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의 징비 - 치욕의 역사는 여기서 끝내야 한다
박기현 지음 / 시루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류성룡의 징비

조선 시대 최대의 국난이었던 임진왜란....
우리는어릴때부터 임진왜란하면 이순신 장군을 떠오른다.. 교과서이며 드라마이며 임진왜란하면 이순신 그리고 거북선.
그리고23전 23승.세계전쟁에서 전무후무한 기록이라는 것만 알 뿐 

그 안에 들어있는 영웅이순신과거북선은 알아도 그 전쟁 안에서 류성룡의 '징비록'은 잘 알지 못한다..

류성룡의 징비록(懲毖錄)

징비란 시경(詩經)의 소비편(小毖篇)에서  “豫其懲而毖後患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며.

비슷한 고통과 아픔을 다시 겪지 말아야한다는 절실함과 자기성찰에서 쓰여진 류성룡 선생의 마음이 담겨진 책이리라.

임진왜란....
왜군과 우리와의관계...그리고우리를 도와 주는 척 하면서 우리를 삼키려고 하는 명나라.

임진왜란을 바라보는 그 시선과 역사적 의미는 조.명.일 세 나라는 각각 달라진다.

선조는 나라는 내팽개치고 도망다니기 바쁘고..
그밑에 있는 신하들은 당쟁에 자기 잇속 챙기기에 바쁜 와중에.

류성룡 선생은 묵묵히 자기 일을해 나가면서....면천법, 작미법, 전매사업법을 시행하여서 인진왜란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간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사이에 두고 다잡은 물고기를 놓아주려는 명나라..
그러면서 명나라는 왜군과 협상을 하여 우리나라를 분할하여 삼키려는 것을 류성룡선생은 경계하는 한편.

후일 임진왜란과 같은 국난이 생길 것을 우려해 여러 방책을 세웠지만 그 뜻을 다 이루지 못하고 병자호란 정묘재란이라는 양대전란을또다시 겪게된다.

씁쓸한 건 500년전이나 지금이나 기득권은 자기 잇속을 챙기기 위해 모함과 비리를 일삼고 왕의 눈을 흐리게 만들면서..
정작 앞에서 묵묵하게일하는 이를 가로 막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는건 우리에게씁쓸함을 안겨준다 


이번 KBS 새 사극드라마로 징비가 선택 되면서 류성룡 선생의 재조명이 이루어졌으면 하고기회가 된다면 원본 징비록도 읽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의 전쟁 - 어머니와 함께한 마지막 7개월
김용원 지음 / 고려원북스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머니의전쟁..

제가 이 책을선택한 건..
작년 겨울을넘기지못하고 하늘나라로 가신 외할머니 생각이 나서였습니다...

어머니와의 마지막 7개월...

책 저자와 다른점은 외할머니는 암이아닌 폐렴과 치매로 돌아가셨고 
할머니를 챙긴 건 아들이 아니라 딸이라는 게 다른점이었습니다..
할머니 아프셨을 땐 큰집에서 하나에서 열까지 챙기셨기에 거의 제 3자 입장이더군요.
그러나 외할머니께서 아프셨을땐 하나에서 열까지 저의 일이더군요...
할머니께서 점점 아파지시면서 요양원으로 옮기면서 생전 처음하는 일들이 많았고 그 과정에서 
책 속의 내용처럼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게되더군요....일반 병원에서 요양원으로 그리고 요양병원으로 
옮기는 그 과정조차 저에겐 버거운 일이더군요...

할머니께서돌아가시기 5일전 저와의 마지막 만남....은잊지 못할것같습니다...
그래서돌아가시던 당일날 저는 병원에가지 못했지요...

누구나닥치는 일들...그러나누구나 준비되지 못한채떠나보낼때가많지요...
이 책을 보면서 작가와 마음을공감하면서그리고 간접적으로느껴 봇겼으면 합니다...

저는이책을보면서 간접적으로가아닌 직접적인느낌으로다가오더군요...제가직접 그걸느꼈으니까요..
미운 정~ 할머니 돌아가시던날 제일 많이 울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할머니돌아가시면서 이유없는무서움증.....이몰려오더군요..
가까이있는사람이이유도없이 내곁을떠나 갈 수있을것 같다는그 슬픔과 두려움.......

