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CRAFT 게임 속으로! - 우드소드 연대기 마인크래프트 공식 소설 1
닉 일리오폴로스 지음, 루크 플라워스 그림, 전인표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쉬 카푸어는 성의 그림자 속에 서 있었다.어두운 창문들과 크고 구부러진 포탑들이 있는 저주받은 곳이었다.깃발 하나가 바람에 삐걱거렸다.거기에는 여태껏 본 적 없는 무시무시한 괴물의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멀리서 까마귀의 울음 소리가 드려왔다. (-11-)


모건은 조디가 입술을 깨문 채 코를 문지르고 발을 동동 구르며 이상한 표정을 짓고 있다는 것을 눈치챘다.모건은 저 표정을 알고 있었다. 조디는 뭔가를 말하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애쉬에게 마인크래프트 모험에 대해 말하고 싶어 하는 게 분명했다. (-77-)


아이들이 좋아하느 콘솔  게임 마인크래프트 초기버전이 2009년에 출시된 이후 10년이 지났다.10년동안 마인크래프트에 대한 사랑은 깊어졌으며, 시대의 흐름에 발 맞춰서 PC 게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게임에 최적화되어 마인크래프트 매니아의 사라을 독차지 하게 된다.이 책은 바로 그러한 마인크래프트를 기반으로 한 소설이며, 아들이 게임 속 캐릭터가 되고 싶은 욕구가 반영되고 있다.


우드소드 중학교에 다니게 된 애쉬 카푸어는 또다른 도전을 하게 된다. 마인크래프트 게임 속 캐릭터가 된 것이다.현실 속에서 성을 짓고, 광물을 캐고, 몬스터를 피해다니는게 아닌, 직접 게임 속 캐릭터가 되고 말았다.가상 현실과 증강현실이 교차되는 마인크레프트 속 3차원 게임 캐릭터가 되면서 또래 친구들 모건, 하퍼, 포, 조디는 가상현실 속 마인크레프트 세계로 입문하게 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몬스터에게 쫒기는 아이들은 남다른 기지를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성을 구축하게 되는데, 아이들 스스로 성을 짓는 과정에서 내적 성장하게 된다. 즉 책에서는 아이들의 모험과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안전하면서 때로눈 위험을 무릅쓰고 도전에 대한 욕구도 얻게 된다.더 나아가 아이들 스스로 남다른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면서 새로운 곡괭이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성을 짓고,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활용하는 것을 눈여겨 볼 수 있다.어릴 적 놓쳤던 그 호기심과 즐거움을 한 권의 책을 통해서 얻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끌리는 아이디어의 비밀
신호진 지음 / 성안당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의성이란 '통찰로 인해 가치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행동을 만드는 활동'입니다. 통찰에는 노력과 훈련이 필요합니다.우리는 과거의 경험과 지식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진화해 왔기 때문에 한번 떠오른 생각을 깨끗이 지우고 처음부터 새로 시작한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21-)


상징적 유추는 주제와 관련된 격언이나 상징들을 연결해 보는 방법입니다.'대지는 어머니다'처럼 비슷한 대상에서 유추해 나갈 수 있고 또는 군중 속의 고독처럼 반대되는 개념을 묶을 수 있습니다. 먼저 중심어를 선정한 후 그와 연결된 격언 등을 통해 상상력을 이끌어 냅니다. 그런 다음 생각해낸 감정이나 단어 등을 섞으면서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갈 수 잇습니다.(-69-)


치워야 할 쓰레기를 사고 싶은 상품으로 만드는 아이디어는 마치 팝아트 같은 재기발랄한 디자인과 뉴욕에 대한 이미지를 간직하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시멘트 조각도, 검은색 흙도 병 속에 담기면 기념품이 되듯이 특별한 시간, 특별한 장소에 존재했던 물건 혹은 그 잔해는 추억이 더해져 기념할 만한 시공간적 오브제가 됩니다.지냑의 아이디어는 '버려진 것'들에 의미를 만들어 '간직할만한 것'으로 재해석 되었습니다. (-131-)


