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넥스트 한류 -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만들 한류의 미래
고삼석 지음 / 새빛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1997년 K-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그 이후 '겨울연가','대장금' 등의 드라마가 아시아 전역에서 잇달라 성공을 거두며 한류 붐이 일어났습니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동방신기,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등 아이돌 그룹들의 등장과 함께 K-팝이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12-)
2021년 9월 17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공개된 '오징어 게임 시즌 1'은 공개 후 28일 동안 1억 1,100만 계정이 시청해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성공한 드라마로 기록되었다. 또한 전 세계 94개국에서 넷플릭스 톱10 순위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적인 흥행작이 되었다. (-45-)
리장관은 "대만이 한류를 정말 많이 도와줬다.그러나 최근에는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대만의 중 장년층 감독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대만 내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이제 한국 드라마를 사오던 풍조를 바굴 때가 됐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만 감독들을 지원하기 위해 '승풍파랑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86-)
콘텐츠 산업은 예술과 상업, 창의성과 기술의 접점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해왔다. 특히 창작자의 상상력은 언제나 새로운 매체와 기술을 만나 표현의 지평을 끊임없이 넓혀 왔다. (-125-)
1980년대 대한민국은 해외 영화,드라마를 수입해왔다. 그 당시 우리가 보았던 영화 드라마는 원작 그대로 보여준 것이 아닌,국내 성우들의 더빙을 통해 흡수해 왔다;. 미드 맥가이버가 대표적인 경우이며, 성우 배한성의 목소리를 통해 멕가이버 캐릭터의 특징을 추억하고 있다. 성우 배한성은 멕가이버 이외에 가제트 등에도 더빙을 해왔으며, 성우 1세대에 속한다. 가수 조영남은 해외의 노래를 번안해 한국 노래처럼 불러왔다.그때 당시 국내에 주로 수입되었던 홍콩 영화는 주윤발, 성룡,이소룡, 임청하를 기억할 수 있었으며, 아시아 문화가 세계에 통한다는 것을 익히 홍콩 영화의 저변 확대를 눈으로 경험하였다.
한류의 시작은 드라마였다. '사랑이 뭐길래'에 나오는 최민수,하희라,이순재,신애라는 그 이후 나오는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될 수 있었다.이후 한류는 일본을 향하게 된다. 욘사마가 등장하였고, 배용준이 출연한 드라마, 예능이 일본에 수출될 수 있었다. 물론 가수 클론이 대만 한류를 주도했던 것은 익히 느낀 바 있다. 동방신기, 소녀시대,원더걸스 드이 해외 가수로 아려지고 있다.
21세기 들어서서, 한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영화 미나리로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을 받았던 배우 윤여정(74)이 있었고, 기생충의 송강호, 넷플릭스에서,'오징어 게임'이 흥행하고, 가수 방탄 소년단과 싸이가 빌보드 차트에 오르면서, 한류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수 있었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한국이 일본과 홍콩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디즈니처럼 오랫동안 세계인들에게 사랑받기 위해서, 세대에 맞는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홍콩 영화가 기성세대들에게 추억을이지만, MZ세대에겐 먹혀들지 않는 컨텐츠이며,이제 식상하기 까지 하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싸이,방탄소년단과 같은 한류 열풍이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한류 트렌드의 변화를 놓치지 않아야 하며, 새로운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한류 콘텐츠가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