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고통에 대한 집단적 무지 혹은 망각을 기반으로 축적된 부가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힘의 근원이다. 그러므로 부의 축적을 위해 한국 사회는 사회적 원인에서 비롯한 고통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차원으로 축소시켜 관리한다. (...) 그러나 딜레마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들의 고통이 개인적 차원에 머무는 한, 지금까지의 관행은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 적폐는 적폐를 청산할 수 없고 국가는 국가를 개조할 수 없다. 타인의 고통을 향한 연대에서 나온 책임감만이 이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2014년 5월 19일> 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대방이 당황할 정도로 확실하고 분명하게 분노를 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숨 고를 여유 또한 줘야 한다. 그에게는 우리가 던진 말을 받아들이고 첫 충격을 극복할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에야 우리의 분노에 어떻게 대처할지 고민하고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처음부터 상대방의 즉각적인 대답이나 이해를 기대하는 태도는 부적절하다. 우리의 분노 및 그 배경이 어느 정도고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어쨌든 그도 처음에는 무척이나 기가 꺾이고 당황할 것이다. 혹은 그 역시 분노하고 있을지 모른다. 이 모든 간장감 역시 우리가 극복해야 할 난관이다.

-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에게 분노는 자동차 휘발유와도 같다. 분노는 우리가 더 나은 장소로 전진해나갈 수 있도록 우리를 독려한다. 분노가 없다면 사람들은 난관에 맞설 수 있는 동기를 결코 지닐 수 없을 것이다. 분노는 정의와 불의가 무엇인지 구분하도록 추동하는 에너지다.”

아룬 간디가 자신의 저서 <분노 수업>에서 인용한 조부 마하트마 간디의 말이다.

-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스로를 옹호할 용기,
갈등에 맞설 용기,
화를 낼 용기는
타고나는 게 아니라 학습된다.

-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은 인간이 정한 문제에 대해서만 지적 작업을 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문제를 만들 수 없다.”

- 프롤로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