아마존은 미국 최초로 2002년 99달러 이상의 구매에 대해 연중 무료 혜택을 제공했고 이듬해 2003년 배송비를 다시 25달러로 책정하여 가격을 내렸습니다. 이 무렵 아마존은 지면과 TV 등 대중매체 광고를 중단하고 그 비용을 무료 배송에 투입했는데 이는 대중매체의 효용에 대한 16개월간의 검토 작업에서 광고의 효용보다 '착한'무료 배송으로 더 많은 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기 때문입니다.(-181-)


인간의 한계를 넘는 이 익스트림한 도전을 레드불이 후원하기로 합니다. 펠릭스 바움 가르트너는 최첨단 우주복으로 무장한 상태로 어두운 성층권에서 지상으로 몸을 던지고, 도전에 성공합니다.비행기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한 이 '우주 다이빙'은 인류 최초의 수많은 기록을 남겼습니다.인간 역사상 가장 높은 곳에서 시도한 스카이다이빙이며, 맨몸으로 음속을 돌파한 최초의 인간ㅇ치 된 것입니다.(-298-)


밖에 있는 모든 것이 영감의 원천이라고 생각해요.네이버 뿜에 올라온 유머, 보배드림 베스트 게시판의 억울한 사연들, 새벽녘까지 술잔을 기울이며 나눈 대화,시간을 때우려 생각없이 본 영화 등, 영감이란 찾으러 다니는게 아니라 내 안에 쌓인 숱한 경험들이 어느 순간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마치 사리처럼 하나의 결정체가 되는 것이라 생가합니다.(-340-)


아이디어란 추상적이면서 애매모호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아이디어는 각자 자신만으 기준에 따라 정의되어지면, 그 안에서 답을 모색하게 된다.광고인이 말하는 아이디어와 건축가가 말하는 아이디어는 본질적으로는 동일하지만, 현실과 접목하면, 서로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게 된다.여기서 아이디어는 새로운 발상이라 말하기도 한다.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영감을 그림으로 그려내 하나의 영감과 또다른 영감을 엮어서 ,아이디어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영감과 경험이 엮이면서, 만들어지는 아이디어는 새로운 가치가 되며, 그것이 사람들에게 검증이 되면 아이디어 하나가 새로운 사업의 발판이 될 수 있다.여기서 보면 아이디어는 자신에게 필요한 의미있는 가치이다.그 가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요소들로 채워져 있으며 ,기업은 그 가치를 기업의 이익과 엮으려 한다.먼저 우리가 생각하는 아이디어 하면 먼저 떠올리는 사람, 스티브잡스가 있으며, 그는 아이디어 이전에 디자인이 있었다.아이디어에 디자인을 접목 시키는 것이 아닌 디자인에 우선권을 두고, 아이디어를 디자인에 직접 채워 나갔다.


아이디어는 각자 주어진 상상력에서 시작된다.나의 상상력이 경험과 엮이면서, 아이디어는 새로운 그림을 그려 나가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기업은 이익을 추구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하게 된다.아이디어와 사업성을 엮으면서, 아이디어는 특별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내가 보고,듣고, 읽고, 느끼고, 감정 속에서 아이디어의 씨앗이 만들어 질 수 있고, 그림을 직접 그려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더하게 되었다.아이디어는 아이디어에서 머물러 잇어서는 그 효용가치가 사라진다.아이디어는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하며, 아이디어는 행동과 실천을 통해서 상상 속의 아이디어가 아닌 현실 속의 아이디어가 될 수 있다.즉 광고나 마케팅에 관한 일,예술적 감각과 연결된 직업을 가진 이들은 언제 어디서나 아이디어를 찾기 위한 노력들을 아끼지 않으며,새로운 가치들을 찾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s Not Luck (Hardcover)
North River Press / 1994년 1월
평점 :
품절


