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위에 그냥 두둥실 떠 있거나 스르르 미끄러져 떠다니는오리들을 볼 때마다 얼마나 한가롭고 여유 있고 가볍고 편안한 삶인가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그런데 그 물밑으로 보이지 않게 그들은 중노동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새에 대한 나의 환상은 그때 깨어졌다. 그 이후로 나는 하늘에서 날아가는 새들을 보면서 그들의 자유로움을 그리기보다는 그들 날갯짓의 중노동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한다. 쉬운 삶이란 없다. 어떤 존재는 혼신을 다해서 살아가는 것이7. (1996) - P158
그 일이 가능했던 것은 나의 괴상한 공부 덕분이었을 거야, 첫 외국행의 신선한 충격이 내게 자꾸 외국에 대한 관심을 일으켰지만, 가장 먼 외국은 마음속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던 거야. 가장 미지의 지역이 말이야. - P166
수피즘 이야기 중에 이런 게 하나 있어. 세상에서 가장 높은 어떤 산꼭대기에서 흘러내리기 시작한 물은 모여 모여, 흘러 흘러 마지막으로 바다로 흘러들지. 그러나 이 물이 하는 숱한 여행 중에서 언젠가 한 번은 사막을 건너가는 여행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때가 와. 온 세상을 돌고 돌아 흐르다 마침내 사막 앞에 다다른 물은 절망하지. 달구어진 거대한 모래사막을 앞에 두고서 물은 공포에 떨어. 물이 사막을건널 수는 없으니까. 도중에 물은 깊은 모래 속으로 빨려내려 흔적도 없이 사라질 테니까. 그때 사막이 물에게 말하지. 선택하라, 죽을 것인가, 살 것인가를, 물은 물론 살고 싶다고 말하지. - P169
처음에는 서양 체계와 『노자』를 접목시키려는 의도에서 텍스트를 부지런히 읽고 또 읽었지만 언감생심, 아무런 힌트조차 없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뒤로는 서양 신비주의 공부를 완전히 끊고서 처음에는 노자, 그다음에는 장자에 몰입하게 되었는데, 노자가 아주 노련한 미스터리 시인이었다면 장자는 강직한 드라마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노자가 장자보다는 훨씬 더 높은 차원에 있다는 뜻이다. 노자를 읽으면 배가 허해지고 장자를 읽으면 배가 불룩 나오는 경향이 있는데, 결론적으로 말해 장자는 사회인습론에더욱 깊이 빠져 있는 데 비해 노자는 우주, 사회, 개인이라는 세 겹 미스터리 신비주의를 완벽하게 시적으로 소화, 전달했다는 것이다. - P181
오래 묵혀두었던 산문집을 출판하게 되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것 같다. 지나간 시간을 생각하자니웃음이 쿡 난다. 웃을 일인가. 그만 쓰자. 끝. 2021년 11월 11일최승자 - P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