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자두 님. 저는 좋은 건 죄다 물기를 머금고 온다고 생각해요. 말랑하고 유연한 것, 예기치 않게 도착하는 것. 사월의 버드나무 새싹과 막 태어난 시가 그렇듯이요. 봄이 데려오는 것들은 대부분 촉촉합니다. 꽃, 바람, 비, 싱숭생숭한 마음까지요. 그렇지 않은가요 - P177

쓸 때 울음이 온다면, 혹은 울다가 무언가를 쓰고 싶어졌다면 일단 기뻐하세요. 종이 위에서 기뻐하세요. 감정의 넘침을 받아내고, 또 받아내고, 흠뻑 젖으라고 쏟아내세요. (이때 쏟아내는 ‘에너지‘가 중요합니다.) - P178

퇴고할 땐 물기를 싹 닦아내고 ‘정확한 눈‘으로 고치기! 정확함은 고수들이 벗지 않는 안경입니다. - P178

얼마나 많은 인간을 보아왔는지가 한 작가가 가진 ‘서랍‘의 수가 되겠지만, ‘보는‘ 것은 시각으로 하는 작업이 아니다. 눈 말고 어디로 그 인물을 보았나, 인 것이다. 소설가 미즈카미 쓰토무 씨는 그것을 산의 나무에 빗댔다. 저 작가의 산에는 나무가세 그루밖에 안 자라있군. 하고 내 귓가에 속삭인 적이 몇 번이나 있다. 세 그루라면 그나마 다행인 축이고, 저 녀석은 한 그루뿐이라고 말할 때도 많았다."
‘미야모토 테루, 「생의 실루엣, 봄날의책 - P184

니체는 달을 보고 "별들의 카펫 위를 걸어가는 고양이"라고 했어요. 그러니까 시를 쓰는 삶은 이런 거예요. 달을 (단순히) 달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 슬픔을 (단순히) 슬픔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 - P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은 당신을 위한 사랑이야기이다. - P197

"Mogę?"(앉아도 될까요?)남자가 내 옆 의자를 가리키며 물었다. 나는 고개만 끄덕였다. 사실 나는 같은 방향을 계속 걷는 노인 때문에 한 번 놀랐고 이어서 어디서 나타났는지 모를 이 거대한 남자 때문에두 번째로 놀라서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았다. - P301

"Więc pani mówi po polsku?"(그러니까 폴란드어를 하시는군요?)
"Tak."(네.)아주 많이 들었던 질문이다. 나는 간단하게 대답했다. 남자는 내가 받아 든 책더미를 바라보며 다시 물었다.
"Druga wojna światowa?" (2차 세계대전이요?)나는 대답하지 못했다. 책더미를 안아 들고 턱으로 눌러균형을 잡으며 간신히 서 있던 참이었다. 남자도 더 이상 말을 걸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책을 안고 조심스럽게 몸을 돌려 자리로 돌아왔다. - P304

그 맥락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기까지는 시간이 꽤 많이 걸렸다. 그의 아파트는 한국식으로 말하자면 원룸에 가까운 구조였다. 작고 좁았지만, 천장이 무척 높았고 그 천장에는 하늘이 보이는 창문이 나 있었다. 밤의 검은 하늘을 배경으로 거울처럼 비치는 그 창문에 떠오른 내 몸과 자신의 묶인몸의 반영을 쳐다보면서 그는 중얼거리곤 했다.
"아름다워." - P308

"전쟁은 오래전에 끝났고 공산주의도 무너졌고 이제는 모든 사람이 자유로우니까 아이들이 저녁 7시에 밖에 나가서 놀아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했어."

"할아버지가 뭐라고 하셨어?"
"아무 말도 안 했어." - P311

이해와 용서는 전혀 다른 문제다.
그가 속삭였다. 다
"묶어줄래?"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 P320

이제 내가 기다릴 것은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계속 욕실에서 있었다. 누군가 기적처럼 찾아와서 이 삶에 묶인 나를 풀어주기를 기다리며. - P3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의 선물 -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개정판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10대를 뒤흔들었던 책을 40이 넘어 개정판으로 다시 읽는 반가움과 기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나가 아닌 다른 나를 만들어 보인다는 점에서 그것이 위선이나 가식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적은 있다. 꾸며 보이고 거짓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나를 두 개로 분리시키는 일은 나쁜 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내가 ‘작위‘라는 말을 알게 된 뒤부터 그런 의혹은 사라졌다. 나의 분리법은 위선이 아니라 작위였으며 작위는 위선보다 훨씬 복잡한 감정이지만 엄밀한의미에서 부도덕한 일은 아니었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나는 어른들이 나를 귀여워하는 진짜 이유를 알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내가 자기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밀을 저당잡혀 있기 때문에 그들은 나를 귀여워할 수밖에없다. 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그런 비굴함이 있다는 것을 진작에알았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