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삶의 꽤 많은 영역에서 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소득, 관광, 민주주의, 교육, 보건 의료, 전기 보급의 수준을 나타내는 여러 도표가 전해주는 이야기는 한결같다. 한마디로, 세상은 더 이상 예전처럼 둘로 나뉘지 않는다. 오늘날에는 다수가 중간에 속한다. 서양과 그 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부자와 빈자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극을 암시하는 이쪽또는 저쪽이라는 단순한 분류는 쓰지 않는 게 옳다.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이야기는 간극을 말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그런 이야기는 별개의 두 집단이 서로 간극을 두고 존재하는 그림을 가정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현실은 그렇게 극과극으로 갈리지 않는다. 사람들이 간극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그 곳에 사실은 인구 대다수가 존재한다.
간극 본능을 억제하려면 다수를 보라.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뉴스는 부정적 면을 보도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나쁜 소식은 좋은 소식보다 우리에게 전달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어떤 상황이 점점 좋아져도 그것은 뉴스가 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주변 세계에 대해 항상 지나치게 부정적 인상을 받기 쉽고, 이것이 대단한 스트레스가 된다.
부정 본능을 억제하려면 나쁜 소식을 예상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왜 서커스를 그토록 좋아하는가

나는 서커스가 정말 좋다.
날카로운 소리를 내며 돌아가니톱을 공중에 던졌다가 받는 모습이나, 줄타기 곡예사가 줄 위에서 공중제비를 연달아 열 번 도는 모습이 좋다. 불가능해 보이행위가 선사하는 장관, 경이로움, 즐거움이 정말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유는 거의 1세기 반에 걸쳐, 인류 문명에서 가장 좋은 측면과 가장 나쁜 측면을 모두 보여주었다. 석유는 은혜가 되기도 했고 무거운 짐이 되기도 했다. 산업사회의 기초가 되는 에너지원 중에서도 석유는 가장 크고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석유가 가진 중심적 역할, 전략적 특성,지리적 분포,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공급 위기, 그리고 석유를 손에 넣음으로써 얻게 되는 보상에 따른 불가피하고 불가항력적인 유혹 등에서 비롯한 것이다. 석유의 역사는 승리의 파노라마와 비극적이고 값비싼 희생을 치른 오류의 연속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것은 또한 인간성의 고귀한면과 비열한 면을 모두 보여준 하나의 무대였다. 창조성 · 헌신 · 기업가정신 · 독창성 · 기술 혁신이 탐욕·부패 · 맹목적인 정치적 야심·폭력 등과 함께 존재했다. 석유는 물질세계를 지배할 힘을 부여했다. 석유는 농약이나 연료로 형태를 바꾸어 인류의 의식주를 풍요롭게 해주었다. 또한 세계 정치와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투쟁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인류는 많은 피를 흘렸다. 석유를 손에 넣어 부와 권력을 차지하려는 치열한싸움은 석유가 중심적 위치를 유지하는 한 계속될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문명의 모든 측면은 석유의 현대적이고 매혹적인 연금술에의해 변화되어왔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금이 바로 석유의 시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처님 근처

초는 한 갑에 백이십원, 만수향은 백원이라고 한다. 나는 시치미 딱 떼고 이백원만 내주고 일부러 핸드백을 소리나게 닫았다.
"이십원 더 주셔얍지요."
"아저씨도 괜히 그러셔, 이런 초는 백원이면 어디서나 살 수 있는 건데."

그 시대를 보는 눈이 관대해졌다는 건 그만큼 무관심해졌다는
의미도 된다는 것을 나는 비로소 알았다.

 나는 늘 피곤했지만 육체적인 노동 끝에 이는 쾌적한 피로가 아니라 불쾌한 조음에 맞춰 서투르게 몸을 흔들어댄 것 같은 허망한 피로였고, 몸의 피로라기보다는 마음의 피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국에서 소비하는 석유의 99%를 수입하는 일본은 가능한 한 최저가격을 선호할 것이라 예상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가격이 너무낮을 경우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대체에너지 부문의 투자를 줄여서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결국 새로운 취약성을 노출해 또 다른 위기를 몰고 올 수 있다. 둘째, 석유는 일본의 수입품 중 상당 부분을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낮은 가격은 막대한 일본의 무역수지 흑자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였다. 이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와의 심각한 갈등을야기할 가능성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