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isible Countries: Journeys to the Edge of Nationhood (MP3 CD)
Joshua Keating / Tantor Audio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니파 월드컵이 보여준 이면의 세계사에는 부정할 수 없는 통렬한 슬픔도 깃들어 있다.만약 과거에 일부 전쟁과 회담과 혁명이 다르게 전개됐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펀자브와 파다니아와 쿠르디스탐은 UN 회원국이자 올림픽 대표팀을 파견하는 국가로서 건립되고, 파키스탄과 이탈리아와 이라크는 몽상주의 폭군이 지배하는 나라가 되는 미래가 그리 억지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16-)


그렇지만 헝가리의 루마니아이건,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이건,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이건 간에 집단의 일부 구성원들은 결국 그어놓은 선의 반대편으로 가게 된다.게다가 윌슨의 열네개 조항이라는 보편적 원칙까지 받아 잔뜩 고무된 민족주의 원칙 아래 이 소수 민족들은 자신들 역시 통일국가를 만들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합리적 반론을 얼마든지 제기할 수 있다. (-67-)


소말릴란드가 이름 그대로 실재하는 소말리 땅이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이곳은 국가가 드러낼 수 있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공항에서는 소말릴란드 국기가 나부끼며 소말릴란드 제복을 입은 세관 직원이 워싱턴에 있는 소말릴란드 영사관에서 발급한 소말릴란드 비자를 검사한다.(-144-)


"주권은 주되 국경은 그대로 두는 겁니다.만일 이라크가 세개의 정치체로 쪼개진다면 이 세개의 정치체가 각각 주권을 행사하는 거죠. 예컨대 영공권, 화폐 및 재정 정책 통제,무기 구입 권리 등이 바로 쿠르디스탄이 주권을 행사하고 싶은 것들입니다. 동시에 아랍에미리트처럼 이라크 국경은 그대로 유지합니다.연합 내각회의도 가능하겠죠.초기에는 화폐를 같이 쓸 수도 있을 겁니다. 이정도 주권이면 거의 전면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242-)


이 책은 국가에 대한 정의,민족과 나라의 개념을 말하고 있다.사회교과 시간에 배웠듯이 국가의 3요소로 국민,영토, 주권을 이야기한다.이 세가지 중 하나라도 없다면 국가는 형성될 수 없다. 이스라엘 민족은 국가와 주권은 있었지만 영토가 없어서 1000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스라엘을 건설하게 된다.우리에게 잘 알려진 아덴만 근처의 나라 소말릴란드가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국민과 영토는 있지만 ,주권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말릴란드와 같은 처지의 나라들은 신생 독립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여기서 국가가 될 수 있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을 보면,국가가 될 수 없는 지역의특징으로 주권이 주어지지 않는 국가가 대부분이며,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엮여 있는 경우가 많다.해적들이 설쳤던 아덴만 지역의 소말릴란드가 국가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국가로 허용되지 않은 이유는 그 나라를 국가로 인정하는 경우 파생될 수 있는 부작용 때문이다.


책에는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대해서 나오고 있다. 한 나라와 하나의 영토,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를 갖추는 것이 민족 자결주의의 실체이며, 민족 자결주의가 천명된 후 지금까지 전세계 곳곳에 독립국가가 되기 위한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특히 화약고나 다름 없는 중동 문제, 시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 간의 다툼은 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불안한 정치 체제가 어떤 결과물을 보여주는지 단적인 에이다. 21세기 현재 국가가 사라짐으로서 난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을 받아주지 않는 유럽 국가들로 인해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형국이다.이러한 상황들이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만 바로 우리의 과거의 모습이다.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상태, 나라를 잃어버린 이후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피를 흘렸던 우리의 과거의 역사들을 보면, 왜 국가가 있고, 나라가 있으며, 그 안에서 민족들이 똘똘 뭉치게 되는지, 그 하나 하나 분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영국과 미국처럼 제국주의 국가의 리더들이 자로 줄을 그어놓음으로서, 나라와 나라를 구별하고, 영토를 나눔으로서 부족간의 끊임없는 부족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고, 나라와 나라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소중한 교훈을 얻게 된다.특히 국가와 국가의 경계가 무너진 상태를 야기할 때, 때로는 그것으로 인한 충돌은 불가피하며,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해 인접 국가의 국민들이 겪게 되는 불편함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visible Countries: Journeys to the Edge of Nationhood (Hardcover)
Joshua Keating / Yale University Press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코니파 월드컵이 보여준 이면의 세계사에는 부정할 수 없는 통렬한 슬픔도 깃들어 있다.만약 과거에 일부 전쟁과 회담과 혁명이 다르게 전개됐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펀자브와 파다니아와 쿠르디스탐은 UN 회원국이자 올림픽 대표팀을 파견하는 국가로서 건립되고, 파키스탄과 이탈리아와 이라크는 몽상주의 폭군이 지배하는 나라가 되는 미래가 그리 억지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16-)


