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랜프 3
사이먼 케이 지음 / 샘터사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홀랜프 3차 전쟁 승리 후 초기에는, 홀랜프와 페카터모리를 완전히 멸종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홀랜프의 뛰어난 기술력은 인간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모든 기술을 전수받기 전까지는 보존하자는 의견이 생기면서 의견이 대립하였다. 결국 홀랜프의 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한 뒤 멸종시키자는 의견에 대다수의 사람이 동의했고,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지금, 인류는 홀랜프의 기술을 모두 확보했다고 판단하여 ‘홀랜프 멸종 작전’을 실행 중이다. (-20-)
“온전한 육체에 무엇이 걸쳐지면 너희들의 신체 온도, 뇌의 움직임 등 많은 것이 바뀐다. 지금 이 방은 너희의 바이오리듬을 최대한 유지시키기 위해 만든 방이기에 바깥 환경과는 차이가 날 것이다. 처음에는 어색하겠지만, 적응되면 어빌리스를 가장 안정적으로 맞출 수 있으며, 지금 너희의 생각과 꿈의 이미지가 가장 효율적으로 동기화되니 협조 바란다.” (-121-)
“페카터모리가 변형체로 되는 것은 확실한 것 같아. 꽤 자주 나오고 있어. 중형 홀랜프도 같이 나타나는데, 어빌리스가 낮아서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야. 그런데 이상한 건, 지금 중형 홀랜프의 어빌리스가 페카터모리 변형체보다 낮은 듯하다는 거야.” (-175-)
“저의 무지로 인해 홀랜프 여왕을 공격한 두 번 모두에서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첫 번째는, 아시다시피 초소형 홀랜프에 대한 정보가 없어 지하에서 당하기만 했고, 목적지에 도착하지도 못한 채 자녀까지 잃었습니다. 두 번째는 홀랜프 3차 대전이라 불리는, 리브 양과 선우필이 여왕과 싸울 때의 일이죠. 하늘의 도시에서 연락이 닿지 않아 갈 수 없었습니다. 두 번 다 제 무지에서 비롯된 일입니다.” (-257-)
만일 최 박사의 최종 계획이 홀랜프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면? 홀랜프의 존재는 약해졌지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만약 예언서에 적혀 있는 ‘메시아’가 선우희가 아니라면? 예언서에는 '아이'라고만 적혀 있을 뿐, 정확히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누구인지’는 인간들이 임의로 정해 버린 것이다. 거기에 외경까지 나타나면서 인간들은 제멋대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352-)
작가 사이먼 케이는 한국계 미국인 1.5세대이며, 시나리오 작가다. 20대부터 단편영화를 제작했고, 직접 만든 단편영화 『키라잇(Keylight)』으로 뉴욕 시네마 영화제에 초청받은 이력이 있다. SF 소설에 인간의 생명과학, 우주과학, 기술이 집약된 미래 지구를 묘사하고 있으며, 디스토피아적인 지구의 미래를 상상해냈다.
『홀랜프』 1편, 2편에는 주인공 최 박사와 지구를 구할 7명의 아이들이 등장한다. 선우민의 아들 선우필, 최 박사의 소녀 레나와 리브, 그리고 해든, 오웬, 니나 아라가 주인공이다. 홀랜프라는 외계 생명체가 지구에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인간의 기술은 ‘소우주’라 불리는 뇌를 깊이 분석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해 있다.
기술과 과학의 진보로 인류는 더 풍요롭고 안전해졌지만, 지구는 외계 생명체로 인해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다. 홀랜프와의 3차례에 걸친 대전에서, 인류는 승리했고,주인공 한 명이 사망하고 만다. 죽은 이는 곧 메시아라 일컬으며, 구원자가 되었다.
사자성어 ‘토사구팽’이 있다.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가 삶겨진다”는 뜻이다. 이 소설에서는, 3차 홀랜프 대전을 통해 홀랜프와 페카터모리를 멸종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고, 인류보다 뛰어난 홀랜프의 뛰어난 기술력을 온전히 확보한 뒤 그들을 제거하려는 마음을 품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최박사의 딸 리브 양와 선우필의 관계, 외계 생명체 페카터모리 변형체의 등장, 하늘의 도시 소개 등이 전개된다. 인간에게는 어느 정도의 어빌리티가 있으며, 그것이 서로의 능력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완전한 세상을 꿈꾸는 자들과 현실을 회복시키려는 자들 간의 전면전이 시작되고, 그 안에서 지구를 구하기 위한 7명의 주인공들의 활약이 그려진다. 결국 인간의 행동 뒤에는 선과 악이 있으며, 새로운 세계가 만들어지더라도, 그 세계가 인간이 상상한 것처럼 완전해지지 않는다는 사실. 이로 인해 인류는 또다시 위기에 처하고, 전쟁을 통해 그 위기를 해결하려 한다는 점이 중요 메시지이다.매우 독특한 콘셉트와 치밀한 스토리 구성으로, 인간의 삶과 사회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