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섭취를 최소화하자는 내용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좋은 의도.

그때 그때 생각나는 입말을 글로 옮겨놓은 듯,
잘 읽히지 않는다.
주장과 주장.

채소를 먹고, 아프거나 필요하면 육식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요즘엔 삼시세끼 모두 육식을 선호하거나 습관적으로 먹는 인구가 많은 것 같다.

숨가쁜데, 뭔가 명쾌하게 전달되지는 않는다.
유튜브 같은 영상물이나 팟캐스트 같은 음성 방송으로 올리는 게 더 적합한 매체였을 것 같다. 책보다는.

채소(식물섭취)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각자 살고있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유기농으로 키운 Non-GMO 농작물이 좋을 것이다.

흐름과 근거가 보강되면 좋겠다.
근거가 충실하게 제시된다기 보다는
말로 되받아치는 느낌.

왜 책으로 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가정에는 얼마나 많은 물건이 쌓여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 보세요. 당신이 할 수 있는 만큼 갖고있는 것을 필요한 곳에 기증하고, 가진 것을 다른 이들과 나눠 보세요. 소박한 삶을 누려보세요.

-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하지만 아저씨는 어떤 얘기에도 놀라거나 충격을 받지 않는 듯했고, “거봐, 내가 그랬잖아.”라든가 “내가 말한 대로야.”라는 말도 하지 않았고, “이렇게 했어야지.”라든가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지.”라는 말도 하지 않았다. 모울은 아저씨에게 친근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 본문에서 발췌.
* 일상의 대화를 돌아보게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하드(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끝까지 굽히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말:옮김이)’

- 본문에서 발췌
* 영화제목의 뜻을 오늘에서야 알게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는 생각하라고 강요하는 것이다. 글쓰기는 뭐든지 끝까지 파헤치라고 강요한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다들 잘 알겠지만 난데없이 아주 쉽게 찾아오는 것은 없다. 그러하니 지금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끝까지 파헤쳐야 한다. 내게 있어서 그렇게 끝까지 파헤치는 유일한 방법은 글쓰기다.’

- 존 디디온 편에서.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