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어령의 보자기 인문학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축소지향의 일본인> 이후 이어령 교수님의 책에 대해서 잊혀 지내고 살았다.그리고 이어령 교수님의 저서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 않아 교수님의 저서에 대해서 잊고 지냈지만 꾸준히 책을 쓰시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담아내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으며 대한민국 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활동하고 있었다는 걸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를 통해서 알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 책 또한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서 일본어로 먼저 쓰여져 출간되었다는 사실과 최근에서야 국내로 번역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그리고 여전히 이어령 교수님은 일본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하며 동양과 서양의 문화에 대해 폭넓은 연구를 하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이 책은 일본과 우리가 실생활ㄹ에 쓰이는 보자기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우리나라에 보자기가 있다면 서양에는 보자기가 아닌 가방이 있던 걸, 책을 통해 알 수가 있었으며 보자기와 가방,비슷한 용도로 쓰이지만 서로 다른 용도로 쓰이면서 문화의 차이를 느낄 수가 있었다..
보자기 하면 먼저 떠오르는 건 어린 시절의 추억이라 할 수 있다..시골에서 외지로 나가 있는 자식들에게 가기 위해 보자기 안에 아들 딸이나 손자 손녀에게 줄 음식들을 보자기에 싸서 들고 가셨던 할머니의 모습,그 모습 안에서 사랑과 정을 느낄 수 있었으며 나눔을 느낄 수 있다.그러한 기억들은 점점 잊혀져 가고 있지만 종종 우리 주변에 볼 수 있다
보자기는 대부분 네모난 천으로 되어 있다..그리고 그 끝에 끈이 달려 있어서 옷이나 음식들을 천으로 감싸며 들고 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보자기와 함께 쓰여지는 단어는 무언가를 싸다는 개념과 깔다,펼치다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쓰여진다는 걸 알 수가 있다..특히 농경문화가 발달한 우리들은 농사를 지으면서 찬거리나 음식들을 보자기 안에 담아서 옮기게 되고 그 보자기는 이동의 도구이자 펼침으로서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이게 만드는 기능으로서 쓰여진다.
책에 담겨진 이야기에는 보자기 이외에 짚신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짚신과 보자기의 공통점은 감싼다는 것이다..보자기의 주기능이 물건을 감싸는 기능이라면 짚신은 발을 감싸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그리고 신발과 차이점이라면 바로 좌우 구별이 없다는 점이다..짚신의 기능에 관하여 읽으면서 해피선데이 1박2일에 나왔던 짚신 퀴즈가 생각이 났다..출연자들이 모여서 제짝에 맞는 짚신을 구해 오라는 퀴즈,출연자들은 그 문제에 대해서 우왕좌왕하게 된다...거기서 중요한 것은 제짝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짚신의 특징,좌우가 멊다는 걸 출연자가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 아는 문제였다.우리는 그동안 짚신이 좌우가 없다는 것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그 게임을 통해 짚신이 가지는 실용성을 알수 있었다,즉 신발 한짝을 잃어버리면 다시 신발을 새로 사야 하지만 짚신은 잃어버린 신발 한짝만 사면 되는 것이다..이처럼 우리는 우리 문화에 가까이 하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실제 우리 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걸 알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