그렇지만 헝가리의 루마니아이건,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이건,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이건 간에 집단의 일부 구성원들은 결국 그어놓은 선의 반대편으로 가게 된다.게다가 윌슨의 열네개 조항이라는 보편적 원칙까지 받아 잔뜩 고무된 민족주의 원칙 아래 이 소수 민족들은 자신들 역시 통일국가를 만들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합리적 반론을 얼마든지 제기할 수 있다. (-67-)


소말릴란드가 이름 그대로 실재하는 소말리 땅이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이곳은 국가가 드러낼 수 있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공항에서는 소말릴란드 국기가 나부끼며 소말릴란드 제복을 입은 세관 직원이 워싱턴에 있는 소말릴란드 영사관에서 발급한 소말릴란드 비자를 검사한다.(-144-)


"주권은 주되 국경은 그대로 두는 겁니다.만일 이라크가 세개의 정치체로 쪼개진다면 이 세개의 정치체가 각각 주권을 행사하는 거죠. 예컨대 영공권, 화폐 및 재정 정책 통제,무기 구입 권리 등이 바로 쿠르디스탄이 주권을 행사하고 싶은 것들입니다. 동시에 아랍에미리트처럼 이라크 국경은 그대로 유지합니다.연합 내각회의도 가능하겠죠.초기에는 화폐를 같이 쓸 수도 있을 겁니다. 이정도 주권이면 거의 전면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242-)


이 책은 국가에 대한 정의,민족과 나라의 개념을 말하고 있다.사회교과 시간에 배웠듯이 국가의 3요소로 국민,영토, 주권을 이야기한다.이 세가지 중 하나라도 없다면 국가는 형성될 수 없다. 이스라엘 민족은 국가와 주권은 있었지만 영토가 없어서 1000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스라엘을 건설하게 된다.우리에게 잘 알려진 아덴만 근처의 나라 소말릴란드가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국민과 영토는 있지만 ,주권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말릴란드와 같은 처지의 나라들은 신생 독립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여기서 국가가 될 수 있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을 보면,국가가 될 수 없는 지역의특징으로 주권이 주어지지 않는 국가가 대부분이며,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엮여 있는 경우가 많다.해적들이 설쳤던 아덴만 지역의 소말릴란드가 국가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국가로 허용되지 않은 이유는 그 나라를 국가로 인정하는 경우 파생될 수 있는 부작용 때문이다.


책에는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대해서 나오고 있다. 한 나라와 하나의 영토,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를 갖추는 것이 민족 자결주의의 실체이며, 민족 자결주의가 천명된 후 지금까지 전세계 곳곳에 독립국가가 되기 위한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특히 화약고나 다름 없는 중동 문제, 시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 간의 다툼은 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불안한 정치 체제가 어떤 결과물을 보여주는지 단적인 에이다. 21세기 현재 국가가 사라짐으로서 난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을 받아주지 않는 유럽 국가들로 인해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형국이다.이러한 상황들이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만 바로 우리의 과거의 모습이다.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상태, 나라를 잃어버린 이후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피를 흘렸던 우리의 과거의 역사들을 보면, 왜 국가가 있고, 나라가 있으며, 그 안에서 민족들이 똘똘 뭉치게 되는지, 그 하나 하나 분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영국과 미국처럼 제국주의 국가의 리더들이 자로 줄을 그어놓음으로서, 나라와 나라를 구별하고, 영토를 나눔으로서 부족간의 끊임없는 부족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고, 나라와 나라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소중한 교훈을 얻게 된다.특히 국가와 국가의 경계가 무너진 상태를 야기할 때, 때로는 그것으로 인한 충돌은 불가피하며,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해 인접 국가의 국민들이 겪게 되는 불편함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지 않는 국가들 - 누가 세계의 지도와 국경을 결정하는가
조슈아 키팅 지음, 오수원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코니파 월드컵이 보여준 이면의 세계사에는 부정할 수 없는 통렬한 슬픔도 깃들어 있다.만약 과거에 일부 전쟁과 회담과 혁명이 다르게 전개됐더라면 어떻게 됐을까? 펀자브와 파다니아와 쿠르디스탐은 UN 회원국이자 올림픽 대표팀을 파견하는 국가로서 건립되고, 파키스탄과 이탈리아와 이라크는 몽상주의 폭군이 지배하는 나라가 되는 미래가 그리 억지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16-)


