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나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 사계절 네 도시에서 누리는 고독의 즐거움
스테파니 로젠블룸 지음, 김미란 옮김 / 미래의창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여행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나 홀로 여행을 즐기지 않는다. 나는
여행은 함께하는 사람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함께하는 여행을 통해 얻을 수 없는 것들을 혼자 여행할 때 비로소 얻는다고
말한다. '혼자'를 택하는 것은 자발성이 중요하다. 이른바 혼자가 되기 위한 걸음을 직접 내딛는 것이다.
저자 스테파니 로젠블룸은 여행 칼럼니스트로 <뉴욕 타임스>에 실릴
기사를 쓰기 위해 파리를 방문하고, 혼자 하는 여행의 즐거움을 알게 되어 한 계절마다 일주일의 시간을 내어 하나의 도시를 여행하기로 계획하였다.
봄의 파리, 여름의 이스탄불, 가을엔 피렌체, 겨울에서 뉴욕을 보내며 자신이 걸었던 거리, 그리고 만난 사람들 등을 기록해 <누구나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를 엮었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혼자 있는 것, 고독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히려 혼자 있을 때 우리의 정서와 심신이 회복된다고 말한다. 혼자 하는 여행은 이를 증명한다. 혼자 있으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내려놓게 된다. 어빙 고프먼의 말처럼 '무대 밖으로'나오면 대중 앞에서 썼던 가면을 벗고 진정한 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사색에 잠길 수 있다. 스스로 행동을 돌아봄으로써 내면까지 들여다볼 수 있는, 즉 웨스틴이 말하는 '도덕적 성찰'의 기회를 얻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파리의 모든 것이 낭만적 인생을 담은 박물관 같다. 수 세기
동안 파리의 방, 교회, 바, 레스토랑은 혼자만의 시간을 찬미한 이들에게 잠시 공간을 내어주는 쉼터 역할을 해왔다. 그런 이유에서 수많은
예술가의 집이 대중에게 공개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보주 광장에 위치한 빅토르 위고의 집과 파리 16구에 있는 발자크의
집처럼 작가는 공개할 공간이 많지 않다. 작가의 유품은 대개 마르세 프루스트의 경우처럼 작업실을 재현한 후 개인이 사용했던 물품을 부활시켜
전시한다. "
행복의 일정량은 유전에 의해 결정되지만 어느 정도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다.
그 통제 가능한 행복을 극대화하는 방법 중 하나가 "죽을 때까지 배우는 것"이라고 소냐 류보머스키는 말한다. 베토벤은 몰입의 순간을
'황홀경'이라고 표현했다. 얀 스와포드는 그가 쓴 베토벤의 전기에서 이렇게 말했다."방에 혼자 있을 때, 자연 속에 혼자 있을 ㄸ, 홀로
황홀경에 빠져 있을 때, 베토벤은 가장 행복해했고 그건 아마 평생 변하지 않았을 것이다."그래서 배움은 여행의 즐거움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여행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낯선 여행지 혹은 그토록 가보고 싶었던
도시에서 내가 마주하는 새로운 것들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즐거움 때문이다. 내가 직접 보고 느끼면서 나의 빈 곳을 채워가는 느낌이 좋기
때문이다. <누구나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저자가 도시와 엮어낸 문학 작품들과 지식 배경들을 기반으로 도시에 대해 깊이 있게
전달한다. "주변의 아름다운 것과 뛰어난 것에 열려 있는 사람은 인생에서 즐거움, 의미, 깊은 관계를 찾을 가능성이 더 크다." 인생을 즐겁고
의미 있게 살아가기 위해 주변의 아름답고 뛰어난 것에 마음의 문을 활짝 열고 다가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