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에 쫓기는 속에서도 뇌세포를 지키고 근육을 유지하기 위한 아주 좋은 방법이 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하루에 최소한 5000보를 걷는 것이다. 걷는 운동은 뇌내 모르핀을 분비하는 데 아주 효과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세계 보건기구, 즉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건강에 대해 다음과 같은 유명한 정의를 내렸다.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에 걸리지 않거나 병약하지 않은 상태를 뜻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도 안전한 상태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뇌내 모르핀에 유익한 ‘식사’, 근육을 붙이는 ‘운동’, 알파파를 방출하는 ‘명상’ 이 세 가지는 정말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뇌내혁명», «도파민네이션», «펜타닐»을 연결시켜 읽어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2008년 10월에 읽었다고 책에 메모가 되어있습니다만, 내용은 거의 기억나질 않습니다. ㅎㅎ

명의 ‘화타’가 생각납니다. 병에 걸리기도 전에 고치는 의술.

요즘의 의학을 생각합니다. 의사의 본질은 생명을 살리는 것인데, 많은 사람들은 본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밥벌이에 대해서만 이야기 합니다. 본질은 빼놓은 채 말입니다. 다시 본질을 이야기하자면 고리타분하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정보가 넘치고 AI까지 동원한 온갖 추측과 억측이 난무하지만 본질이 외면받는 세상입니다. 어떻게 보면 재밌습니다. 왜들 그렇게 바쁘게 애쓰며 사는데도 세상이 나아지는 것 같지 않은지...

아마도 이 책은 다치바나 타카시의 책에서 보고 알게 됐던 것 같아요.

‘식사, 운동, 명상’과 ‘뇌내 모르핀’이 주요 키워드입니다.

동양의학에는 ‘미병’이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병이 나기 일보직전의 상태를 말하는데, 이러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동양의학의 목표이며 동시에 우리 병원의 목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늘날의 병원은 병에 걸리지 않으면 진료조차 해주지 않는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병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인데도 거의 모든 병원이 이 사실을 철저히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