그렇지만 헝가리의 루마니아이건,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이건,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이건 간에 집단의 일부 구성원들은 결국 그어놓은 선의 반대편으로 가게 된다.게다가 윌슨의 열네개 조항이라는 보편적 원칙까지 받아 잔뜩 고무된 민족주의 원칙 아래 이 소수 민족들은 자신들 역시 통일국가를 만들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합리적 반론을 얼마든지 제기할 수 있다. (-67-)


소말릴란드가 이름 그대로 실재하는 소말리 땅이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이곳은 국가가 드러낼 수 있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공항에서는 소말릴란드 국기가 나부끼며 소말릴란드 제복을 입은 세관 직원이 워싱턴에 있는 소말릴란드 영사관에서 발급한 소말릴란드 비자를 검사한다.(-144-)


"주권은 주되 국경은 그대로 두는 겁니다.만일 이라크가 세개의 정치체로 쪼개진다면 이 세개의 정치체가 각각 주권을 행사하는 거죠. 예컨대 영공권, 화폐 및 재정 정책 통제,무기 구입 권리 등이 바로 쿠르디스탄이 주권을 행사하고 싶은 것들입니다. 동시에 아랍에미리트처럼 이라크 국경은 그대로 유지합니다.연합 내각회의도 가능하겠죠.초기에는 화폐를 같이 쓸 수도 있을 겁니다. 이정도 주권이면 거의 전면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242-)


이 책은 국가에 대한 정의,민족과 나라의 개념을 말하고 있다.사회교과 시간에 배웠듯이 국가의 3요소로 국민,영토, 주권을 이야기한다.이 세가지 중 하나라도 없다면 국가는 형성될 수 없다. 이스라엘 민족은 국가와 주권은 있었지만 영토가 없어서 1000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스라엘을 건설하게 된다.우리에게 잘 알려진 아덴만 근처의 나라 소말릴란드가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국민과 영토는 있지만 ,주권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말릴란드와 같은 처지의 나라들은 신생 독립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여기서 국가가 될 수 있는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을 보면,국가가 될 수 없는 지역의특징으로 주권이 주어지지 않는 국가가 대부분이며,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엮여 있는 경우가 많다.해적들이 설쳤던 아덴만 지역의 소말릴란드가 국가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국가로 허용되지 않은 이유는 그 나라를 국가로 인정하는 경우 파생될 수 있는 부작용 때문이다.


책에는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대해서 나오고 있다. 한 나라와 하나의 영토,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를 갖추는 것이 민족 자결주의의 실체이며, 민족 자결주의가 천명된 후 지금까지 전세계 곳곳에 독립국가가 되기 위한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특히 화약고나 다름 없는 중동 문제, 시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 간의 다툼은 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불안한 정치 체제가 어떤 결과물을 보여주는지 단적인 에이다. 21세기 현재 국가가 사라짐으로서 난민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을 받아주지 않는 유럽 국가들로 인해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형국이다.이러한 상황들이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만 바로 우리의 과거의 모습이다.국가의 형태가 사라진 상태, 나라를 잃어버린 이후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피를 흘렸던 우리의 과거의 역사들을 보면, 왜 국가가 있고, 나라가 있으며, 그 안에서 민족들이 똘똘 뭉치게 되는지, 그 하나 하나 분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영국과 미국처럼 제국주의 국가의 리더들이 자로 줄을 그어놓음으로서, 나라와 나라를 구별하고, 영토를 나눔으로서 부족간의 끊임없는 부족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고, 나라와 나라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소중한 교훈을 얻게 된다.특히 국가와 국가의 경계가 무너진 상태를 야기할 때, 때로는 그것으로 인한 충돌은 불가피하며,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해 인접 국가의 국민들이 겪게 되는 불편함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omen Scientists: Reflections, Challenges, and Breaking Boundaries (Hardcover)
Hargittai, Magdolna / Oxford University Press, USA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트루드 샤프 골드하버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어린이로서, 나치 독일에서는 유대인으로서, 여성 전문직 종사자가 거의 없던 시절에는 과학 분야의 여성으로서,그리고 친족등용금지법이 엄격하게 적용되던 법치 시대에는 다른 과학자의 아내로서, 그녀는 인생 전반에 걸쳐 폭력과 차별에 맞서 사워야 했다.(-75-)