외할머니 돌아가시기 전에 다른이가그이야기 할때는 속으로 에이...거짓말이야...라고 넘겼습니다.....
그러나 그러나 내가 그사람이 되고 나니 후회가 됩니다....

있을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마음아픈 단어 글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도 몰랐던 조선 - 신봉승의 조선사 행간읽기
신봉승 지음 / 청아출판사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  처음 이 책을 본 느낌..

  편하게 읽을 수 있게 쓰여진 행간...

  한 페이지에 20여 줄...에 담겨진 이야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던 것에 대해 무지했음을...

  그리고 숭례문이 불타는 모습에...너무나 마음 아파했던 작가의 이야기...를 느낄 수 있었고.

  마지막까지 읽으면서...나의 무지에 대해 고개를 들 수 없었다..

 

 

★ 우리가 아는 겉과 우리가 모르는 것..

  태조와 태종의 차이.

  고등학교 시절 조선 27대를 노래 부르듯 외웠던 우리.
  임금의 이름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고 있음을.
  그 뜻을 알게 되니 부끄러움이 물밀듯 밀려온다.

 

  공供이 있는 이는 조組로 하고 덕德이 있는 이는 종宗으로 하니 효도는 어버이를 높이는 것보다 큰 것이 없으며, 
  시호로써 이름을 바꾸게 하니 예의는 마땅히 왕으로 추존함을 먼저 해야 될 것입니다.

 


★  숭례문

  561년의 역사를 지닌 숭례문. 2008년 국민은 눈물로 이 문화재의 아픔을 같이 하고.
  그것이 불타 하늘나라로 갔다는 슬픔도. 나의 아픈 마음을 지울 수 없네.
  조선 백성의 희망이었고 조선 백성의 마음 속의 문지기였던 숭례문.
  이 문화재에 대해 무심함...우리의 기억 속에 잊혀지지 않기를.

 


★  우리나라 최고의 자부심... 세종.

 영국이 문호 셰익스피어..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는 영국의 자부심...프라이드
 우리도 잊지 않을까..우리의 프라이드 세종..
 우리가 모르는 아니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그의 이야기.

 

★ ★ ★  역사란 충분히 가르쳐지지 않고 있으며,역사란 충분히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 ★ ★

 

역사 교과서의 나열식 이야기....에 이 책을 함께 읽는다면..

우리의 조선에 대한 지식에 화룡점정 畵龍點睛 이 아닐런지..


■ 태조에서 문종까지 1392~1452

■ 단종에서 연산군까지 1453~1595

■ 중종에서 광해군까지 1506~1622

■ 인조에서 경종까지 1623~1724

■ 영조에서 현종까지 1725~1849

■ 철종에서 일제강점기까지 1850~19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아, 놀자! 단짝 친구 오리와 곰 시리즈 2
조리 존 글, 벤지 데이비스 그림,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는 곰과 오리의 특별한 우정 이야기가 담겨져 있습니다.따스한 날씨에 산책가고 싶어하는 오리는 혼자가기는 심싱해서 곰이 사는 집에 들어가게 됩니다.그리고는 소파에서 책을 읽고 있는 곰에게 같이 놀자고 합니다.여기서 곰은 같이 놀러 가자고 하는 것이 아닌, 나 바쁜데 하면서 없는 핑계를 대면서 오리의 부탁을 거절하게 됩니다.


우리 오랜만에 같이 재미있게 놀까? -싫어

내가 어릴 때 얘기 해 줄까? - 싫어

그럼 네가 해 줄래? - 싫어


네.. 곰은 오리가 하는 말과 질문에 무조건 싫다고만 대담합니다.그건 오리는 무언가를 같이 하려는 성격을 가진 반면에 곰은 느긋하게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는 걸 더 좋아하기 때문입니다.이렇게 너무나도 다른 성격을 가진 오리와 곰은,그럼에도 가족보다 소중한 친구라는 것입니다. 물론 여전히 곰은 오리에게 싫다고 이야기 하고 있지요


같이 운동 할까? - 싫어

구름 구경 갈래? -싫어

그럼,내가 어릴 때 얘기해 줄까? - 그건 아까도 물었잖아.