그나마 협상이라도 해보려는 이유는 뭘까? 둘 다 받아들일수 있는 타협안을 찾아보련느 이유가 대체 무엇일까? 그야 우리는 한가족이고 한 지붕 밑에서 앞으로 같이 살아야 하니까, 그래서 나는 왼쪽에 '원만한 가족 생활을 위해'라고 적었다. (-32-)


"자기는 지금까지 써왔던 해결 방법들만 계속 써먹으려고 하고 있어.하지만 언제까지 그럴 수는 없어.현재 상황에 맞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지."(-106-)


대차대조표가 무의미하다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진정한 자산, 예를 들어 전문인력, 시장 점유율,회사의 명성 등은 나와 있지도 않다.그나마 표기되는 설비, 재고,토지도 실제 값과 현격히 차이가 난다. (-171-)


'제품의 가치를 고객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 행동한다'는 '제품의 가치를 공급자 관점ㅔ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저을 내리고 행동한다'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다. 이 점은 상식적인 것이다. 여기에 깔린 전제는 무엇인가? 양쪽 관점이 서로 다르니까 그렇다? 아니, 그것은 당연한 전제라 도움이 될 것 닽지 않았다. (-250-)


목표달성을 가로박고 있는 조건들을 나열하는 것은 생각만큼 그리 어렵지 않다.다음 단계는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 중간 목표란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중간 목표가 필요한 이유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록막고 있는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 적은 장애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중간 목표를 세워야 한다. (-361-)


엘리 골드렛의 <더 골 2>는 2002년 국내에 첫 번역되었고, 17년이 지난 현재 재개정판이 나왔다.<더 골 1>이 경영 분야에 있어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두번째 저서도 덩달아 베스트셀러가 되는 의미있는 쾌거를 거두게 된다. 두 권의 책이 하나로 묶이면서, 경영학에 있어서 고전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한 권의 책이 출간되기 전에 상식이었던 것들이 책이 나온 이후 상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책 한 권 속에 있는 경영 지식들은 처음엔 생소한 개념들이지만, 시간이 흘러 상식이 되었다. 그것이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이며, 우리의 보편적인 경영 지식이 된다.


책에는 경영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특히 기업 경영은 상품의 가치를 파는 행위이다.공급자의 기준에서 그들은 각자 남다른 가치를 매기고, 그것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반면 소비자는 다른 관점에서 그 상품에 대한 가치를 매기며,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된다.서로의 가치가 다른 구조 속에서 그들은 서로의 가치를 알아내기 위해서 마케팅 전략을 짜고, 비즈니스 전략을 운영하게 된다. 서로의 물건의 가치 차이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가격은 형성하게 된다.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업은 수익과 이익을 만들어 나간다.


기업이 막대한 수익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공급자는 낮은 가격에 상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그것을 구매자에게 높은 가치로 인식되도록 만들어 나가면, 고객은 지갑을 열것이고, 물건을 구매할 것이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한정판은 공급자의 입장에선 낮은 가격에 물건을 제시하고, 구매자의 입장에서 높은 가치로 인식하게 만들려는 기업의 전략적인 마케팅이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정판을 남용하면 안된다는 것이다.그건 한정판이 한정판으로서 가치가 충분해야 한다는 점은 가치에 대해서 역설적인 의미이다. 즉 기업 스스로 한정판을 남용하게 되면, 구매자는 그 물건에 대한 가치가 높다 하더라고,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단적인 예를 들자면 아파트가 그렇다.우리가 생각하는 강남의 비싼 아파트가 높은 가격에 한정판의 성격을 가지고 매물을 내놓아도,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돈이 없거나 아니면,공급자에 놀아나지 않겠다는 의지에서 만들어진다. 즉 구매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객의 심리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노력하지 않으면 물건은 팔리지 않으며, 기업 마케팅은 실패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s Not Luck: Marketing, Production, and the Theory of Constraints (Audio CD, ; 8.5 Hours)
Eliyahu M. Goldratt / Highbridge Co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나마 협상이라도 해보려는 이유는 뭘까? 둘 다 받아들일수 있는 타협안을 찾아보련느 이유가 대체 무엇일까? 그야 우리는 한가족이고 한 지붕 밑에서 앞으로 같이 살아야 하니까, 그래서 나는 왼쪽에 '원만한 가족 생활을 위해'라고 적었다. (-32-)