최소한 시행착오가 남성들이 하는 실수보다는 적어야 하죠.젊은 남자 연구원이 실수를 하면 사람들은 오히려 '야심이 있군,그런 실수야 누구든 할 수 있지'라고 하지만, 그게 젊은 여성 연구원일 때는 과도하게 평가를 합니다.사람들은 적극적인 여성을 좋아하지 않아요.남자가 적극적이면 칭찬을 하거나 '그래야 정상'이라고 여기죠.하지만 여자가 적극적으로 남바처럼 처신하면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겨우가 많아요. (-282-)


그녀는 이스탐불 대학교에서 공부했다.졸업 후 취직하려 했으나 당시만 해도 여성 교육을 마뜩치 않게 여기는 편견이 있었다.다행히 이스탄불 대학교 약학부에 자리를 잡게 되었고,몇 년 후에 거기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녀는 미네소타 대학교 약학대학에서 박사후과정을 거치고, 귀국해 이스탄불 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1998년에 은퇴할 때까지 정교수로 재직했다. (-469-)


여성 과학자 하면 먼저 생각나는 이가 마리 퀴리이다.노벨과학상 중에서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받은 여성으로서, 과학에 있어서 입지적인 인물이다.남편 피에르 퀴리보다 마리 퀴리의 업적을 먼저 두각을 나타냈으며, 핵물리학자로서 우라늄과 플루토늄 발견에 공을 세운 여성 과학자이다.하지만 마리 퀴리는 그 시대의 여성 차별과 편견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여성 과학자로서 입지작인 인물이지만 프랑스 학술원에 마리 퀴리는 빠져 있었다.그건 마리 퀴리의 딸 이렌 조리오퀴리도 마찬가지였고, 남편 피에르는 프랑스 학술원에 명예회원으로 등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여성 과학자의 차별과 편견은 전방위적이었고, 노벨상이 만들어진 이후 2018년까지 여성 과학자가 노벨상을 받은 케이스는 총 17번 뿐이다.이처럼 열악한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 과학자는 자신의 과학사적인 업적을 높였으며, 물리학,화학, 생리학, 의학까지 전방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책에서는 지금 현대인들이 상식처럼 생각하는 과학 이론들 중에는 여성 과학자의 업적과 엮여 있는 경우도 다수 있으며, 이론 물리학자의 메리 게일러드는 입자 가속기를 통해 힉스 입자 발견에 큰 공을 세운 여성과학자였다.특히 힉스 입자 발견으로 우주의 구성 물질에 대해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 졌으며, 힉스 입자 발견 뿐 아니라 중력, 초끈 이론까지 우리의 실생활 속에서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이론 물리학 영역에서는 통용되는 ,과학사적인 업적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기도 하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이 도드라진 시기였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과학자들은 전쟁에 이기기 위한 신기술을 만들어 냈으며, 핵물리학의 독보적인 비약이 있었다.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발견,이후, 인간이 원자를 충돌하여 세로운 인공 원자들을 개발하였으며,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프로정신을 갖추고 있었다. 화학 뿐 아니라 물리학, 생리의학상, 천문학, 이론 물리학까지 섭렵하였으며, 컴퓨터 과학의 중흥기를 이끌어 나갔다. 여기서 사회의 엄격한 잣대는 여성 과학자 스스로 자신에게 엄격하였으며,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그 시대에 걸맞게 자신의 위치에 대해 과학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부단한 노력들이 존재하였다. 때로는 부부로서, 남편의 그늘에 숨어 있었던 여성 과학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 과학자에 대한 시선이 바뀜으로서 여성 과학자들 스스로 남자의 그늘 뒤에서 일을 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만난 여성 과학자들 - 직접 만나서 들은 여성 과학자들의 생생하고 특별한 도전 이야기
막달레나 허기타이 지음, 한국여성과총 교육홍보출판위원회 옮김 / 해나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트루드 샤프 골드하버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어린이로서, 나치 독일에서는 유대인으로서, 여성 전문직 종사자가 거의 없던 시절에는 과학 분야의 여성으로서,그리고 친족등용금지법이 엄격하게 적용되던 법치 시대에는 다른 과학자의 아내로서, 그녀는 인생 전반에 걸쳐 폭력과 차별에 맞서 사워야 했다.(-75-)