그렇게 오리의 등쌀에 떠밀려 밖에 나왔지만 곰은 다시 나무 밑에 기대어 안아 있으며,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는 것입니다.시원한 나무 밑에서 책을 읽는 곰의 모습,그러나 곰의 여유는 오리로 인하여 금방 깨지게 됩니다. 그래서 곰은  이렇게 이야기 하지요..


'어휴,이제부터 문 열어주지 말까봐"


이렇게 동화 속 오리와 곰의 우정은 마무리가 됩니다.서로가 소중한 친구이지만 서로 다른 모습을 가지는 곰과 오리 이야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기만 해도 신심 나는 법구경 이야기 - 쉽고 재미있는 원빈 스님의 불교입문서
원빈 지음 / 이층버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법구경을 보면서 기억이 났던 것은 사극 여인천하였다.승려 보우를 문정왕후에게 소개시켜 주었던 정난정은 그 당시 불교에 심취했으며 자신의 삶을 불교를 통해서 바꾸려 했던 것이다.그럼으로서 정난정이 문정왕후의 권세를 이용하여 힘을 가졌으며,윤원형과 문정와후 사이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게 된다. 그때 정난정이 사극에서 누군가에게 호통을 쳤을 때 꺼낸 책이 바로 법구경이었다.10년이 지난 드라마여서 많은 것이 지워졌지만 그것은 또렷이 기억하고 있었다.

법구경은 우리의 인생에 도움이 될 만한 불교 이야기를 시로 지은 책이며,그 안에 담겨진 이야기들은 바로 우리 인생이야기라는 걸 알 수 있다.이 책 또한 그 책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느낌으로 새로 쓰여졌으며,의심이와 신심이를 통해 법구경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었다. 그리고 책에서 알수 있듯이 의심이는 세상을 의심하며 자신이 보는 것들에 대해서 의심부터 한다는 점이다. 세상 속에서 자기 스스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흔들릴 수 밖에 없으며 자신이 가진 문제들을 신심이를 통해서 답을 찾아가려고 한다.

책에서 구두쇠 맛따꾼딸리의 아버지 아딘나뿝빠까(한번도 준적이 없는자) 이야기에 관심이 갔던 것은 얼마전 읽었던 조정래의 아이랑 속에 등장하는 정상규와 정상규의 두 아들이야기가 생각이 났기 때문이었다.책에서 아딘나뿝빠까는 귀한 아들을 얻었으며, 그럼으로서 아들에게 장신구와 귀걸이를 사주려고 결심하게 된다. 하지만 귀걸이와 장신구를 사려면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싼 귀걸이가 아닌 평평한 모양의 귀걸이를 사주었으며,그 귀걸이 조차 누군가 탐낼까 싶어서 아들을 밖으로 못나가게 한다.방에 틀어 박혀 살면서 병이 걸렸지만 구두쇠 아버지로 인하여 병을 고칠 수 없었으며 죽을 수 밖에 없었다.장례비조차 아까워서 아들을 밖으로 버렸다. 여기서 아리랑의 만석군 정상규가 생각이 났던 이유는 정상규도 구두쇠였으며 그의 형을 죽음으로 내몰았다.그렇게 자신이 번 돈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였으며,그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두 아들이 정상규의 토지 문서를 군산에 가져가서 헐값에 팔아 버렸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서 정상규는 화병으로 반신불수가 되어버렸다.

이처럼 아딘나뿝빠까와 정상규 이야기에서 알수 있는 것은 돈을 벌면 그만큼 베풀어야 잘 살 수 있다는 점이다.한번 왔다 한번 가는 인생에서 탐욕과 욕심 속에서 살아가면 화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며,베풀고 살아야 자기 뿐 아니라 자신의 후대까지 잘 살수 있다는 것이다..그런 좋은 예가 바로 최부잣집과 유한양행 유일한 박사의 이야기이며, 베푸는 삶을 살아가면 세상사람들이 우러러 보고 존경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가진 탐욕과 욕심 불안과 걱정의 근본에는 채우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채우려는 욕심보다 비우려는 습관을 가지는 것.그것이 세상 속에서 우리가 가진 걱정과 근심을 덜어낼 수 잇는 유일한 길이라는 걸 알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