"자기는 지금까지 써왔던 해결 방법들만 계속 써먹으려고 하고 있어.하지만 언제까지 그럴 수는 없어.현재 상황에 맞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지."(-106-)


대차대조표가 무의미하다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진정한 자산, 예를 들어 전문인력, 시장 점유율,회사의 명성 등은 나와 있지도 않다.그나마 표기되는 설비, 재고,토지도 실제 값과 현격히 차이가 난다. (-171-)


'제품의 가치를 고객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 행동한다'는 '제품의 가치를 공급자 관점ㅔ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저을 내리고 행동한다'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다. 이 점은 상식적인 것이다. 여기에 깔린 전제는 무엇인가? 양쪽 관점이 서로 다르니까 그렇다? 아니, 그것은 당연한 전제라 도움이 될 것 닽지 않았다. (-250-)


목표달성을 가로박고 있는 조건들을 나열하는 것은 생각만큼 그리 어렵지 않다.다음 단계는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 중간 목표란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중간 목표가 필요한 이유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록막고 있는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 적은 장애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중간 목표를 세워야 한다. (-361-)


엘리 골드렛의 <더 골 2>는 2002년 국내에 첫 번역되었고, 17년이 지난 현재 재개정판이 나왔다.<더 골 1>이 경영 분야에 있어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두번째 저서도 덩달아 베스트셀러가 되는 의미있는 쾌거를 거두게 된다. 두 권의 책이 하나로 묶이면서, 경영학에 있어서 고전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한 권의 책이 출간되기 전에 상식이었던 것들이 책이 나온 이후 상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책 한 권 속에 있는 경영 지식들은 처음엔 생소한 개념들이지만, 시간이 흘러 상식이 되었다. 그것이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이며, 우리의 보편적인 경영 지식이 된다.


책에는 경영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특히 기업 경영은 상품의 가치를 파는 행위이다.공급자의 기준에서 그들은 각자 남다른 가치를 매기고, 그것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반면 소비자는 다른 관점에서 그 상품에 대한 가치를 매기며,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된다.서로의 가치가 다른 구조 속에서 그들은 서로의 가치를 알아내기 위해서 마케팅 전략을 짜고, 비즈니스 전략을 운영하게 된다. 서로의 물건의 가치 차이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가격은 형성하게 된다.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업은 수익과 이익을 만들어 나간다.


기업이 막대한 수익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공급자는 낮은 가격에 상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그것을 구매자에게 높은 가치로 인식되도록 만들어 나가면, 고객은 지갑을 열것이고, 물건을 구매할 것이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한정판은 공급자의 입장에선 낮은 가격에 물건을 제시하고, 구매자의 입장에서 높은 가치로 인식하게 만들려는 기업의 전략적인 마케팅이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정판을 남용하면 안된다는 것이다.그건 한정판이 한정판으로서 가치가 충분해야 한다는 점은 가치에 대해서 역설적인 의미이다. 즉 기업 스스로 한정판을 남용하게 되면, 구매자는 그 물건에 대한 가치가 높다 하더라고,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단적인 예를 들자면 아파트가 그렇다.우리가 생각하는 강남의 비싼 아파트가 높은 가격에 한정판의 성격을 가지고 매물을 내놓아도,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돈이 없거나 아니면,공급자에 놀아나지 않겠다는 의지에서 만들어진다. 즉 구매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객의 심리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노력하지 않으면 물건은 팔리지 않으며, 기업 마케팅은 실패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s Not Luck (Paperback)
Eliyahu M. Goldratt / North River Pr / 199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나마 협상이라도 해보려는 이유는 뭘까? 둘 다 받아들일수 있는 타협안을 찾아보련느 이유가 대체 무엇일까? 그야 우리는 한가족이고 한 지붕 밑에서 앞으로 같이 살아야 하니까, 그래서 나는 왼쪽에 '원만한 가족 생활을 위해'라고 적었다. (-32-)