최소한 시행착오가 남성들이 하는 실수보다는 적어야 하죠.젊은 남자 연구원이 실수를 하면 사람들은 오히려 '야심이 있군,그런 실수야 누구든 할 수 있지'라고 하지만, 그게 젊은 여성 연구원일 때는 과도하게 평가를 합니다.사람들은 적극적인 여성을 좋아하지 않아요.남자가 적극적이면 칭찬을 하거나 '그래야 정상'이라고 여기죠.하지만 여자가 적극적으로 남바처럼 처신하면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겨우가 많아요. (-282-)


그녀는 이스탐불 대학교에서 공부했다.졸업 후 취직하려 했으나 당시만 해도 여성 교육을 마뜩치 않게 여기는 편견이 있었다.다행히 이스탄불 대학교 약학부에 자리를 잡게 되었고,몇 년 후에 거기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녀는 미네소타 대학교 약학대학에서 박사후과정을 거치고, 귀국해 이스탄불 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1998년에 은퇴할 때까지 정교수로 재직했다. (-469-)


여성 과학자 하면 먼저 생각나는 이가 마리 퀴리이다.노벨과학상 중에서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받은 여성으로서, 과학에 있어서 입지적인 인물이다.남편 피에르 퀴리보다 마리 퀴리의 업적을 먼저 두각을 나타냈으며, 핵물리학자로서 우라늄과 플루토늄 발견에 공을 세운 여성 과학자이다.하지만 마리 퀴리는 그 시대의 여성 차별과 편견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여성 과학자로서 입지작인 인물이지만 프랑스 학술원에 마리 퀴리는 빠져 있었다.그건 마리 퀴리의 딸 이렌 조리오퀴리도 마찬가지였고, 남편 피에르는 프랑스 학술원에 명예회원으로 등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여성 과학자의 차별과 편견은 전방위적이었고, 노벨상이 만들어진 이후 2018년까지 여성 과학자가 노벨상을 받은 케이스는 총 17번 뿐이다.이처럼 열악한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 과학자는 자신의 과학사적인 업적을 높였으며, 물리학,화학, 생리학, 의학까지 전방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책에서는 지금 현대인들이 상식처럼 생각하는 과학 이론들 중에는 여성 과학자의 업적과 엮여 있는 경우도 다수 있으며, 이론 물리학자의 메리 게일러드는 입자 가속기를 통해 힉스 입자 발견에 큰 공을 세운 여성과학자였다.특히 힉스 입자 발견으로 우주의 구성 물질에 대해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 졌으며, 힉스 입자 발견 뿐 아니라 중력, 초끈 이론까지 우리의 실생활 속에서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이론 물리학 영역에서는 통용되는 ,과학사적인 업적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기도 하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이 도드라진 시기였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과학자들은 전쟁에 이기기 위한 신기술을 만들어 냈으며, 핵물리학의 독보적인 비약이 있었다.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발견,이후, 인간이 원자를 충돌하여 세로운 인공 원자들을 개발하였으며,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프로정신을 갖추고 있었다. 화학 뿐 아니라 물리학, 생리의학상, 천문학, 이론 물리학까지 섭렵하였으며, 컴퓨터 과학의 중흥기를 이끌어 나갔다. 여기서 사회의 엄격한 잣대는 여성 과학자 스스로 자신에게 엄격하였으며,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그 시대에 걸맞게 자신의 위치에 대해 과학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부단한 노력들이 존재하였다. 때로는 부부로서, 남편의 그늘에 숨어 있었던 여성 과학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 과학자에 대한 시선이 바뀜으로서 여성 과학자들 스스로 남자의 그늘 뒤에서 일을 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