벅찬 일도,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기술의 발전에도 살아남는 일자리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이 절대 우위‘를 갖는 일자리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이 비교 우위‘를 갖는 일자리이다. 인간이 절대 우위를 갖는다는 말은 인간이 로봇이나 인공지능보다 과제를 더 잘 수행한다는 뜻이다. 폴라니와 모라베크의 역설에 의하면, 우리 인간이 지금은 창의성, 감정 이입, 문제해결 능력, 문 여닫기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 능력에서 로봇이나 인공지능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노동시장의 공동화 현상이 지속되더라도, 이러한 일자리는 계속살아남을 것이다. 그러나 얼마나 오랫동안 살아남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