"자기는 지금까지 써왔던 해결 방법들만 계속 써먹으려고 하고 있어.하지만 언제까지 그럴 수는 없어.현재 상황에 맞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야지."(-106-)


대차대조표가 무의미하다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진정한 자산, 예를 들어 전문인력, 시장 점유율,회사의 명성 등은 나와 있지도 않다.그나마 표기되는 설비, 재고,토지도 실제 값과 현격히 차이가 난다. (-171-)


'제품의 가치를 고객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정을 내리고 행동한다'는 '제품의 가치를 공급자 관점ㅔ서 평가하고 이에 따라 결저을 내리고 행동한다'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다. 이 점은 상식적인 것이다. 여기에 깔린 전제는 무엇인가? 양쪽 관점이 서로 다르니까 그렇다? 아니, 그것은 당연한 전제라 도움이 될 것 닽지 않았다. (-250-)


목표달성을 가로박고 있는 조건들을 나열하는 것은 생각만큼 그리 어렵지 않다.다음 단계는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 중간 목표란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중간 목표가 필요한 이유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록막고 있는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금 적은 장애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중간 목표를 세워야 한다. (-361-)


엘리 골드렛의 <더 골 2>는 2002년 국내에 첫 번역되었고, 17년이 지난 현재 재개정판이 나왔다.<더 골 1>이 경영 분야에 있어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두번째 저서도 덩달아 베스트셀러가 되는 의미있는 쾌거를 거두게 된다. 두 권의 책이 하나로 묶이면서, 경영학에 있어서 고전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한 권의 책이 출간되기 전에 상식이었던 것들이 책이 나온 이후 상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책 한 권 속에 있는 경영 지식들은 처음엔 생소한 개념들이지만, 시간이 흘러 상식이 되었다. 그것이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이며, 우리의 보편적인 경영 지식이 된다.


책에는 경영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특히 기업 경영은 상품의 가치를 파는 행위이다.공급자의 기준에서 그들은 각자 남다른 가치를 매기고, 그것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반면 소비자는 다른 관점에서 그 상품에 대한 가치를 매기며,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된다.서로의 가치가 다른 구조 속에서 그들은 서로의 가치를 알아내기 위해서 마케팅 전략을 짜고, 비즈니스 전략을 운영하게 된다. 서로의 물건의 가치 차이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가격은 형성하게 된다.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업은 수익과 이익을 만들어 나간다.


기업이 막대한 수익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공급자는 낮은 가격에 상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그것을 구매자에게 높은 가치로 인식되도록 만들어 나가면, 고객은 지갑을 열것이고, 물건을 구매할 것이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한정판은 공급자의 입장에선 낮은 가격에 물건을 제시하고, 구매자의 입장에서 높은 가치로 인식하게 만들려는 기업의 전략적인 마케팅이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정판을 남용하면 안된다는 것이다.그건 한정판이 한정판으로서 가치가 충분해야 한다는 점은 가치에 대해서 역설적인 의미이다. 즉 기업 스스로 한정판을 남용하게 되면, 구매자는 그 물건에 대한 가치가 높다 하더라고,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단적인 예를 들자면 아파트가 그렇다.우리가 생각하는 강남의 비싼 아파트가 높은 가격에 한정판의 성격을 가지고 매물을 내놓아도,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돈이 없거나 아니면,공급자에 놀아나지 않겠다는 의지에서 만들어진다. 즉 구매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객의 심리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노력하지 않으면 물건은 팔리지 않으며, 기업 마케팅은 실패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