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아름다움은 이미 때 묻은 것 - 모성, 글쓰기, 그리고 다른 방식의 사랑 이야기
레슬리 제이미슨 지음, 송섬별 옮김 / 반비 / 2024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30059113458654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30059113458654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30059113458654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30059113458654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300591134586546.jpg)
내 목소리는 제발 나한테 그런 식으로 말하지 말라고 했지만, 내 몸은 다른 말을 했다. 내 몸은 구부러졌다. 움츠러들었다. 내 몸은 손가락 두 개를 입에 넣고 빠는 아기를 더 꼭 끌어안았다. 나는 친구들과 변호사가 연습시킨 대사를 떠올리려 애썼다. 실내에서도 뻣뻣한 재킷을 입는, 어마어마한 수임료를 자랑하는, 새그하버의 별장에서 유능하고 강인한 여성 특유의 ,층을 내 깃털처럼 드라이해 넘긴 머리에 소금기 섞인 바람을 맞고 있을 내 변호사의 모습을 소환해 내려 애썼다. (-55-)
그는 상당히 너그럽게 내 부탁을 들어 주었고, 나도 고맙게 여겼다. 그러나 나는 내 고마움이 의심스러웠다. 아이가 있는 여성이 일하기 어렵게 만들고 , 그 일이 아주 조금이라도 덜 어려워질 때마다 매번 고마워하게 만드는 시스템의 산물 같아서였다. 나는 학생이 유축할 공간을 찾아다녀야 하는 상황을, 시간강사가 공간을 비워달라는 요청을 받을까 걱정하는 상황을 상상해 보았다. 아니면 학교의 정비 직원들의 경우를 ,그러니까, 우리는 다들 한배를 탄게 아니라는 거다. (-110-)
그러나 누굴 속이겠는가?우리의 전제 속에 깃들어 있는 파멸은 연료이기도 하다.우리 둘 다 ,우리 자신을 이야기로 바꾸는 걸 좋아했다.심지어 우리의 불가능한 미래마저도 우리 둘이 함께 쓰는 이야기였다. 난 자고 일어난 당신의 입냄새를, 당신의 셀수 없는 많은 흉터를 원해요,나는 썼다. 당신을 아프게 한 모든 것들의 대가로 당신이 갖게 된 싸구려 농담들 아래에 숨겨진,다섯 시간짜리 엉망진창 진실을 원해요. (-203-)
한번은 ,내가 그와 함께 먹을 샌드위치를 만드는 사이, 후무스를 바르는 내 모습을 그가 하도 빤히 바라보는 바람에 내가 못 참고 물었다."후무스 바르는데 원하는 방식이 따로 있어요?" 서른 여섯 살의 아이 엄마가, 이 남자에게 후무스 바르는데 원하는 방식이 딸 있느냐고 묻는다.내 안의 나직한 목소리는 잘하고 있어, 라고 말하지만, 또 다른 ,더 큰 목소리는 말한다. 이번에 제대로 해내면, 이걸로 충분할지도 몰라. (-286-)
에세이스트 레슬리 제이미슨 은 『비명 지르게 하라, 불타오르게 하라 -』,『공감 연습 』,『 리커버링』드의 책을 쓴 바 있다.여성의 불안한 삶,사회와 세상이 여성에게 원하는 것과 역할에 대해서 근원적인 물음표를 표시하고 있었다.여성에게 젖과 기저귀가 모성을 상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여성은 아기가 태어나면, 모성에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그것에 순응하는가에 대해 물어본다.
그녀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싱글맘으로서,아기가 태어난 뒤, 13개월이 되던 날, 남편과 이혼을 하였다.친구들에게 대모 역할을 부탁하였고,그 과정에서, 레슬리 제이미슨 은 자신의 현재의 상황과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심리적인 부분과 사회적인 요소,육체적으로 발생하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사유하고,사색하고 있으며,그것이 사회가 만들어 놓은 여성의 삶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딜레마임을 언급하고 있다.
알콜 중독과 섭식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내적인 이유로 인해서,외적인 변화가 가져오는 불안은 이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모가 되었던 친구 콜린과 카일은 아기에게 예리함과 의리를 일깨워주고 있었다. 레슬리 제이미슨 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를 대신 해결할 수 있었으며, 여성은 스스로 죄책감을 느끼며,죄인으로 살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물어보고 있었다. 그건 사회가 어덯게 바뀌어야 하며,현재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 나간다. 결혼에 대한 환상과 낭만은 부모의 결혼에 대해 낭만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레슬리 제이미슨은 자신의 결혼에 대해서,새로운 관점에서,낭만화를 언급하고 있었다. 이런 요소들은 모성에 대해서, 본질을 이해하고, 그 안에 숨겨진 고통과 번거러움에 대해 논하고 있다.그 결과 여성에게 모성이란 무엇인지, 자신이 엄마로서의 역할과 예술가로서의 역할,작가로서의 역할에 대해 회의감을 품게 되는 결정적인 이유로 볼 수 있다. 이 문제는 레슬리 제이미슨 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며,,세상 모든 여성들의 보편적이 문제로 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