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리샤의 후예 3 : 저항과 부활의 아이들
토미 아데예미 지음, 박아람 옮김 / 다섯수레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후기입니다.
3부작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 오리샤의 후예는 신비로운 마법과 모험으로 가득한 판타지 소설이다. <피와 뼈의 아이들>, <정의와 복수의 아이들>, <저항과 부활의 아이들> 부제들을 보면 알 수 있듯 오리샤에서 신분은 다르지만 제일리, 제인, 이난, 아마리가 주인공으로 활약하며 무자비한 왕과 해골족 발디르 왕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이다. 왕국은 왕위 계승 등 마법을 둘러싼 혼돈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내전이 끊이질 않는다. 마치 내전이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는 아프리카의 어느 나라처럼 마자이들과 군인, 티탄들은 해골족의 공격을 받아 오리샤가 폐허가 됐음에도 전쟁을 멈추지 않는다. 그들 사이에 오랫동안 쌓인 증오와 갈등을 풀고 하나로 뭉쳐 해골족에 맞서야 하는 숙제가 남겨졌다.
역시 판타지 소설답게 속도감이 넘친다. 제일리, 제인, 이난, 아마리 각각의 시각에서 이야기는 진행되며, 해골족에 잡혀 배에 갇혔지만 극적으로 탈출하여 마법을 되찾은 뒤에 벌어지는 장면은 온갖 상상을 하며 정신없이 읽게 되었다. 소설이 완결되기도 전에 파라마운트 픽처스로부터 영화 제작이 확정되었다는 건 이 소설이 가진 매력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아마 영화도 3부작으로 기획될 것 같은데 주인공 캐스팅부터 여러 술사들의 마법이 어떻게 표현될지 궁금하다. 오리샤의 오랜 내전을 멈추고 해골족이라는 강력한 적에 맞서 최후의 일격을 날린 제일리 등의 활약상이 백미이며, 외부의 적은 공통의 적이기에 오리샤가 멸망할지 모르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새롭게 동맹을 맺어 맞설 수 있었다.
최종판인 이번 작품은 처음에는 낯설었는데 금세 빠져들어 읽을 수 있었다. 지루하다거나 늘어지는 느낌도 없이 초반부터 몰아친다. 해골족은 오리샤의 마자이들이 여태껏 상대한 적이 없는 강력한 적이었고 끝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가 없었다. 파도술사, 화염술사, 치료술사, 덩굴술사 등 마법을 쓰는 원로들과 전설의 짐승들이 등장하는 등 흥미를 이끄는 요소들이 많다. 평화롭던 오리샤에 한때 마법이 가득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 버렸고, 마법이 사라진 틈을 타 무자비한 왕에 의해 초토화된다. 그러다 마법을 되찾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잡고 오리샤 땅에 마법이 다시 돌아온다. 전쟁은 결국 마법 때문에 벌어졌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오리샤에 평화를 되찾아준 것은 마법과 동맹이었다. 결국 제일리로 인해 그들은 희망의 미래로 나아가며 끝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