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 차이나 리포트 - 중국을 통해 미래를 보다
성공경제연구소.SBS CNBC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3월
평점 :
'차이나는 도올'을 첫회부터 본 적이 있다.그 프로그램에서 후진타오가 물러나고 현주석이 된 시진핑이 중국의 국가 주석이 된 이유와 그의 아버지 시중쉰의 이야기를 함께 알 수 있었다.시진핑이 중국 주석이 된 이유는 중국 지도부 중에서 가장 깨끗하며 기존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에게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인물이라 생각했기 때문이었다.그러나 시진핑은 문제가 많은(?) 인물이었으며,중국 국가 주석이 되면서 중국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특히 시진핑이 내세우는 중국몽과 신창타이 시대(新常態, new normal). 그것은 시진핑이 과거 등소평으로 부터 후진타오까지 이어졌던 개혁개방과 경제 발전 속에서 생겨났던 부패와 기득권을 가진 이들에 대해서 그들이 가진 기득권을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렸다.그리고 중국은 성장을 우선시하였던 과거의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에서 새로운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진핑이 주석이 됨으로서 중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그의 주석 임기가 만료되는 2022년까지 중국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사뭇 궁금할 수 밖에 없다.중국의 미래상에 대한 전망을 <2020 차이나리포트> 에서 알 수 있으며 2020년이면 시진핑 주석이 임기가 만료되는 2022년 그 시점이라는 걸 알 수가 있다..그건 중국의 새로운 후계자로의 이동이 시작된고 대한민국으로서는 위기이자 기회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하면서 우리의 수출 효자업종인 5대 산업에 큰 위기가 찾아왓다는 것이다.과거 박태준 회장의 주도하에 철강산업 부흥기를 일으켰던 포항제철과 대한민국은 철강산업은 이제는 중국으로 옮겨갔으며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 되었다.그러나 그것 또한 과거의 모습이며, 제조업 중심의 2차 산업에서 금융과 문화 컨텐츠를 만드는 3차 산업으로 옮겨가고 있다.그것은 3차산업 부문에 있어서 중국에 앞서있는 대한민국으로서는 기회였다.그리고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 하면서 중국과 협력을 꾀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서 외화 보유액이 미국과 비슷하며, 그럼으로서 위안화 절상 압력을 받고 있었다.그래서 미국의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 통화량 정책에 가장 민감한 나라가 바로 중국이며,통화량이 늘어남으로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나라도 중국이었다.그런 이유로 자신이 가진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편입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며,2015년 12월 위안화는 기축통화로서 실제 편입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그렇지만 중국이 가진 외환보유액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내수시장보다는 해외 사회간접 자본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우리에게 또다른 위기이며,중국 또한 위험 부담을 안고 투자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잇으며,투자한 금액을 회수하는데 적극 노력하고 있다는 걸 책을 통해서 알수가 있다.특히 사회 간접자본으로는 고속철도와 원자력 발전소가 대표적이다.
중국의 성장은 우리로서는 달갑지 않다는 것이다.과거 미국-한국-일본 사이에서 우리의 입장은 대체로 평온함을 유지 하고 있었지만 미국-한국-중국으로 바뀌면서 우리는 두 나라의 외교와 경제와 관련하여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미국에 우호적인 우리나라와 미국과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는 중국..북한의 핵무기로 인하여 미국이 원했던 한반도에 사드 배치가 무산된 것 또한 중국 때문이었으며 그 문제에 대해서 대한민국은 배제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